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구입 시 품질과 A/S 가능여부 등 꼼꼼히 살펴야 -

최근 걷는 것보다 빠르고 비교적 휴대도 간편해 전동킥보드, 전동보드(전동휠), 전동스쿠터 등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고 관련 피해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중 전동킥보드 및 전동보드(전동휠)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바퀴, 배터리, 전기모터, 발판, 핸들 등의 부품으로 구성됨. 전동스쿠터(의료용 제외)는 전동킥보드 및 전동보드 구성 부품 이외 좌석이 추가된 이동기구임.

올해 들어 피해구제 신청 급증

지난 4년 9개월간(2013.1.1.~2017.9.30.)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08건으로, 올해는 9월까지 75건이 접수되어 전체 피해구제 접수건수의 69.4%를 차지할 정도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전동킥보드’가 56건(51.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동보드(전동휠)’ 31건(28.7%), ‘전동스쿠터’ 21건(19.4%) 등이었다.

                                                         [ 연도별 접수현황 ]

                                                                                                      (단위 : )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1~9

피해구제

5

2

7

19

75

108

소비자상담*

30

18

45

119

270

482

* 1372소비자상담센터(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에 접수된 상담건수

품질 관련 피해가 91.7%, 상해사고도 15건 발생

피해유형별로는 ‘품질’ 관련이 99건(91.7%)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계약’ 관련 6건(5.6%), ‘광고’ 관련 2건(1.8%) 등으로 나타났다.

품질 관련 피해 중에서는 ‘배터리’ 관련이 39건(35.8%)으로 가장 많았고, ‘브레이크' 및 '핸들장치’ 각 9건(8.3%), ‘프레임’ 및 ‘성능미달’ 각 8건(7.3%) 등의 순이었다. 또한, 해당 장치의 품질 불량으로 인해 상해사고를 입은 경우도 15건에 달했다.

                                                                  [ 품질 하자별 현황 ]

                                                                                                                 [단위 : , (%)]

구분

배터리

브레이크

핸들장치

프레임

성능미달*

타이어

소음

기타**

***

건수 (비율)

39 (35.8)

9

(8.3)

9

(8.3)

8

(7.3)

8

(7.3)

6

(5.5)

6

(5.5)

24 (22.0)

109 (100.0)

* 1회 충전 주행거리 미달, 운행속도 미달 등
** 제품 표면 결함(흠집, 스크래치, 도색 불량 등), 일부 부품 미배송 등
*** 중복집계된 10건 포함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구입 시 ▲제품 구조의 안전성 및 견고성, 품질보증기간 등 A/S 정책이나 생산물배상책임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할 것 ▲설명서와 사용법을 충분히 숙지하고 일상점검을 철저히 한 후 운행할 것 ▲급경사, 장애물 등을 피하고 야간 주행 시에는 전후방 반사체를 부착할 것 ▲신체 보호장구를 착용하여 안전하게 이용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11-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49 Fair&White Miss White 바디로션, 유해물질 함유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2 2020.05.21
648 부품 내구성 문제가 발생한 전기 믹서 2개 제품,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17.08.01
647 추석연휴 해외여행객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17.09.28
646 Lao Gan Ma 고추기름, 병뚜껑 가소제 제품 유입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19.04.11
645 Collegiate 말안장, 사용자 낙상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19.06.14
644 학교 휴업 기간, 집에서 안전교육 받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20.03.23
643 칠갑농산㈜ ‘더 커진 쫄면떡볶이’, 양념소스 부패 우려로 교환·환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4 2017.10.23
642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9.26~2016.10.0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15 2017.03.22
641 기능성(흡습·속건) 등산바지, 전 제품이 흡수성 매우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5 2017.09.27
640 Traditional Medicinals 허브차(Throat Coat Lemon Echinacea),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5 2018.06.21
639 9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6 2017.09.04
638 타투 · 페이스 페인팅 · 바디 페인트 제품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6 2019.09.26
637 알루미늄 식기 안전하게 사용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7 2017.07.18
636 Walker Tape 가발 접착제, 생식독성 및 피부 자극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7 2019.01.31
635 SUZUKI KingQuad 750 리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18 2017.03.06
634 Soom 타히니 소스,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8 2019.02.07
633 Close 아기띠,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및 낙상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8 2019.04.11
632 Omega Pacific 카라비너, 파손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9 2018.03.21
631 Bachman 과자,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9 2019.04.11
630 2016년 1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20 2017.02.07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