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정부는 지난 8월 살충제 계란 사태를 계기로 계란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10월 10일부터 살충제 검사항목을 확대(27종→33종)*하고,
○ 확대한 검사항목을 적용하여 지자체와 합동으로 전통시장, 온라인 쇼핑몰 등 취약지대 유통 계란에 대한 수거․검사를 실시 중이다.
* 검사항목 : 기존 27종에 6종을 추가하여 총 33종으로 확대하였고, 특히 기존 27종 중 피프로닐 등 2종의 살충제에 대해서는 가축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사물질(피프로닐 설폰 등)도 검사토록 검사방법 개선

□ 시중 유통계란 449건에 대해 수거 검사 중 살충제가 검출되지는 않았으나, 8개 농가(전북 4곳, 전남 1곳, 경북 3곳)에서 생산된 계란에서 피프로닐의 대사산물(피프로닐 설폰)이 검출*(0.03~0.28mg/kg)되어 부적합 판정되었다.
* 계란의 피프로닐(대사산물인 피프로닐 설폰 포함) 잔류허용기준 : 0.02mg/kg
* 11.8 현재 449건 중 80건은 검사 중임

□ 특히 이번 검사는 지난 8월 살충제 계란 사태를 계기로 국민들의 건강 및 안전을 위해 촘촘한 계란 안전관리가 필요하다고 보고 기존 검사법을 국제기준 등에 따라 보완한 것으로서,
○ 검사항목 확대와 더불어 가축의 체내 대사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대사산물(피프로닐 설폰 등)도 처음으로 검사항목에 추가하여 실시한데 의의가 있다.

□ 이번 검사결과 피프로닐 모화합물 없이 대사산물만 검출된 것으로 볼 때, 그간 농가에 대한 지도․점검을 통해 피프로닐의 불법 사용은 줄었으나 과거 피프로닐에 노출된 결과 피프로닐의 대사산물이 계란에 이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원인 조사 중이다.
○ 한편, 그동안 위해 평가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면, 검출된 피프로닐 설폰의 최대함량인 0.28mg/kg을 가정할 때 건강에 위해를 일으킬 정도는 아니다.

□ 정부는 검사결과에 대한 조치사항으로 부적합 8개 농가에서 보관 및 유통 중인 계란은 지자체와 합동으로 전량 회수‧폐기 조치하고 추적조사 등을 통해 유통을 차단하고 있다.
○ 또한, 부적합 계란이 사용된 과자․빵 등 가공식품은 잠정 유통․판매 중단 조치 후 수거검사를 통해 살충제 성분이 기준초과 검출 될 경우 회수․폐기 조치할 방침이다.
* 마트 등 판매점, 음식점, 집단급식소, 제조가공업체에 부적합 농가 출하 계란 정보를 제공하여 부적합 판정계란의 유통 차단 조치
○ 아울러, 해당 농가에 대해서는 출하를 중지하고 3회 연속 검사 등 강화된 규제검사를 적용함은 물론 역학조사를 통해 검출 원인 파악 및 농약 불법 사용이 확인된 농가는 제재 조치한다.

□ 정부는 농가 관리를 위해서 확대된 검사항목 33종 및 등록 농약 상품명을 지자체․생산자단체 등에 제공하였고, 살충제 관련 농가 지도·홍보를 실시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 전수조사 이후 생산자단체, 유관기관, 지자체가 살충제 관련 유의사항, 사용기준 등에 대한 홍보물 32천건, 집합교육 4천명, 농가 방문홍보 3.5천건, 문자 93천건, 안내물 115천건, 전화 등 예찰 4천건 이상 실시(11.7. 기준)
○ 산란계 농가에 대한 불시 점검․검사*를 확대하여, 연말까지 산란계 농가 전체를 점검할 예정이다.
* 산란계 농가 전수 검사(8.15.~8.21.) 이후에도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불시 점검․검사 중(11.7. 기준 408농가)

□ 정부는 부적합 농가의 계란을 구매한 소비자는 판매 또는 구입처에 반품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부적합 계란관련 정보는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와 식품안전나라(foodsafetykorea.go.kr)에 국민들이 찾기 쉽도록 공개하고 있다.
- 아울러, 네이버‧다음 등 포털 검색창에서 살충제 계란 등을 검색한 후 ‘식품안전나라’로 바로가기를 하면 부적합 계란을 확인할 수 있다.
* 살충제 계란 검색 → 식품안전나라 ‘살충제 검출 계란확인’ 바로가기 → 난각번호 또는 농가명이나 주소 입력

□ 정부는 국민 식생활 안전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 식품안전관리개선T/F를 중심으로 식품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개선대책을 마련함과 동시에,
○ 안전한 계란 공급을 위하여 판매되는 모든 계란은 식용란선별포장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유통되도록 할 계획이다.
* 식용란선별포장업(‘17.10.24신설) : 식용란을 선별하고 알 표면의 이물 제거 및 효과적인 살균ㆍ소독처리를 거친 후 위생적으로 포장하고 표시를 하는 등의 처리를 하는 전문 계란 처리업
○ 살충제 사용의 원인이 되는 닭 진드기 방제를 개선하기 위해, 가금농가 진드기 관리 매뉴얼을 마련하여 보급하고(11월), 진드기 방제를 위한 공동방제 시범사업(‘18년), 전문방제업 신설(’18년) 등 닭 진드기 방제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11-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85 통계로 본 강원도 1인 가구 특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04 55
4984 나트륨.당류 저감제품 활성화를 위한 표시기준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06 55
4983 종합소득세 신고! 방문없이 전화없이 숏폼 영상만 보고 따라하면 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1 55
4982 명품구매 플랫폼 폭발적 성장, 청약철회 등 전자상거래법 적용 제각각게시글 타이틀 정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1 55
4981 2022년 4월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1 55
4980 코로나19 생활지원비 신청은 정부24에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2 55
4979 일부 베이킹파우더 제품, 올바른 권장사용량 표시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5
4978 2022년『에너지바우처』, 5월 25일부터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24 55
4977 인터넷ㆍ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 증가 추세 뚜렷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27 55
4976 라이브커머스 소비자 만족도, ‘주문 및 결제 과정’ 높고 ‘긍정감정’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12 55
4975 재난적의료비 신청 지원 기관과 신청자 편의 제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1 55
4974 「제3차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23~’27)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8 55
4973 2024년 생활시간조사, 3월 15일부터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5 55
4972 안마의자 렌탈계약 시 꼼꼼히 따져봐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5.04 56
4971 피부연고제, 성분에 따라 올바르게 사용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5.04 56
Board Pagination Prev 1 ...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