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난방을 위해 보일러를 켜기 전 꼼꼼히 점검하고 가동할 것을 당부하였다.

2015년 통계청에서 실시한 인구총조사*의 ‘거처의 종류별 난방시설 가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가구(家口)에서 사용하는 난방**의 84%가 개별난방이다.

개별난방의 형태를 상세히 살 보면, 도시가스 보일러가 76%로 제일 많았고, 기름보일러 15%, 전기보일러 4%, 프로판(LPG)보일러 3% 순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한국가스안전공사 자료에 따르면 가스보일러의 경우 최근 5년(‘12~’16)간 발생한 사고는 총 26건이며, 79명(사망 18명, 부상 61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사고의 대부분은 급·배기통의 문제로 발생하는 시설미비가 18건(69%)으로 가장 많았고, 노후로 인한 고장이 6건(23%), 기타 2건(8%) 순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 중 배기통 이탈 등으로 유해가스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이어진 피해는 20건(77%)이며, 78명(사망18명, 부상60명)이 중독되었다.

최근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난방을 시작하는 가정이 많아지고 있다. 가스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특히 가스 보일러실은 환기가 가장 중요하다. 바람이 들어오지 않게 환기구와 배기통을 막아놓으면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되어 매우 위험하니 항상 열어놓아야 한다.

보일러 배기통이 빠져 있거나 찌그러진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막혔거나 구멍 난 곳은 없는지 점검한다.

또한 보일러를 켰을 때, 과열, 소음, 진동, 냄새 등이 평소와 다를 경우 반드시 전원을 끄고 전문가에게 점검을 받은 후 사용한다.

아울러, 동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보일러에 연결된 배관들을 보온재로 감싸주면 좋다. 이 때 헌옷 등으로 감싸면 누수 시 옷에 배인 물이 얼어 오히려 동파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한다.

조덕진 행정안전부 안전기획과장은 “한동안 사용하지 않던 가스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배기통 등을 철저히 점검하고, 켰을 때 소음과 진동이 심하면 반드시 전문가의 점검 후 사용해야 한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7-11-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41 공정거래위원회 사건절차 규칙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4 32
5040 ‘개인→법인’ 전환한 동일 사업장, 종전 산재보험요율 적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4 97
5039 노동자 건강보호 위한 건강 디딤돌 놓아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4 39
5038 집주인과 세입자가 상생하는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4 32
5037 2017년 11월 강원지역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4 32
5036 내년부터 공중화장실 휴지통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3 50
5035 의약품 불법유통 근절을 위해 온라인 쇼핑몰이 직접 나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3 36
5034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제 집에서 만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3 32
5033 ‘2017 올해의 안전한 차’ 주인공은 나야나!! 나야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3 34
5032 건설현장 임금체불 사라진다, 모든 공공공사에 발주자 임금직접지급제 전면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3 33
5031 한국의 사회동향 2017(가족과 가구.인구.건강.교육.문화와 여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2 36
5030 보건의료 빅데이터 시범사업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 듣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2 29
5029 10월 1일부터 건강보험 적용 중인 난임치료 시술(보조생식술)의 추가 개선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2 42
5028 재난배상책임보험, 연말까지 꼭 가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2 37
5027 권익위 부정청탁금지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의결 “선물·경조사비 가액범위”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2 82
Board Pagination Prev 1 ...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