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노후아파트, 전기안전 취약하고 화재 위험 높아

- 세대별 전기안전점검 방안 마련 및 소방시설 관리·감독 강화 필요 -

서문시장, 소래포구 등 전통시장 화재사고에 이어 최근 영국 런던 노후아파트 화재사고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우리나라도 전기로 인한 아파트 화재사고가 매년 500건 이상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주거 밀집도가 높은 아파트의 특성상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어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 국내 아파트 전기화재 발생건수 : ’13년 524건 → ’14년 520건 → ’15년 533건 → ’16년 583건(자료 : 한국전기안전공사)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한표 의원(거제시)과 함께 16개 노후아파트* 48세대를 대상으로 전기설비 및 소방시설 관리·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입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노후아파트 화재 예방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준공 후 20년 이상 된 5층 이상 아파트(’17년 5월 기준 전국 노후아파트 비율 36.6%, 국토교통부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 통계) 중 노후아파트 밀집지역 16개 아파트 선정

노후아파트 48세대 중 27.1%가 전기설비 안전 ‘D등급’

노후아파트 48세대 내 전기설비 안전등급*을 조사한 결과, 13세대(27.1%)가 ‘D등급’으로 평가되어 전기안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세대는 감전 사고나 화재 예방을 위한 누전차단기가 없었고, 1개 세대는 절연저항**이 기준치 미만으로 나타나 감전 위험이 높았다.

*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설비 안전등급 산정기준에 따라 A∼E등급으로 분류되며, ‘D등급’은 점검항목 중 부적합 판정을 받아 즉시 개·보수하거나 사용제한 여부를 고려해야 하는 상태를 말함.

** 절연물(전기가 거의 통하지 않는 물질)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와 전압의 비로 구한 저항

노후아파트 전기설비시설 화재에 취약

노후아파트 세대 내 분기 누전차단기 용량은 20A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나 48세대 중 23세대(47.9%)가 초과했고, 욕실·화장실 등 습기가 많은 공간에 필요한 인체감전보호용 고감도차단기는 43세대(89.6%), 덮개와 접지가 있는 방적형콘센트는 9세대(18.8%)에 미설치되어 있었다. 3세대(6.3%)는 규격에 맞지 않는 비닐코드 배선을 사용했고, 2세대(4.2%)는 전선 피복이 녹아 손상되어 있어 전반적으로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대상 노후아파트 48세대 전기설비 점검결과 ]

[단위 : 세대, (%)]
구분누전차단기미설치절연저항 기준치 미만분기 누전차단기용량 초과고감도차단기미설치방적형콘센트미설치비닐코드 배선 사용전선
손상
세대수 (비율)12 (25.0)1 (2.1)23 (47.9)43 (89.6)9 (18.8)3 (6.3)2 (4.2)
노후아파트 공용 소방시설 관리 미흡

노후아파트 48세대 중 7세대(14.6%)는 공용 복도에 소화기가 없었고, 비치된 41대의 경우에도 관리기준에 적합한 소화기는 19대(46.3%) 뿐이었다. 8대는 충전 압력이 부족하거나 과충전 상태였고, 21대는 내용연수 10년*을 경과해 교체가 필요했다(7대는 충전 압력 이상 및 내용연수 경과 중복). 또한, 일부 소화전과 계단은 장애물에 막혀있어 적치물 관리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5조의4(내용연수 설정 대상 소방용품)에서 분말형태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소화기 내용연수는 10년으로 함(’18년 1월 시행).

노후아파트 입주민 전기안전교육 및 소방훈련 필요

노후아파트 입주민 5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176명(35.2%)은 시험용 버튼을 눌러 누전차단기 정상작동 여부를 한 번도 점검하지 않았고, 멀티탭을 사용하고 있는 468명 중 사용 전 허용용량을 확인하는 소비자는 75명(16.0%)에 불과했다. 또한, 500명 중 447명(89.4%)은 아파트 내 소방시설 위치 및 사용법 등에 대한 소방훈련을 받은 경험이 없어 정기적인 전기안전교육 및 소방훈련이 필요했다.

금번 조사 결과 노후아파트가 화재 위험에 취약한 상태였으나,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공용 전기설비만 관리할 뿐 개별 세대 전기안전은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근본적인 관리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관계 부처에 ▲세대별 전기안전점검 방안 마련 ▲공용 소방시설 관리·감독 강화 ▲입주민 전기안전교육 및 소방훈련 실시 등 노후아파트 전기안전 대책 마련을 요청할 예정이다.

한편, 김한표 의원은 전국 아파트 3채 중 1채가 완공한지 20년이 넘은 노후아파트로 전기안전 시설이 낡아 화재에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며 “화재예방을 위한 노후아파트 전기안전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입주민 전기안전 교육을 강화하는 등 개선책을 조속히 추진해야한다”고 말했다.

[한국소비자원 2017-11-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31 설레는 봄 축제! 안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3.04.03
1630 수두·유행성이하선염 증가, 함께 대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7.10.17
1629 기저귀교환대, 안전사고 위험 높고 위생상태 불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8.01.11
1628 LL's Magnetic Clay 식품보조제(Prescript-Assist), 알레르기원 미표기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8.09.07
1627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7.08
1626 낙뢰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8.01
1625 설 연휴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0.01.14
1624 고수익 재테크를 빙자한 유사금융플랫폼 사기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0.07.23
1623 8월, 폭염ㆍ물놀이ㆍ태풍ㆍ호우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0.07.29
1622 가정용 정수기의 선택 및 위생관리 가이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0.10.20
1621 할부금을 대신 갚아주겠다는 중고차 대출 금융사기를 주의하세요!,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1.05.11
1620 재난지원금 및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 정부의 자금지원을 빙자한 대출사기 문자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1.08.06
161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2.06.08
1618 이물질 혼입된 오타야 제과 솜사탕 모양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3.04.05
1617 프탈레이트 검출된 Urban Fight 운동용 장갑(복싱패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3.04.05
1616 어린이들은 신맛캔디 한 번에 많이 섭취하면 안돼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09.20
1615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된“즉석섭취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10.25
1614 P2P대출 투자시 이런 업체를 주의하세요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8.01.08
1613 Kimberly Clark 보호복(Kleenguard), 품질 결함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8.04.12
1612 Little Tikes 스퀴시 완구, 작은 조각 삼킴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9.03.12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