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구입 시 품질과 A/S 가능여부 등 꼼꼼히 살펴야 -

최근 걷는 것보다 빠르고 비교적 휴대도 간편해 전동킥보드, 전동보드(전동휠), 전동스쿠터 등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고 관련 피해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중 전동킥보드 및 전동보드(전동휠)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바퀴, 배터리, 전기모터, 발판, 핸들 등의 부품으로 구성됨. 전동스쿠터(의료용 제외)는 전동킥보드 및 전동보드 구성 부품 이외 좌석이 추가된 이동기구임.

올해 들어 피해구제 신청 급증

지난 4년 9개월간(2013.1.1.~2017.9.30.)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08건으로, 올해는 9월까지 75건이 접수되어 전체 피해구제 접수건수의 69.4%를 차지할 정도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전동킥보드’가 56건(51.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동보드(전동휠)’ 31건(28.7%), ‘전동스쿠터’ 21건(19.4%) 등이었다.

                                                         [ 연도별 접수현황 ]

                                                                                                      (단위 : )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1~9

피해구제

5

2

7

19

75

108

소비자상담*

30

18

45

119

270

482

* 1372소비자상담센터(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에 접수된 상담건수

품질 관련 피해가 91.7%, 상해사고도 15건 발생

피해유형별로는 ‘품질’ 관련이 99건(91.7%)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계약’ 관련 6건(5.6%), ‘광고’ 관련 2건(1.8%) 등으로 나타났다.

품질 관련 피해 중에서는 ‘배터리’ 관련이 39건(35.8%)으로 가장 많았고, ‘브레이크' 및 '핸들장치’ 각 9건(8.3%), ‘프레임’ 및 ‘성능미달’ 각 8건(7.3%) 등의 순이었다. 또한, 해당 장치의 품질 불량으로 인해 상해사고를 입은 경우도 15건에 달했다.

                                                                  [ 품질 하자별 현황 ]

                                                                                                                 [단위 : , (%)]

구분

배터리

브레이크

핸들장치

프레임

성능미달*

타이어

소음

기타**

***

건수 (비율)

39 (35.8)

9

(8.3)

9

(8.3)

8

(7.3)

8

(7.3)

6

(5.5)

6

(5.5)

24 (22.0)

109 (100.0)

* 1회 충전 주행거리 미달, 운행속도 미달 등
** 제품 표면 결함(흠집, 스크래치, 도색 불량 등), 일부 부품 미배송 등
*** 중복집계된 10건 포함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구입 시 ▲제품 구조의 안전성 및 견고성, 품질보증기간 등 A/S 정책이나 생산물배상책임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할 것 ▲설명서와 사용법을 충분히 숙지하고 일상점검을 철저히 한 후 운행할 것 ▲급경사, 장애물 등을 피하고 야간 주행 시에는 전후방 반사체를 부착할 것 ▲신체 보호장구를 착용하여 안전하게 이용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11-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09 봄철 생활 주변 위험 신고는「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0.04.01
2508 봄철 수산물 패류독소 안전관리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3.05
2507 봄철 야생진드기 주의…3~6월에 SFTS 바이러스 감염률이 7~12월에 비해 2배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18.04.09
2506 봄철 야생초로 담금주 만들 때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9.04.08
2505 봄철 축제 기본질서 지키며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18.04.05
2504 봄철 패류.피낭류에서 생기는 독소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02
2503 봄철 패류독소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1.03.15
2502 봄철 퍼프린젠스 식중독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3.22
2501 봄철 환절기 대비,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4.03.21
2500 봄철,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19.03.05
2499 봄철에는 조리된 식품의 보관온도를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3.15
2498 부동산펀드로 원금보장,고수익이 가능하다고 현혹하는 유사수신업체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04
2497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Hisea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4.03.18
2496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NBY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4.03.18
2495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Omouboi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3.18
2494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SBART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4.03.18
2493 부력 조절 실패하여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Apeks 다이빙 부력자켓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1.17
2492 부상 및 사망 위험있는 Meguiar 자동차 자가 수리 용품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09
2491 부상 위험 있는 Defender Security E2528 유리 문손잡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11.22
2490 부상 위험 있는 Defender Security E2537 유리 문손잡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11.22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