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4개 영역(출산, 아동보육, 청년층, 경력단절)에 대한
출생 및 혼인코호트별 주요 특성 분석 결과


◈ 출산과 아동돌봄

  ○ 기대자녀수는 4.5명(1950년~1954년 혼인)에서 1.9명(2005년~2009년 혼인)으로 감소

  ○ 혼인코호트별 무자녀 비중은 2.6%(1990~1994년 혼인코호트)에서 5.9%(2000~2004년 혼인코호트)로 증가

  ○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전반 혼인코호트에서 첫 출산간격은 완만하게 증가
    - 혼인코호트별 첫 출산간격은 1970~1974년 혼인코호트부터 1990~1994년까지 완만한 감소 추세이나,
      1990년대 후반 혼인코호트부터 첫 출산간격은 완만하게 증가
    - 2000년대 중반 혼인코호트부터 만혼으로 인해 첫 출산간격은 감소

  ○ 서울·경기·세종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은 결혼 후 첫 출산을 지연시키는 경향이 강함
    - 첫 출산간격이 긴 지역은 서울(1.75년), 경기(1.66년), 세종(1.63년) 순임

  ○ 취업모의 자녀는 비취업모의 자녀보다 어린이집·놀이방 이용률이 17.4%p 높음


◈ 노동시장 진입과 경력단절

  ○ 2010년에서 2015년 기간 청년층 인구(15~34세) 중 비재학·비취업 인구는 0.6%p 증가한 반면,
      재학·비취업 인구는 1.8%p 감소
    - 이 같은 변화는 동 기간 중 청년층의 진학률 감소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보임

  ○ 여성 청년층(15~34세)의 취업자 비중은 20대 후반까지 상승세를 유지하나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
    - 29세 이후에 남성은 비재학·취업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여성은 감소함

  ○ 2010년~2015년 기간 중 여성의 ‘M’자 곡선의 함몰 시기는 지연되고, 깊이는 완화
    - 2010년에는 30대 전반과 30대 후반의 취업자 비중이 유사하나, 2015년에는 30대 후반의
      취업자 비중(56.5%)이 가장 낮아 여성의 경력단절 함몰의 시기가 지연되고, 함몰의 깊이도 완화

  ○ 경력단절 사유로 ’결혼’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나, 1960년생 이후 ’임신·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의 비중이 상승하여 1978년생 이후 경력단절의 주된 사유가 됨



[ 통계청 2017-11-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70 아프리카TV 증권방송(프리캡)을 통한 투자자보호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0 77
4969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에 따른 농가 지원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0 46
4968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8 34
4967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검출 '과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2 26
4966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검출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제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33
4965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검출 ‘땅콩’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5
4964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검출된 땅콩버터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8 103
4963 아플라톡신 기준을 초과한 '된장'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12 12
4962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10
4961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된장’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8 7
4960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볶음땅콩’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1 21
4959 악성임대인 명단 공개 관련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4 19
4958 안 먹는 홍삼, 중고로 판매하면 안 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7 13
4957 안갯속 도로, 첨단장비 도입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9 49
4956 안과 관련 소비자피해,‘백내장’등 노인성 질환 부작용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75
Board Pagination Prev 1 ...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