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경보 제도가 시행된다.

  1. (주의경보 이전) A 병원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수액세트로 환자에게 주입되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주의경보 시행이전의 경우 A 병원 차원에서 안전대책을 수립할 수는 있으나, B병원에서는 동일 제조사의 수액세트 제품을 사용하더라도 A병원의 사고 정보가 없어 동일한 사고의 재발 위험성이 상존
  2. (주의경보 시행이후) A병원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수액세트가 발견되어 환자에게주입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동 내용에 대한 주의경보를 발령할 경우 동일 제조사의 수액세트를 사용하는 모든 병원에 전파되어 유사사고의 재발방지 및 예방에 기여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환자안전 사고에 대한 주의경보 제도*를 마련해, 올해 11월 15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환자안전법 제16조 ② 보건복지부 장관은 환자안전사고가 새로운 유형이거나 환자안전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등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주의경보를 보건의료기관에 발령하여야 한다.

환자안전사고 주의경보(Patient Safety Alert)는 의료기관 등으로부터 자율보고를 통해 수집된 환자안전사고를 분석해 환자안전에 새로운 위험요인이 확인되거나 중대한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사고 등을 선별, 환자안전위험 정보를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유사 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령대상 사건 선정기준)

① 새로운 유형의 위험요인의 등장, ② 환자안전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 , ③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형의 사고가 급증한 경우, ④ 사회적 이슈화된 사건, ⑤ 식약처, 중재원, 소보원, 의약품안전관리원 등 유관기관에서 주의경보발령이 필요하다고 요청한 경우, ⑥ 전문가분석(워킹그룹, 전문가 자문단) 과정에서 주의경보 발령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등(환자안전법 시행규칙 제14조)

환자안전 주의경보 제도는 미국, 영국 등 주요국가에서도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이미 시행하고 있는 제도로서 각 나라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의 환자안전 주의경보 제도

  • (미국) 민간의료기관 인증기구인 JC(Joint Commission)에 적신호사건 경보(Sentinel Event Alert)를 1998년부터 운영
  • (영국) 국민건강서비스(NHS) 산하에 의료서비스 질관리기구인 NHS Improvement가 3단계(Warning, Resource, Directive)의 주의경보를 CAS(Central Alerting System)를 통해 제공
  •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의 의료서비스 질평가기구인 JCQHC(The Japan Council for Quality Health Care)에서 월 1회 정례적으로 의료안전정보지를 통해 제공

이번에 시행되는 환자안전 주의경보에는 주의경보의 대상이 되는 환자안전사고의 구체적 사례, 예상되는 위해의 유형 및 정도, 사고 위험요인, 재발방지대책 등이 포함되며 주의경보 발령 이후 추가적 환자안전사고의 재발 여부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동일한 환자안전사고의 추가적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환자안전 주의경보(Patient Safety Alert)의 주요내용입니다.
구분주요 내용
환자안전 주의경보
(Patient Safety Alert)
  • 대상) 전문가 분석 등을 통해 위해도가 높은 환자안전사고로 주의경보 발령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발령대상 사건 선정기준 참고)
  • 내용) 환자안전사고의 구체적 사례, 예상되는 위해의 유형 및 정도, 사고 위험요인, 재발방지대책 등 제시
  • 모니터링) 주의경보 이후 환자안전사고 재발 여부, 의료기관의 자체점검 결과 등에 대한 모니터링 시행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이번에 마련된 환자안전주의경보체계는 선진적 환자안전관리체계를 갖추기 위한 중요 제도로 의료기관이 환자안전사고의 위험에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잠재위험요인을 적극 발굴하는 등 환자안전 주의경보체계를 활성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보건복지부는 환자안전법 시행 이후 그간(’16.7.29~’17.9.30) 수집된 3,060건의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자율보고 사례*에 대해

* 환자안전법 제14조에 따라 의료기관내에서 발생한 환자안전사고에 대해 자율보고토록해 관련 사례를 타의료기관과 공유함으로써 유사한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는 제도

전문가 검토를 거쳐 원인 분석, 재발방지대책 등을 마련해 주의경보 발령, 주제별 보고서, 통계연보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의료기관, 유관단체 등에 제공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 자율보고 3,060건 중 다빈도 사고 요약 (참고 2)

낙상 및 약물 오류 보고가 전체의 77.7%(2,379건) 차지

낙상(1,522건)의 경우 주 사고 장소는 병상(53.9%, 821건), 주 연령대는 60대 환자가 전체 사고의 76.1%(1,159건)를 차지

* 침상에서 발생한 사고(918건) 중 침상 보조난간이 내려져 발생한 사고(9.5%, 87건)보다 올려져 발생한 사고 비율(12.9%, 118건)이 더 높음

약물 오류의 경우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의 보고가 다수(94.2%, 808건)

약물 오류 유형은 의사의 처방시 오류(43.8%, 375건), 간호사의 투약 과정에서의 실수(34.2%, 293건), 약사의 조제 오류(20.1%, 172건) 순

* 처방 오류 중 다수는 주로 용량오류(42.4%, 159건), 중복처방(32.3%, 121건) 등임



[ 보건복지부 2017-11-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71 기아(주) 스팅어 차량 엔진오일 압력 경고등 오점등 현상 관련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9 2023.03.09
3270 기아자동차(주) 니로 차량 경고등 점등 무상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73 2016.11.28
3269 기아자동차(주) 레이 차량 운전석 시트 열선 관련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0.08.19
3268 기아자동차(주) 쏘렌토 HEV, 니로 EV, 쏘울 EV, 봉고 EV 차량 인버터 냉각수 경고등 오점등 관련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2.04.04
3267 기아자동차(주) 쏘렌토 차량 인터쿨러 누유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9 2019.07.22
3266 기아자동차(주) 올뉴쏘렌토(UM) 차량, 변속레버 P단 해제 안되는 문제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7 2020.05.22
3265 기아자동차(주) 카니발(YP) 차량 슬라이딩 도어 닫힘 불량 현상 관련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9 2021.05.12
3264 기아자동차㈜ K7 3.3 차량, 경고등 점등 현상으로 써모스탯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4 2018.02.07
3263 기아자동차㈜ 쏘렌토UM 차량 도어래치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9 2017.07.27
3262 기울기가 가파른 문제로 낙상 우려 있는 CaTeam 유아용 해먹 그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7
3261 기저귀 교환대, 영유아 낙상사고 많아 사용 시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08.23
3260 기저귀교환대, 안전사고 위험 높고 위생상태 불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8.01.11
3259 기존 제품과 맛이 다르게 제조된 AGF Cafe latory 커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1.12.27
3258 기준 초과 비소 함유한 Bubs Organic Banana Rice 영유아용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10.08
3257 기준 초과 비소 함유한 Bubs Organic Rice 영유아용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1.10.08
3256 기준 초과 산화에틸렌 함유한 SUPERNATURE Catherine Kluger 그래놀라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1.28
3255 기준 초과 산화에틸렌 함유한 SUPERNATURE Catherine Kluger 그래놀라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1.28
3254 기준을 초과한 프탈레이트를 함유한 봉제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11.04
3253 기준치 초과 PAH가 검출될 가능성이 있는 STIHL 장갑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2.02.11
3252 기준치 초과 PAH가 검출될 수 있는 STIHL 장갑 회수 및 환급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2.03.08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