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난방을 위해 보일러를 켜기 전 꼼꼼히 점검하고 가동할 것을 당부하였다.

2015년 통계청에서 실시한 인구총조사*의 ‘거처의 종류별 난방시설 가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가구(家口)에서 사용하는 난방**의 84%가 개별난방이다.

개별난방의 형태를 상세히 살 보면, 도시가스 보일러가 76%로 제일 많았고, 기름보일러 15%, 전기보일러 4%, 프로판(LPG)보일러 3% 순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한국가스안전공사 자료에 따르면 가스보일러의 경우 최근 5년(‘12~’16)간 발생한 사고는 총 26건이며, 79명(사망 18명, 부상 61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사고의 대부분은 급·배기통의 문제로 발생하는 시설미비가 18건(69%)으로 가장 많았고, 노후로 인한 고장이 6건(23%), 기타 2건(8%) 순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 중 배기통 이탈 등으로 유해가스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이어진 피해는 20건(77%)이며, 78명(사망18명, 부상60명)이 중독되었다.

최근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난방을 시작하는 가정이 많아지고 있다. 가스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특히 가스 보일러실은 환기가 가장 중요하다. 바람이 들어오지 않게 환기구와 배기통을 막아놓으면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되어 매우 위험하니 항상 열어놓아야 한다.

보일러 배기통이 빠져 있거나 찌그러진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막혔거나 구멍 난 곳은 없는지 점검한다.

또한 보일러를 켰을 때, 과열, 소음, 진동, 냄새 등이 평소와 다를 경우 반드시 전원을 끄고 전문가에게 점검을 받은 후 사용한다.

아울러, 동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보일러에 연결된 배관들을 보온재로 감싸주면 좋다. 이 때 헌옷 등으로 감싸면 누수 시 옷에 배인 물이 얼어 오히려 동파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한다.

조덕진 행정안전부 안전기획과장은 “한동안 사용하지 않던 가스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배기통 등을 철저히 점검하고, 켰을 때 소음과 진동이 심하면 반드시 전문가의 점검 후 사용해야 한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7-11-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62 금융꿀팁 200선 - (45) 보험계약대출 100% 활용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53
5261 2015년 건강보험 보장률 63.4%으로 전년보다 0.2%p 상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53
5260 농관원, 로컬푸드 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53
5259 3개 숙박앱 사업자의 전상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6 53
5258 식품 중 중금속(납, 카드뮴) 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7 53
5257 연말연시 대출을 권유하는 전화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2 53
5256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53
5255 투자사기-불법 사금융 피해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4 53
5254 '국민안전 100일 특별대책' 지역별 취약요소 집중관리 등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6 53
5253 ’17년 2월~ ’17년 4월 전국 아파트 79,068세대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0 53
5252 식품안전정보포털이 ‘식품안전나라’로 새로워집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3 53
5251 현대중공업, 굴삭기 847대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3
5250 설 연휴기간중 금감원「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3
5249 ’16년 주택인·허가 72.6만호, 분양승인은 46.9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3
5248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하지 않은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53
Board Pagination Prev 1 ...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