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우리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문화재 사범특별단속(3개월) 추진

 

경찰청(청장 강신명), 소중한 문화유산인 우리 문화재를 보호하고, 문화재 분야의 각종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문화재 사범 특별단속(‘15. 8. 110. 31, 3개월간)’을 추진 중에 있음

 

문화재 도난·도굴, 해외 밀반출, 문화재 분야 비리 등 문화재 사범 척결에 수사역량을 집중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수사활동을 전개하고, 수사과정에서 발견한 도난 문화재 회수에도 최선을 다할 예정임

 

단속 기간은 ’15. 8. 110. 31, 3개월간으로 첫 2주간은 관련 첩보 수집 및 자료수집 기간으로 설정하였고, 나머지 7주간은 집중단속을 통한 수사활동을 펼치기로 하였음

 

문화재 도난·도굴, 해외 밀반출, 문화재 관련 비리를 ‘3대 문화재 범죄로 규정하였음

특히, 문화재 도난(도굴) 및 해외 밀반출 사범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Zero Tolerance)’을 적용,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하고, 문화재 절도·밀반출 행위자 외에 이러한 행위를 기획·주도하거나 이를 통해 실질적인 이익을 얻는 배후세력·조직에 대해서도 끝까지 추적하여 엄단할 계획임

 

또한 문화재 유지·보수 등 관련 각종 부패비리 행위에 대해서도 범행횟수, 피해규모 등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사법처리 할 예정임

 

경찰청은 ’15. 7월 시행된 문화재 사범 근절 종합대책에 따라 문화재 수사 전문성 강화를 위해, 문화재 수사 경험자 및 문화재 관련 학과 전공자 중심으로 문화재 전문 수사관 인력풀’ 44명을 선발하였음

 

이번 특별단속 시행에 맞추어 위와 같이 선발된 문화재 전문 수사관을 중심으로 각 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에 문화재 사범 수사를 전담하는 수사관 23명을 배치하고, 문화재 관련 범죄만 전담 수사하는 등 문화재 수사 전문화를 위해 특별단속 종료 후에도 계속 운영할 예정임

 

기존 광역수사대 등에 분산되어 있던 문화재 도난(도굴) 등 사건도 지능범죄수사대 문화재 전문 수사관으로 일원화하여 문화재 도난(도굴), 해외 밀반출, 감정가 부풀리기, 문화재 관련 비리 사건 등 문화재 관련 범죄 전체를 담당하도록 하였음

 

문화재청(안전기준과 사범단속반) 및 시·도 문화재 담당부서와 상시 정보공유 등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지역별 사찰 등 불교계, 학계, 감정·경매업체와 교류를 강화하여 다양한 정보망을 확보하겠음

 

특히, 경찰청 및 각 지방경찰청에 학계, 불교 등 종교계, 감정경매업체 등 문화재 전문가를 위촉, ‘문화재 자문위원단을 구성하여, 문화재 분야 전문가의 견해를 정책에 반영하고, 문화재 관련 수사시 실시간 자문체제를 구축하여 단속 실효성을 극대화하겠음

 

앞으로도 경찰은, 문화재 도난(도굴), 해외 밀반출 및 문화재 관련 비리 수사에 더욱 역량을 집중하여 그 성과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문화재 사범 특별단속(810)’을 강도 높게 진행하는 한편, 도난 문화재를 끝까지 추적하여 회수하는 등 실질적 문화재 보호에도 주력할 방침임

 

또한, 경찰 수사과정에서 확인된 법령·제도 개선사항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에 적극 통보하여 문화재 사범의 제도적 차단에도 최선을 다할 예정임

 

마지막으로 우리 문화재 보호를 위해서는 경찰의 강력한 단속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적극적인 신고와 제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문화재 관련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112나 가까운 경찰관서로 적극 신고하여 줄 것을 부탁 드림

 

                    [사이버경찰청 2015-08-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55 우리나라 여권, 주민등록번호(뒷자리) 없이 발급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1 42
9754 우리나라 소비자역량지수 66.2점, 디지털거래역량은 56.4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0 22
9753 우리나라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 377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5 108
9752 우리나라 도시지역은 국토 면적의 16.7%(17,789㎢), 인구의 91.8% 도시에 거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4 14
9751 우리나라 국민 2명 중 한 명은 자동차 1대 보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6 41
9750 우리나라 국민 1인당 도로연장은 2미터…도로현황 통계 공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9 51
9749 우리나라 과자류 수출 증가율이 수입 증가율을 앞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4 56
9748 우리나라 20~30대 고위험 음주와 폭탄주 즐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1 44
9747 우리가 이동 시 얼마나 많은 탄소를 배출할까? 녹색교통에서 해법을 찾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5 7
9746 우리가 사는 세상의 변화 통계로 확인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8 9
9745 우리가 먹는 단체급식, 벤조피렌 염려하지 마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8 111
9744 우리가 마시는 음료, 현명하게 선택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6 34
9743 우리 집에는 어떤 환기설비가?…매뉴얼 보고 직접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5
9742 우리 집에 하자 발생하면 이렇게 대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84
9741 우리 집 음식폐기물, 퇴비·연료로 재활용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7 66
Board Pagination Prev 1 ...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