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자신의 체형과 스케줄에 맞추어 집중 관리를 받을 수 있는 피트니스 퍼스널트레이닝(이하 'PT') 이용이 늘면서 관련 소비자 피해*도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최근 3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PT 관련 피해구제 건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 중 86.8%가 환급 관련 건임.

- (’12년) 135건, (’13년) 139건,,’(14년) 261건, (’15년) 1/4분기 73건, 총 608건

이에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최근 1년 이내 PT 이용 경험이 있는 20~30대 1,030명을 대상으로 이용실태 설문조사 및 계약 내용 등을 분석했다.

▣ 20∼30대 PT 이용자, 건강·체형관리 위해 월평균 67만 3천원 지출

응답자들은 최근 1년 동안 건강·체형관리를 위한 PT 서비스에 월평균 67만 3천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월 58만 1천원을, 여성은 75만 7천원을 지출해 여성이 남성보다 월 17만 6천원을 더 지출하고 있었다. 한편 응답자들의 품질대비 가격 만족도는 3.16점(5점 만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PT 이용 장소로는 대형 헬스장이 71.9%로 가장 많았고, 소규모 전문 PT샵 22.3%, 요가·필라테스장 5.7% 순이었다. 대형 헬스장 이용자의 절반 가량은 업체로부터 PT를 받도록 권유 또는 강요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아울러 이용자의 61.2%(630명)는 이용횟수로 계약을 했고, 27.8%(286명)는 이용횟수 에 유효기간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효기간을 둔 계약자의 32.9%는 유효기간 내 계약 횟수 다 사용하지 못해

설문조사 결과, 사용횟수에 유효기간을 둔 계약자 286명 중 32.9%(94명)는 유효기간 이내에 계약 횟수를 다 사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 내 사용하지 못한 PT 횟수에 대한 환급 요구 과정에서 소비자분쟁이 야기되고 있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이 분석한 PT 계약서 76건 중 57건(75.0%)이 사업자가 계약 횟수를 모두 사용해야 하는 유효기간을 일방적으로 정하고, 기간이 경과되면 환급 또는 양도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소비자 분쟁의 소지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에서는 횟수를 기준으로 PT 계약 시 소비자와 사업자가 합의하여 유효기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활용하기도 한다.

1 

▣ 중도해지 시 환급금 산정 기준 양방이 달라

2또한 1회 서비스 단가 및 소비자의 실제 지불금액이 기입된 PT 계약서 49건을 분석한 결과, 업체가 제시한 1회 단가(정상가)는 평균 79,878원, 할인 등을 통해 소비자가 실제 지불한 회당 금액(할인가)은 52,807원으로 평균 27,071원의 차이가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PT 관련 피해구제 건 중 계약 중도해지 △ 소비자는 실제 지불한 금액 

(할인가) 준으로, △ 사업자는 1회 단가(정상가) 기준으환급금을 산정하려 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비자분쟁이 적지 않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는 계약서에 1회 단가(정상가)를 기재하고 이를 기준으로 환급금을 산정하도록 정한 경우라도 계약 해지 또는 해제로 발생하는 손실을 현저하게 초과하는 위약금을 소비자에게 청구하는 때에는 그 효력이 없다고 보아 실제 지불한 금액을 기준으로 환급 금액을 정하도록 결정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관련 분쟁이 발생한 경우 소비자상담센터(국번없이 1372)를 통해 도움을 받도록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5-08-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79 의료기기 정보, 휴대폰으로 찍어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1 49
3778 의료기기 정부 인증 광고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06 8
3777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심사 온라인으로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6 11
3776 의료기기 첨부문서, 인터넷을 통해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9 17
3775 의료기기 표준코드 부착 미리 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1 93
3774 의료기기, 판매가격 확인하고 현명하게 구매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9 25
3773 의료기기로 오인할 수 있는 광고에 속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7 29
3772 의료기기로 인증된 파라핀 욕조를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0 108
3771 의료기기인지 꼼꼼히 확인하고 구매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7 47
3770 의료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7.26.)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8
3769 의료부터 주거까지 새로운‘어르신 통합 돌봄서비스’선보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1 19
3768 의료분쟁 조정결정 10건 중 7건 ‘조정성립’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6 221
3767 의료사고 부담 완화 방안 및 의료사고 피해자 구제방안 마련 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2 10
3766 의료용 레이저 시술 바로 알고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1 101
3765 의료용 마약류 '과다 투약.불법 유출' 빅데이터로 적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3 29
Board Pagination Prev 1 ...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