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사고의 피해가 큰 교통안전 분야의 개선을 위해 전 국민이 실천하는 안전문화운동을 추진한다.

그 첫 번째 활동으로, 교통사고가 제일 많이 발생하는 가을 단풍 행락철을 맞아 ‘전 좌석 안전띠 착용’과 ‘졸음운전 금지’를 주제로 시민단체·유관 기관들과 함께 3일에 기흥휴게소 등 전국 5개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교통 안전수칙 지키기 계몽홍보(캠페인)를 실시한다.

현재, 교통사고는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이고, 한국의 교통안전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비교할 때 지난 15년간 최하위권 수준*에 머물러 있다. 경찰청 통계에 의하면 2015년에는 4,621명의 사망자와 350,400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매 10분마다 6.75명이 교통사고로 다치거나 사망했다. 2015년에 발생한 총 232,035건의 교통사고 중 절반 이상인 56.2%는 교통안전법규를 지키지 않은 것이 원인이었다.

교통사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가 교통안전법규를 지키는 안전문화 정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에서는 지난 9월부터 시민단체, 교통안전공단 등 관련 기관과 함께 ‘안전문화 활성화 추진 특별 전담 조직(TF)’(위원장 : 안전문화운동추진협의회 민간위원장)를 구성하여 활동 과제를 발굴해오고 있다. 교통사고 발생의 피해가 큰 어린이 사고 및 고속도로 대형 교통사고와 관련된 ‘전 좌석 안전띠 착용’과 ‘졸음운전 금지’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기로 하였다.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은 2008년부터 「도로교통법」에 의해 의무화 되었지만 아직도 뒷좌석 안전띠 착용률은 절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2016년을 기준으로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는 전년대비 9.2%(6명) 증가하였고, 자동차 뒷좌석 승차 중 사망한 25명 중 11명은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졸음운전은 사고발생 순간까지 운전자가 상황을 인지하지 못해 속도 감속 등의 대응력이 떨어져 대형사고로 연계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번 3일 열리는 계몽홍보(캠페인)는 ‘사랑실은 교통봉사대’, ‘새마을 교통봉사대’,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전국모범운전자연합회’, ‘한국자전거단체협의회’ 등 시민단체가 중심이 되어 실시한다.

휴게소 방문객은 국민들 스스로 안전 실천을 다짐하는 ‘교통안전 다짐서명’ 활동과 안전띠의 중요성을 알 수 있는 체험 활동에 참여할 수 있고, 안전띠 씌우개(커버) 등 교통안전 용품을 받아볼 수 있다.

특히, 기흥휴게소에는 행정안전부 김부겸 장관과 안전문화운동추진협의회 민간위원장이 계몽홍보에 직접 참여하여 휴게소 방문객을 대상으로 교통안전 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국민들과 소통할 예정이다.

앞으로 행정안전부는 안전사회로 가기 위해 필수적인 선진 교통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계몽홍보뿐만 아니라 국민 대상 안전교육도 확대하는 등 다양한 활동들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선진국 수준의 교통안전을 위해 각 개인의 안전실천이 사회 안전의 밑거름이 된다.”라며, “국민 개개인의 안전수칙 준수를 당부 드린다.”라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2017-11-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76 주간 해외 안전정보 동향(141215-141219)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64 2014.12.29
4375 주간 해외 안전정보 동향(141208-141212)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45 2014.12.29
4374 가전제품 판매사이트 쵸코렛콤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69 2014.12.30
437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35 2015.01.05
4372 비트코인 결제를 이용한 타다리치코리아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809 2015.01.06
437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1.∼2015.1.8.)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25 2015.01.13
437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9.∼2015.1.15.)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71 2015.01.16
436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16.∼2015.1.22.)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98 2015.01.26
436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1.23.∼2015.1.29.)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75 2015.02.02
4367 [공지]라이터 판매사이트 퍼펙트듀퐁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120 2015.02.17
4366 2014년 1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81 2015.02.26
4365 2014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43 2015.02.26
436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2.13.∼2015.2.26.)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88 2015.03.02
436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2.27.∼2015.3.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53 2015.03.09
4362 질식 위험있는 Plastoy 목욕장난감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94 2015.03.16
4361 [보도]다이어트식품, 무료체험 미끼로 한 해외 결제사기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88 2015.03.19
4360 [공지]상품권 판매사이트 오일더머니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806 2015.03.23
435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3.13.∼2015.3.1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27 2015.03.23
435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3.20.∼2015.3.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66 2015.03.30
4357 모하비 차량 앞유리 무상 조치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965 2015.04.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