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예방 및 운전자의 생리욕구 해소를 위해 설치된 고속도로 졸음쉼터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하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졸음쉼터 이용 경험이 있는 운전자 500명 대상 설문조사와 전국 졸음쉼터 45개소*에 대한 안전실태 조사결과로 밝혀졌다.
* 교통량 상위 5개 고속도로(경부선·영동선·서해안선·중앙선·남해선) 졸음쉼터, 민자 노선 졸음쉼터, 사고다발 졸음쉼터

□ 10명 중 1명은 졸음쉼터 이용 중 추돌·충돌사고 경험

  응답자들은 주로 ‘오후 2~4시’(200명, 40.0%) 사이에 ‘수면’(242명, 48.4%)을 목적으로 ‘2~3시간 운전 시 1회’(380명, 76.0%)의 빈도로 ‘5~15분’(215명, 43.0%) 정도 고속도로 졸음쉼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00명 중 48명(9.6%)은 졸음쉼터 이용 중 차량, 보행자, 시설물과의 ‘추돌·충돌사고 경험’이 있었고, 353명(70.6%)은 안전시설 미비로 ‘사고위험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 대부분 진·출입로 짧고 좁아 사고 위험 높아

  한편, 조사대상 45개소 중 35개소(77.8%)는 ‘진입로 길이’가, 42개소(93.3%)는 ‘진출로 길이’가 ?고속국도 졸음쉼터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교통부 예규 제2017-167호, 이하 ‘지침’)?상의 기준보다 짧아 졸음쉼터 진·출입시 고속도로 본선 주행 차량과의 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또한, 7개소(15.6%)는 ‘진·출입로 폭’이 ?국토교통부 도로설계편람(2012.4.)?에 따른 기준(3.25m)보다 좁아 졸음쉼터 내 주차차량 및 보행자와의 추돌·충돌사고 위험이 있었다.

□ 대다수 졸음쉼터 안전시설 미비해

  ‘지침’에 따른 졸음쉼터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과속방지턱’(31개소, 68.9%), ‘주차차량 보호시설’(18개소, 40.0%), ‘CCTV’(23개소, 51.1%) 등이 상당수 쉼터에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주차장 측면의 보행자 안전공간’은 모두 미설치되거나 폭이 좁아 시설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자 안전공간 미설치 및 보행자 안전공간 폭 미달 사례


□ 필수 편의시설 없는 졸음쉼터 많아

  졸음쉼터의 주 방문목적인 ‘화장실’은 20개소(44.4%)에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9개소(20.0%)는 그늘을 제공하거나 우천 시 비를 피할 수 있는 ‘파고라’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현재 중·대형 졸음쉼터*에만 ‘파고라’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어 소형 졸음쉼터에도 설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 주차면수에 따른 졸음쉼터 규모 : 소형 10면 이하, 중형 11∼29면, 대형 30면 이상

□ 졸음쉼터 시설관리 강화 필요

  ‘지침’에는 졸음쉼터 내 시설 점검표를 비치하고 월 1회 이상 정기점검 후 관리 실적을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22개소는 ‘화장실 관리 점검표’만 비치*되어 있었고, 조사대상 45개소 모두 시설 전반에 대한 점검표를 마련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곳은 없었다.
* ‘화장실 관리 점검표’가 비치된 22개소 중 5개소(22.7%)는 점검 주기(1개월) 초과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 졸음쉼터 내 안전·편의시설 보완과 관리·감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국토교통부에 ▲안전시설 보완 ▲편의시설 설치 확대 ▲시설 관리·점검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7-11-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91 기준 초과 비소 함유한 Bubs Organic Banana Rice 영유아용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10.08
1890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9.14
1889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재킷(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5.03
1888 상조상품 불완전 판매로 인한 소비자 피해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11.23
1887 방역수칙 철저히 지키며 안전한 문화생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11.06
1886 전자레인지로 컵라면 조리 시, 은박뚜껑은 완전히 떼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11.02
1885 선불카드를 통한 긴급재난지원금 수령 및 이용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04.28
1884 가짜 금융회사 앱(App)을 설치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17.12.11
1883 Studio Fun International 이야기책(It's Hug Times!)에 동봉된 팔찌, 열상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17.12.06
1882 허용치 초과 2-클로로에탄올이 검출된 WELLMIX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11.04
1881 가을철 야외활동, 쯔쯔가무시증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10.08
1880 벤젠 검출된 NEUTROGENA 자외선 차단 스프레이(Cool dry SPF70)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9.10
1879 무등록 제조한 기타농산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7.29
1878 쇠줄 혼입 가능성 있는 multivites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6.24
1877 알레르기 유발 성분(아황산염) 미표시된 Nordic Naturals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6.02
1876 라벨에 표시되지 않은 내용물이 함유된 Boots 멀티비타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4.12
1875 자연연소 주의사항 표시가 없는 Walrus Oil 가구광택제 4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3.18
1874 유치원, 어린이집 등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12.11
1873 르노삼성자동차(주) XM3 차량 발전기 커버 미장착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05.22
1872 눈 손상 위험 있는 Two Trees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2.04.29
Board Pagination Prev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