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7년 동절기 한파 대비 독거노인 보호대책 수립․추진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독거노인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겨울나기를 위해「동절기 독거노인 보호대책」을 수립․추진한다고 밝혔다.

□ 우선, 비상연락망 구축으로 신속한 보고체계를 확립하고, 독거노인 가구 ‘사전점검’을 통해 응급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예정이다.

 ○ 독거노인을 현장에서 직접 만나는 생활관리사를 시작으로, 관할 지자체를 거쳐 복지부로 이어지는 비상연락망 구축을 통해 신속한 보고체계를 구축․운영한다.

     * (유선 신속보고 체계) 수행기관 → 보건복지부<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시군구, 거점수행기관

     * 생활관리사(’17. 9,168명) : 유선․방문 안부확인 및 생활교육 등 현장업무서비스관리자(사회복지사, ’17. 432명) : 생활관리사 교육 및 관리, 행정업무

 ○ 또한, 겨울철 누전 등으로 인한 화재 및 동파 사고 예방을 위하여 취약 독거노인 가구의 전기‧수도 등에 대한 사전점검(’17.11~’18.2월)을 실시한다.

     * 지자체가 수도사업소, 가스‧전기안전공사 등 유관기관과 협조하여 점검 실시

□ 현장 돌봄인력인 생활관리사 등을 통하여 한파 및 대설 주의보‧경보 발령 시 담당 독거노인에게 유선전화 또는 직접 방문하는 일일 안전확인을 시행하고,

 ○ 위급상황 발견 시 응급조치와 함께, 응급의료센터 및 병원으로 이송하도록 하였다.

□ 폭설․한파에 취약한 독거노인*을 파악하여 “한파 대비 행동요령 등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과 홍보”를 통해 전담관리(’17.11~’18.2월)토록 하였다.

     * 심혈관계 질환을 앓는 노인, 거동이 불편한 노인 등

 ○ 생활관리사에 대한 사전 교육(’17.11월)을 진행하여 담당 독거노인에게 대설․한파 시 행동요령을 전파하도록 하는 한편, 응급상황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연락처를 제공한다.

     * 수행기관 서비스관리자가 노인돌봄서비스 수행인력에 대한 선행교육(’17.11월)

     * 연락처 : 119, 생활관리사 연락처,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1661-2129) 등

 ○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에 동절기 한파 대비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포스터를 배포(’17.12월)한다.

□ 아울러, 민․관협력을 통해 후원물품을 지원하는 등 동절기 취약 독거노인의  “지속적 보호”에도 힘쓸 계획이다.


 ○「독거노인사랑잇기사업*」협약 기업 및 단체와 협력하여 취약 독거노인에게 난방용품, 식료품 등을 전달한다.(’17.11~’18.2월)

     * 민‧관에서 운영 중인 콜센터 직원 또는 자원봉사자가 독거노인과 결연을 맺고 정기적 안부확인 및 정서적지지, 후원물품 전달 등 지원

     * 난방용품 : 온열매트(전기장판/온수매트 등), 침구류, 내복, 전기찜질기 등
     * 식료품 : 김장김치, 쌀, 국, 라면, 김, 반찬류 등

□ 복지부는 지자체 별로 동절기 독거노인 보호에 힘써줄 것을 당부하고, 지속적인 실태 점검 등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7-11-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85 아파트 옵션 계약 시 내용 구체화하고 이행 여부 꼼꼼히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6 19
4984 아파트 옵션 계약 해지 쉬워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30
4983 아파트 완공 직후 층간소음 측정 의무화! 층간소음 사후확인제가 최초로 시행됩니다 「주택법」, 8월 4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02 7
4982 아파트 이상 고·저가 직거래 전국단위 기획조사 착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7 48
4981 아파트 인테리어 잘하는 곳, 이제는 앱으로 찾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8 82
4980 아파트 임차인 보호를 위한 화재보험 약관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4 20
4979 아파트 입주자모집공고, 23.0%는 공동주택성능등급 인증서 누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26 39
4978 아파트 지하주차장 높이 2.7m 이상으로 상향…택배대란 막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9 25
4977 아파트 차단기 있어도 소방차, 경찰차는 무사통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7 65
4976 아파트 층간소음, 시공 후 성능확인으로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0 6
4975 아파트 하자 인정 확대로 입주민 권익이 강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1 9
4974 아파트 환기설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낮아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7 32
4973 아파트·지하주차장에 감시용 ‘네트워크 카메라’ 설치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9 54
4972 아파트표준공급계약서 및 자동차운전학원 표준약관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3 8
4971 아프리카 DR콩고 에볼라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5 46
Board Pagination Prev 1 ...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