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구입 시 품질과 A/S 가능여부 등 꼼꼼히 살펴야 -

최근 걷는 것보다 빠르고 비교적 휴대도 간편해 전동킥보드, 전동보드(전동휠), 전동스쿠터 등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고 관련 피해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중 전동킥보드 및 전동보드(전동휠)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바퀴, 배터리, 전기모터, 발판, 핸들 등의 부품으로 구성됨. 전동스쿠터(의료용 제외)는 전동킥보드 및 전동보드 구성 부품 이외 좌석이 추가된 이동기구임.

올해 들어 피해구제 신청 급증

지난 4년 9개월간(2013.1.1.~2017.9.30.)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08건으로, 올해는 9월까지 75건이 접수되어 전체 피해구제 접수건수의 69.4%를 차지할 정도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전동킥보드’가 56건(51.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동보드(전동휠)’ 31건(28.7%), ‘전동스쿠터’ 21건(19.4%) 등이었다.

                                                         [ 연도별 접수현황 ]

                                                                                                      (단위 : )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1~9

피해구제

5

2

7

19

75

108

소비자상담*

30

18

45

119

270

482

* 1372소비자상담센터(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에 접수된 상담건수

품질 관련 피해가 91.7%, 상해사고도 15건 발생

피해유형별로는 ‘품질’ 관련이 99건(91.7%)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계약’ 관련 6건(5.6%), ‘광고’ 관련 2건(1.8%) 등으로 나타났다.

품질 관련 피해 중에서는 ‘배터리’ 관련이 39건(35.8%)으로 가장 많았고, ‘브레이크' 및 '핸들장치’ 각 9건(8.3%), ‘프레임’ 및 ‘성능미달’ 각 8건(7.3%) 등의 순이었다. 또한, 해당 장치의 품질 불량으로 인해 상해사고를 입은 경우도 15건에 달했다.

                                                                  [ 품질 하자별 현황 ]

                                                                                                                 [단위 : , (%)]

구분

배터리

브레이크

핸들장치

프레임

성능미달*

타이어

소음

기타**

***

건수 (비율)

39 (35.8)

9

(8.3)

9

(8.3)

8

(7.3)

8

(7.3)

6

(5.5)

6

(5.5)

24 (22.0)

109 (100.0)

* 1회 충전 주행거리 미달, 운행속도 미달 등
** 제품 표면 결함(흠집, 스크래치, 도색 불량 등), 일부 부품 미배송 등
*** 중복집계된 10건 포함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구입 시 ▲제품 구조의 안전성 및 견고성, 품질보증기간 등 A/S 정책이나 생산물배상책임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할 것 ▲설명서와 사용법을 충분히 숙지하고 일상점검을 철저히 한 후 운행할 것 ▲급경사, 장애물 등을 피하고 야간 주행 시에는 전후방 반사체를 부착할 것 ▲신체 보호장구를 착용하여 안전하게 이용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11-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49 국립공원 이용시 사회적 안전거리 준수와 겨울철 안전사고 대비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0.11.30
1848 찬바람 부는 겨울, 감기약 먹을 때 주의할 사항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0.11.30
1847 콘택트렌즈 오사용·부주의로 인한 부작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20.11.27
1846 본격적인 겨울, 12월에는 대설·한파·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0.11.26
1845 주식회사 재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20.11.26
1844 편의점업계와 힘을 모아 메신저피싱(문자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공동 홍보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0.11.25
1843 해외 쇼핑몰에서 배송대행지로 배송 중 분실·도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0.11.25
1842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0.11.23
1841 어린이 질식 위험 있는 Eishindo 젤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0.11.23
1840 끝부분이 날카로워 부상 위험 있는 Dulton 커트러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0.11.23
1839 리벳 파손으로 사용자 부상 위험 있는 예초기 날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0.11.23
1838 라텍스 성분 주의사항 미표기된 Nylatex wraps 의료용 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0.11.23
1837 화재 위험과 가스 중독 위험 있는 Hewei 스팀 다리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11.23
1836 과전류 차단 장치가 없어 화재,화상 위험 있는 고데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0.11.23
1835 처방약 성분 함유하여 피부 자극 위험 있는 MAKARI 미백 크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11.23
1834 어린이 안전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Medique 진통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0.11.23
1833 어린이 안전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Medi-First, Medique 감기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0.11.23
1832 곰팡이 필 가능성 있는 Hostess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0.11.23
1831 우유 성분 미표기된 Nature’s Way 어린이 영양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0.11.23
1830 제품 일부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Disney 토이스토리 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Board Pagination Prev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