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환경부 11월 22일부터 6개월 동안 자진 신고제도 운영

▷ 화학물질 확인명세서, 유해화학물질 수입(변경)신고·허가 및 영업(변경)허가 등 자진신고 대상

▷ 자진신고 시 벌칙,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부과 면제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법무부(장관 박상기)와 '화학물질관리법(이하 화관법)'과 기존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이하 유해법)'을 위반한 사업자를 대상으로 올해 11월 22일부터 내년 5월 21일까지 6개월 동안 자진신고 제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자진신고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영세 사업자들이 법규를 지키고 화학물질 등록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영세 사업자의 대부분이 과실 또는 무지 등으로 법규를 위반하는 사례가 많으며, 처벌이 두려워 신고를 꺼리는 경우가 많다.


2014년도 화학물질 통계조사에 따르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종업원 수 50인 미만의 소기업은 1만 7,395개로 전체 2만 2,661개의 76.8%를 차지한다.


자진신고 대상은 '화관법' 및 '유해법'에 따른 화학물질 확인명세서, 관찰물질 제조·수입(변경)신고, 유독물질 수입(변경)신고, 제한물질 수입(변경)허가, 금지물질 제조·수입·판매(변경)허가, 유해화학물질 영업(변경)허가 등이다.


신고방법은 '화관법' 시행규칙 별지서식에 과거 제조·수입·영업 실적 등을 포함하여 작성한 후 화학물질 확인명세서는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에, 유해화학물질 제조·수입(변경)신고(허가) 및 영업(변경)허가는 관할 유역(지방)환경청에 제출하면 된다.


* 관찰물질 제조·수입(변경)신고는 '유해법' 시행규칙 제14호 또는 제29호 서식에 작성하여 유역(지방)환경청에 제출


자진신고 기간 중에 신고한 사항에 대해서는 '화관법' 또는 '유해법' 위반에 따른 벌칙,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부과가 면제된다.


현재 기소중지 중이거나 수사 중인 사건에 대해서는 법무부와 협의 후 정상 참작된다.


* 화학물질 확인명세서 미제출로 적발된 업체가 확인명세서를 추후 제출한 경우 '화관법' 시행령 제24조 [별표 2]의 규정에 근거하여 과태료 금액의 1/2 감경


- 다만,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화학사고가 발생한 경우는 이번 자진신고 혜택에서 제외된다.


환경부는 이번 자진신고 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정보분석, 기획수사, 관계기관 합동 지도·점검 등으로 '화관법' 위법사항이 적발될 경우에는 원칙에 따라 엄격하게 조치할 방침이다.


정환진 환경부 화학안전과장은 "국민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2015년부터 '화관법'이 시행되었다"면서, "그러나 아직도 많은 사업장이 관련 법규에 대해 잘 몰라 위반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적극적으로 자진신고를 하여 '화관법' 및 '유해법' 위반사항을 해소하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취급 당시 유독물질, 제한물질 등의 해당 여부는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의 '유독물질 및 제한물질·금지물질의 지정' 고시(화관법)와 '유독물·관찰물질 지정' 및 '취급제한·금지물질에 관한 규정' 고시(유해법)를 참조하면 된다.



[ 환경부 2017-11-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1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시행령 개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225
300 권익위, ‘문화재 발굴허가 상피제도 운영’ 구체적 기준마련 개선권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3 226
299 식중독예방을 위한 스키장.눈썰매장 특별 점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9 226
298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현황('15.1.20)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2 226
297 “ 안전한 먹을거리로 국민행복을 이끌겠습니다 ”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6 226
296 국민 다소비 식품 등 유통식품 방사능검사 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26
295 스마트폰으로 주민이 직접 불법광고물 신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4 226
294 수입식품안전관리 수출국 현지 중심으로 대전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3 227
293 금감원, 다수인 탑승시켜 반복적 고의사고 야기한 10개 보험사기 조직 등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2 227
292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1월 15일(화) 개통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0 227
291 시·도별 지방세 체납 징수현황 최초 비교 공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4 228
290 청소년의 행복감 3년새 5%p 증가, 부모와 대화시간이 많은 청소년이 더 행복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28
289 민간소비 위축과 연말특수 실종으로 ‘14년도 외식업 체감경기 하락지속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28
288 감전 위험 있는 Nitecore 배터리 충전기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4 228
287 추석 명절연휴에도 당직 병원·약국은 문을 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229
Board Pagination Prev 1 ... 899 900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