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부는 이번 겨울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6개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 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겨울철(`17.11.1~`18.2.28) 중점 관리 대상 재난안전사고로는 한파, 대설, 풍랑, 조류독감(AI, 조류인플루엔자), 화재, 도로교통사고가 선정되었다.

중점 관리 재난안전 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 / 행정안전부)상 발생 빈도*와 사회관계망(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정부는 중점 관리 유형을 관계 부처, 지자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으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유형별 행동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 (한파) 금년 겨울철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12월에 일시적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행정안전부는 겨울철 저체온증 사망 관련 요인*들을 조합하여 한파 위험지수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파 사망자 통계(`03~`15)를 살펴보면 11월 3주차에서부터 증가하여, 12월 4주 ~ 1월 1주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전체 사망자 중 60대 이상이 50%, 40~50대가 41%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파 사망자는 기후적 요인뿐 아니라, 인구구조적으로도 취약*한 지역에서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한파 위험지수가 높은 지역에서는 동절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종합 지원센터, 보호시설 등을 운영하는 등 한파피해 예방활동이 필요하다.

- (대설) 겨울철 강수량은 평년보다 비슷하거나 적겠으나, 과거 사례를 볼 때 찬 대륙고기압 확장 시 지역적(국지적)으로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10년(12.29~1.1)에는 광주, 경기, 전남, 전북 등 지역에 대설로 283억 원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행정안전부는 대설·한파 등 겨울철 자연재난으로 인한 인명·재산피해와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겨울철 안전대책을 추진한다.

대책 기간(기간:`17.11.15~`18.3.15*)에는 24시간 철저한 상황 관리와 제설장비, 자재 비축 및 재난 취약지역**을 집중 관리할 예정이다. 특히,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지역 및 주요 수송로 등에 대한 폭설 안전대책을 수립하여 제설능력 강화와 인력·의료·장비 등의 지원체계도 가동할 계획이다.

- (풍랑) 겨울철은 강풍을 동반한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항해 중인 선박의 충돌사고 위험이 높다. 해양수산부에서는 피해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비상 대책반을 편성하여 24시간 운영하며, 소형 선박 및 항만·어항 시설 등에 대한 현장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 (AI,조류독감) 지난 6월 이후 전국 가금농가 및 야생철새 중 고병원성 조류독감이 발생된 적은 없다. 그러나 해외에서 고병원성 조류독감이 예년에 비해 많이 발생*하고 있어 올해에도 겨울철새에 의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입 가능성은 상존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발생 방지를 위하여 특별방역대책기간(`17.10.1.~`18.5.31)을 설정하고 강도 높은 방역대책을 추진한다. 반복 발생, 밀집 사육 등 위험지역*에 거점소독소를 설치하고,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역 중심으로 소규모 농가는 예방적 수매와 도태**를 실시하는 등 특별방역을 추진한다. 특히, 방역대상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상시적으로 점검·관리를 하고 가축거래상 및 도축장에 대한 조류독감 검사도 강화한다. 전업농 대상 CCTV 설치(`17년 시범사업 428개소)를 지원하여 농가의 대응능력을 높이고, 야생조류 AI 시료채취 전담팀을 운영하여 야생조류에 대해서도 예찰활동을 강화한다.

- (화재) 겨울철에는 화기 사용과 실내 활동이 늘어나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하며, 인명피해 또한 가장 많다. 소방청은 소방장비, 소방용수설비 등에 대한 철저한 정비를 통하여 100% 가동태세를 유지하며 취약시기별* 화재 특별경계 근무(11.1~2.28)를 실시한다. 취약대상 유형별*로는 비상 소화장치 등 소방시설을 설치하고 관리자 안전교육을 강화하는 등 맞춤형 안전대책을 추진한다. 또한, 대국민 119 안전운동의 일환으로 11월을 전국 불조심 강조의 달로 정하고, 화재예방을 위한 다양한 홍보활동과 안전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 (도로교통사고) 강설과 블랙아이스* 등으로 인하여 겨울철(11월~1월)에는 연간 월평균보다 도로교통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 수가 많다. 겨울철 운전은 도로가 얼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앞차와의 충분한 차 간 거리를 확보해야 하며 스노우타이어, 스노우체인 등 월동 장비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 또한, 경찰청과 지자체에서는 연말연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음주운전 특별단속 및 캠페인을 실시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겨울철에 빈발하는 재난안전사고에 대하여 각 부처와 지자체가 중점 관리하여 소중한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하며, “주민 여러분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등 적극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라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2017-11-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93 여름철 대비, 고위험군 예방접종 적극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7.10
692 롯데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7.12
691 리커머스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7.12
690 말라리아 매개모기 증가, 방역 강화와 신속한 진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7.12
689 CMIT·MIT 표시사항 누락된 Clementoni 다목적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3.07.12
688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 유해물질 과다 함유한 유아용 스마트워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7.12
687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 유해물질 과다 함유한 Music LED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7.12
686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 유해물질 과다 함유한 유아용 디지털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7.12
685 제조결함으로 인한 화재 우려로 리콜된 Kemey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7.12
684 석면을 함유한 부품이 포함되어 리콜된 Vevor 에센셜 오일 증류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7.12
683 파워보드 부품불량으로 화재 우려 있는 LG Electronics(호주법인) SMART TV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2
682 접지단자 불량으로 감전 우려 있는 Micarro 에어프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7.12
681 스테로이드 계열 의약품 성분이 포함된 Jamu Tea Black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3.07.12
680 중금속 잔류물질이 존재하는 직물로 포장된 ALBERT MENES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7.12
679 미승인 성분 포함으로 리콜된 Sante 안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3.07.12
678 유해 성분 과다 함유한 HuPop 유아용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13
677 과산화수소 과다 검출된 Crest 치아미백스트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3.07.13
676 카드뮴 과다 검출된 뱀 모양 반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3.07.13
675 화재 및 감전 위험있는 Tyzygmy 리튬 배터리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7.13
674 작동 불량으로 사고ㆍ부상 위험있는 BQQZHZ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3
Board Pagination Prev 1 ...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