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대형쇼핑몰은 다양한 상품·서비스의 제공 및 많은 사람의 출입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 가능성이 있어 시설관리자 및 이용자 모두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과 주요 대형마트 사업자 3개사(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이용 중 발생하는 소비자 위해 예방 등 안전한 시장환경 조성을 위해 ‘대형마트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출범해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11월 28일 정례협의체 발대식을 개최하고 대형마트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쇼핑카트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캠페인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2년 10개월간(2015년~2017년 10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대형·복합쇼핑몰 안전사고 652건 중 ‘쇼핑카트’ 관련 사고가 166건(25.5%)으로 다수를 차지한데 따른 것이다.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특히 연령이 확인된 사고건수(145건)의 대부분인 60.0%(87건)가 ‘만 6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했는데, 쇼핑카트에서 떨어지는 사고가 절반 이상(50.6%, 44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고 영유아의 90.8%(79건)가 ‘머리 및 얼굴’을 다쳤으며, 손상 증상은 ‘열상(찢어짐)’이 39.1%(34건)로 가장 많았고, ‘뇌진탕’과 ‘골절’을 일으킨 경우도 적지 않았다.

  한국소비자원은 대형마트 3사와 함께 전국 매장 내 쇼핑카트의 안전벨트, 바퀴, 주의사항 표시 등을 점검하고, 인식 개선 포스터를 부착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활동을 벌인다.

  또한, 소비자들에게는 쇼핑카트에 어린이를 태울 경우 ▲허용체중(15kg)을 준수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며, ▲짐칸에 어린이를 태우지 않는 등 안전수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하면서, 앞으로도 ‘대형마트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7-11-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73 어르신들이 사용하는 제품 안전 사용 정보 제공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18.04.30
3472 집중호우로 인한 위기상황 탈출법, 체험 통해 배운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04.30
3471 안전수칙 지켜 놀이시설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18.05.02
3470 어린이음료 일부제품, 당류 함량 높아 구입시 확인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5.03
3469 “7대 안전무시 관행, 이것만은 꼭 바꿉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18.05.03
3468 주의 깊게 살피면,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18.05.04
3467 하절기 대비한 산란계 농장의 위생.안전 관리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8.05.09
3466 대진침대 라돈 검출 매트리스 관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18.05.10
3465 아이들이 뛰어노는 물놀이 분수, 안전하게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18.05.10
3464 산나물과 비슷한 독초 중독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18.05.11
3463 아로마 목욕제품(My Fair Lady Brulee) 먹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18.05.15
3462 비브리오균 등 여름철 오염우려 수산물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18.05.15
3461 장난감 공(Flashing Spiky Ball), 부품 떨어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5.17
3460 Emerald 호두, 알레르기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8.05.17
3459 Ultralife 식품보충제, 알레르기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5.17
3458 Rock Solo 마이크(Karaoke Microphone & Speaker), 화재·폭발을 유발할 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8.05.17
3457 Intenze 문신잉크(Lining Black),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8.05.17
3456 Karin Herzog 페이스크림, 피부염 유발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05.17
3455 손잡이 분리돼 화상 위험이 있는 KitchenAid 전기포트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05.17
3454 단쇄염화파라핀(SCCPs) 성분 포함된 iDeal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8.05.17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