•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겨울철 전기장판 등 전열기기를 사용할 때 화재 발생에 유의하고 화상을 입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2년(‘15~’16)간 전기장판*과 관련해 접수된 안전사고는 총 1,367건이 발생하였다. 계절적인 특성으로 겨울이 513건(37%)으로 가장 많았고, 봄 382건(28%), 가을 322건(24%), 여름 150건(11%) 순이다.

사고 원인을 살펴보면 화재·과열이 834건(61%)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누전이나 화학물질 배출 등이 246건(18%), 제품 불량이나 고장 등으로 인한 제품관련 222건(16%) 순으로 발생하였다.

신체에 상해를 일으킨 사고는 총 467건(34%) 발생하였다. 이 중 화상이 404건(87%)로 가장 많고, 열상·자상·찰과상 등이 14건(3%), 연기 발생 등 유해가스 흡입 중독 11건(2%), 감전 8건(2%) 순이다.

최근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실내난방을 위해 보조적으로 전기장판 등의 사용이 많으므로 안전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전기장판이 무거운 물건에 눌리거나 접힌 채로 장시간 사용하면 내부 전선이 얽히거나 손상되어 불이 나기 쉽다. 특히, 그 동안 보관되었던 제품을 사용할 때는 철저한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전기장판 등 전열기기를 다른 전기 제품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단독 콘센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화상은 고온의 접촉으로 생긴다고 알고 있으나 낮은 온도로 오랜 시간 노출되어도 저온화상을 입기 쉬우므로, 두께가 있는 긴 옷을 입고 담요 등을 깔아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

조덕진 행정안전부 안전기획과장은 “한동안 사용하지 않던 전기장판 등을 사용할 때는 전선이 벗겨진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온도조절기 등이 제대로 작동되는지 꼼꼼히 점검한 후 사용해야 한다.”라고 당부하였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행정안전부 2017-11-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33 여름 휴가철 국립공원 내 물놀이 '해루질이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1.07.15
3132 태국 유입 홍역발생 지속, 여행자 대상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9.10.21
3131 추석 택배, 소액결제 등을 사칭한 스미싱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9.09.04
3130 ALL-PRO 태양광 조명, 화재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9.02.07
3129 Arctic Cat Wildcat ATV, 배기가스 열에 의한 화재 위험 있어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8.07.19
3128 NEWA 화장품(Lift Activator Gel),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8.04.12
3127 Kidde 소화기 사용 시 미작동·노즐 탈락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8.02.07
3126 어린이 칫솔, 모 탈락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7.10.13
3125 이유식.간식 등 우리아이 먹거리 맞춤형 안전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7.07.17
3124 톨루엔 성분 과다 함유한 Zhanlida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3.04.06
3123 화재 위험성이 높은 ㈜위니아 노후 김치냉장고, 리콜 미조치 상태라면 즉시 사용을 중단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3.02.23
3122 해외 증권시장 상장시 고수익 등을 미끼로 해외 비상장주식 투자를 권유하는 투자사기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3.02.10
3121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2.03.10
3120 알레르기 성분(생선,연체동물) 미표시한 Calbee 감자칩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1.10.14
3119 ‘주식 리딩방’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6.23
3118 수은 함유해 신경계 손상 위험 있는 Daggett & Ramsdell 피부미백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4.13
3117 배출구 모서리 날카로워 찰과상 위험 있는 쑤보얼(SUPOR) 전기포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4.13
3116 봄철 생활 주변 위험 신고는「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4.01
3115 어린이 카시트 안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2.13
3114 중국 우한시에 여행경보 2단계(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1.23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