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업계의 자정노력 및 온라인광고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필요 -

 

최근 고령화, 건강·미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가로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증가추세를 보이며 관련 온라인광고도 늘고 있으나, 의료기기가 아닌 제품을 의료기기처럼 광고하는 사례도 적지 않아 주의가 필요하다.


- '의료기기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83.1%로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이 한국인터넷광고재단과 협력해 온라인에서 건강·미용을 내세워 판매중인 제품 광고를 모니터링*한 결과, 의료기기법상 금지된 광고로 볼 수 있는 사례가 142건으로 나타났다.

* 랭키닷컴 접속자수 기준 상위 3개 오픈마켓(11번가, G마켓, 옥션)의 건강·미용 관련 68개 카테고리 내 판매실적 상위 1,360개 제품 광고

유형별로는 의료기기가 아님에도 의료기기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118(83.1%)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심의받은 내용과 다르거나 심의결과를 표시하지 않은 광고’ 21(14.8%), ‘허가취하 의료기기 광고’ 3(2.1%) 순으로 나타났다.


- 일반공산품에 혈액순환 개선”, “자세·체형 교정”, “통증 완화등의 표현 사용, 의료기기로 오인할 우려 있어

'의료기기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 118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마사지기·패치·팔찌 등이 혈액순환 개선효과가 있다거나(21), 의자·베개·밴드 등이 자세·체형을 교정한다거나(19), 복대·찜질팩·안마의자 등이 통증을 완화하고(14), 제모기·잔털면도기 등이 모근 제거효과가 있다는(11) 등의 표현을 일반공산품 광고에 사용하고 있었다.


- 심의받은 내용과 다르거나 심의결과를 표시하지 않은 의료기기 광고도 있어

현행 의료기기법에서는 의료기기를 광고하려는 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심의를 받고 그 결과를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모니터링 결과, 이를 준수하지 않은 의료기기 광고가 21(14.8%) 확인됐다. 세부적으로는 심의받은 광고내용과 다른 내용을 추가한 경우가 11건으로 가장 많았고, ‘조건부 승인 시 지적사항(표현 수정·삭제) 미이행‘ 5, ‘심의번호 또는 의료기기 광고심의필 미표시’ 5건 등으로 나타났다.


           [ 심의받은 내용과 다르거나 심의결과를 표시하지 않은 의료기기 광고 사례 ]

구       분

세        부        내         용

심의내용과 다른
내용 추가

만족도 1위 손목보호대 ○○○○표현 추가

한국소비자만족지수 헬스케어 부문 1표현 추가

“2006년 국내 판매 1○○○표현 추가

조건부 승인 시
지적사항 미이행

가장 안전하고표현 미삭제

"작고 얕은 구멍이 송송 나 있어" 표현 미삭제

"모든 불순물을 제거하고"에서 "모든표현 미삭제

심의번호 또는
광고심의필 미표시

심의번호와 광고내용 상이(허리부위 부목에 대한 심의 후 무릎보조기 광고에 사용)

광고상 심의필 마크 크기가 너무 작아 심의번호 확인 곤란


또한, 3개 제품은 의료기기 허가를 취하한 후에도 여전히 의료기기로 광고하며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건강·미용 관련 제품 판매사업자의 부당광고에 대한 자율적인 개선 노력 강화를 촉구하고, 관계 부처에 의료기기 오인 우려 광고, 심의결과와 다른 광고, 허가취하 의료기기 광고 등에 대한 단속 강화 사전심의 의료기기 광고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 의무화(의료기기법개정) 등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온라인상에서 의료기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기처럼 광고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45 2016년중 금감원 콜센터 1332로 접수된 주요 금융애로 상담사례 및 제도개선 내용(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3 56
8944 피부.성형용 의료기기 거짓.과대광고 집중 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3 56
8943 2016 4분기 외식업 경기 침체 지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3 56
8942 2016년 12월 소비자상담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56
8941 ‘치아매니큐어’,‘휴대용 공기’의약외품으로 관리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6
8940 밸런타인데이 대비 초콜릿 등 제조업체 전국 일제 점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9 56
8939 신용카드 이용 관련 알림서비스 강화 추진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9 56
8938 5가지 감염병을 예방하는 5가 혼합백신 도입, 접종횟수 최대 9회에서 3회로 줄여 국가예방접종 편의성 향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9 56
8937 불법사금융 피해근절을 위한 전화번호 이용중지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9 56
8936 봄철에 놓치지 말아야 할 정부서비스 「정부3.0 서비스 알리미」에서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6 56
8935 국내 유통 패류, 패류독소로부터 안전해요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56
8934 동남아 여행 시 설사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56
8933 미국산 병아리, 계란, 닭고기 수입금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56
8932 통장을 빌려주면 돈을 준다는 불법 문자메시지 급증, 소비자경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56
8931 ’17년 1월~ ’17년 3월 전국 아파트 78,534세대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2 56
Board Pagination Prev 1 ...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