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43.4%가 소비자문제 경험, 가격 관련 문제 경험률 높아 -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소비생활만족 지수가 2015년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소비자원은 국민이 체감하는 소비생활 여건, 만족, 문제 경험 등을 측정·분석하여 격년 주기로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발표함으로써 한국인의 현재 및 미래 소비생활을 조망함.

▶ 전국 20세 이상 남녀 5,000명 대상 설문조사 시행(2017.7.26.∼8.22.)

▶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1.39%

종합 소비생활만족 76.6점, 2015년 대비 12.8점 향상, 2013년 수준 회복상승

소비자가 평가한 종합 소비생활만족 지수는 76.6점을 기록하여 2015년(63.8점) 대비 12.8점 향상됨으로써 2013년(71.6점)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생활 분야별로는 식품?외식(78.0점), 의류(77.0점), 주거(76.6점) 등 가계 필수지출 비목의 소비생활만족 지수가 전반적으로 높아졌다.

자녀양육기 소비생활만족 높고, 은퇴기도 크게 향상

생애주기별로는 자녀양육기 소비자가 가장 높은 만족(77.9점)을 표했고, 은퇴기(76.9점)는 2015년(59.1점)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밖에 부부가족기 및 독신기 소비자가 체감하는 만족도 각각 상승하였다.

경상지역의 소비생활만족 높아

지역별로는 경북(81.2점), 경남(80.6점), 부산·대구(80.5점) 등 경상권의 만족이 높아진 반면, 제주(67.8점), 세종(65.4점), 전남(65.1점), 강원(61.2점) 등의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43.4%는 여전히 소비자문제 경험해

반면, 소비생활에서 문제를 경험한 소비자 비율은 43.4%로 2015년(59.6%)보다 낮아졌지만, 여전히 다수의 소비자가 소비생활 중에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신규 조사 품목인 정보통신기술(ICT) 기기 관련 소비자문제 경험률은 19.3%로, 필수지출 비목인 식료품(24.4%), 외식서비스(23.0%), 의류·신발·가방(22.5%)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지속적 시장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 교환·취소·환불·배상어려움, 안전불안 문제 경험 비율 높아

유형별로는 2015년과 마찬가지로 가격(29.2%)에서 가장 높은 문제 경험률을 보였고, 교환·취소·환불·배상 어려움(13.4%), 안전불안(12.6%) 문제와 더불어 2년 전보다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사업자 계약불이행(10.5%), 분쟁시 피해구제 어려움(11.6%) 관련 문제 경험률은 상대적으로 많이 상승한 반면, 품질불량(5.9%)으로 인한 문제 경험률은 2년 전보다 6.0%p 줄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를 토대로 소비자권익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소비생활 여건 개선이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금번 결과가 ‘취약분야의 소비생활 개선’ 및 ‘지역 실정을 반영한 소비자 행정 활성화’를 뒷받침하는 증거기반 정책 마련의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경제주체를 대상으로 세부 조사결과를 공개할 예정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국내·외 소비자정책 논의 과정에 지표 분석결과를 반영하고, 지역 밀착형 소비자정책 확대 및 맞춤형 지역소비자 행정 활성화의 토대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소비생활지표를 활용한 지역소비자 정책 세미나 개최 등 유관 부처와 소통?협력체계 강화를 지속해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한국소비자원 2017-11-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58 찌개류 가정간편식, 한 끼 식사로는 영양성분 부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4
4957 잔류농약 기준을 초과한 쌀눈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22
4956 바라밀 씨앗 함유 수입 절임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8
4955 무신고 소분제품을 사용한 빵류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22
4954 일부 청바지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32
4953 7월은 '주민세 재산분' 신고·납부의 달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0
4952 깜빡 잊고있던 나의 지방세 미환급금 찾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8
4951 휠체어·유모차의 도시철도 이용, 모바일로 편리하게 이동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84
4950 2020년 상반기선불식 할부거래업자 주요정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8 16
4949 공정위, 주소 불명 상조소비자에게 피해보상금 지급 재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8 16
4948 2020학년도 2학기 학자금대출 시행, 대출금리 1.85%로 추가 인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8 14
4947 취업에 필요한 대학 관련 증명서 정부24에서 한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8 13
4946 나 홀로 1인 세대 877만 명, 전체 주민등록 세대의 38.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8 17
4945 장기 미보유(멸실인정) 차량 말소등록 쉬워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9 61
4944 맞벌이 부부도 안심, 아파트에서 돌봄서비스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9 34
Board Pagination Prev 1 ...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