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예방 및 운전자의 생리욕구 해소를 위해 설치된 고속도로 졸음쉼터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하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졸음쉼터 이용 경험이 있는 운전자 500명 대상 설문조사와 전국 졸음쉼터 45개소*에 대한 안전실태 조사결과로 밝혀졌다.
* 교통량 상위 5개 고속도로(경부선·영동선·서해안선·중앙선·남해선) 졸음쉼터, 민자 노선 졸음쉼터, 사고다발 졸음쉼터

□ 10명 중 1명은 졸음쉼터 이용 중 추돌·충돌사고 경험

  응답자들은 주로 ‘오후 2~4시’(200명, 40.0%) 사이에 ‘수면’(242명, 48.4%)을 목적으로 ‘2~3시간 운전 시 1회’(380명, 76.0%)의 빈도로 ‘5~15분’(215명, 43.0%) 정도 고속도로 졸음쉼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00명 중 48명(9.6%)은 졸음쉼터 이용 중 차량, 보행자, 시설물과의 ‘추돌·충돌사고 경험’이 있었고, 353명(70.6%)은 안전시설 미비로 ‘사고위험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 대부분 진·출입로 짧고 좁아 사고 위험 높아

  한편, 조사대상 45개소 중 35개소(77.8%)는 ‘진입로 길이’가, 42개소(93.3%)는 ‘진출로 길이’가 ?고속국도 졸음쉼터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교통부 예규 제2017-167호, 이하 ‘지침’)?상의 기준보다 짧아 졸음쉼터 진·출입시 고속도로 본선 주행 차량과의 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또한, 7개소(15.6%)는 ‘진·출입로 폭’이 ?국토교통부 도로설계편람(2012.4.)?에 따른 기준(3.25m)보다 좁아 졸음쉼터 내 주차차량 및 보행자와의 추돌·충돌사고 위험이 있었다.

□ 대다수 졸음쉼터 안전시설 미비해

  ‘지침’에 따른 졸음쉼터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과속방지턱’(31개소, 68.9%), ‘주차차량 보호시설’(18개소, 40.0%), ‘CCTV’(23개소, 51.1%) 등이 상당수 쉼터에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주차장 측면의 보행자 안전공간’은 모두 미설치되거나 폭이 좁아 시설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자 안전공간 미설치 및 보행자 안전공간 폭 미달 사례


□ 필수 편의시설 없는 졸음쉼터 많아

  졸음쉼터의 주 방문목적인 ‘화장실’은 20개소(44.4%)에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9개소(20.0%)는 그늘을 제공하거나 우천 시 비를 피할 수 있는 ‘파고라’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현재 중·대형 졸음쉼터*에만 ‘파고라’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어 소형 졸음쉼터에도 설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 주차면수에 따른 졸음쉼터 규모 : 소형 10면 이하, 중형 11∼29면, 대형 30면 이상

□ 졸음쉼터 시설관리 강화 필요

  ‘지침’에는 졸음쉼터 내 시설 점검표를 비치하고 월 1회 이상 정기점검 후 관리 실적을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22개소는 ‘화장실 관리 점검표’만 비치*되어 있었고, 조사대상 45개소 모두 시설 전반에 대한 점검표를 마련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곳은 없었다.
* ‘화장실 관리 점검표’가 비치된 22개소 중 5개소(22.7%)는 점검 주기(1개월) 초과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 졸음쉼터 내 안전·편의시설 보완과 관리·감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국토교통부에 ▲안전시설 보완 ▲편의시설 설치 확대 ▲시설 관리·점검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7-11-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53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6.14
1852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 있는 Vitakraft 고슴도치 사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5.13
1851 라벨에 표시되지 않은 내용물이 함유된 Boots 멀티비타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4.12
1850 봄 산행, 덜 녹은 얼음과 서리에 미끄러지기 쉬우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3.11
1849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 있는 Muraco 캠핑용 주전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0.11.23
1848 “외화보험 가입시 소비자 핵심 유의사항 4가지,이것만은 기억하세요!” ? 소비자경보「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0.10.26
1847 수두.유행성이하선염 증가 대비,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18.10.29
1846 Maurice’s Piggie Park 소스(Southern Gold BBQ Honey), 알레르기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18.06.21
1845 Sta-Sof-Fro 로션(Olive Oil - Hand and Body Lotion),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18.03.21
1844 Olympic 얼룩세척제, 내용물 노출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18.03.21
1843 라벨 미표기된(헤즐넛) 성분 함유되어 알레르기 위험 있는 Godiva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5.04
1842 눈 손상 위험 있는 Two Trees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4.29
1841 사용중지 중인 LG전자(주) 빌트인 듀얼 냉온정수기, 자발적 리콜 실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4.01
1840 비스페놀 성분 함유된 노리개 젖꼭지형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3.08
1839 이물질 혼입 가능성으로 질식 위험이 있는 Kuhne 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2.11
1838 글리포세이트 성분 함유된 Arche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1.09.13
1837 유해성분이 함유된 Bio Claire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1.04.12
1836 Next 후드 재킷, 장식으로 인한 부상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19.01.31
1835 더 이상 혼자가 아닙니다. 당신 곁엔 139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18.12.26
1834 Strictly Professional 손톱크림(Manicure mask), 피부 자극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18.06.21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