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름철, 에어컨 실외기 화재사고 주의 !

- 실외기 연결부 전선 및 통풍 환경 점검 필요-

이 자료는 8월 3일(월)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8월 2일 12시)

에어컨 화재의 약 64%가 에어컨 실외기에서 발생했으며 이러한 실외기 화재는 에어컨 사용이 절정에 달하는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http://www.kca.go.kr)에 따르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접수된 에어컨 화재사고는 총 146건이며 이 가운데 93건(63.7%)이 실외기에서 발생한 화재였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의거해 전국의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의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ㆍ평가하는 시스템

1 

실외기 화재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본체와 실외기 연결부 전선의 합선이 원인으로 추정된 경우가 53건(57.0%)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 실외기 내부 전선의 합선이 17건(18.3%), 실외기 과열 23건(24.7%)으로 추정된다.

 2 

에어컨 실외기는 전선이 짧아 다른 전선을 이어서 설치하는 사례가 많은데, 이때 이음부를 비틀림 연결(전선을 꼬아 연결)하면 화재 발생의 위험이 높다. 실외기 전선을 꼬아서 연결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면 전선의 이음부가 풀려 과열될 수 있으므로 실외기의 연결부 전선은 이음부가 없는 단일 전선으로 설치하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에어컨은 전기 사용량이 많으므로 규격에 맞는 연결부 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실외기 내부에 먼지나 습기 등 전기가 잘 흐를 수 있는 이물질이 쌓이는 것도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물질이 쌓이면 내부 전선에 합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 청소업체를 통해 주기적으로 내부를 청소하는 등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실외기의 바닥에 설치된 방진고무*는 부식되거나 파손되면 진동이 실외기 본체에 전달되어 전선 접속부가 풀리고 과열되면서 화재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즉시 교체해야 한다.

* 진동을 막기 위하여 고무로 만든 용수철

실외기의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면 실외기에서 발생한 열기가 방출되지 않아 모터 과열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기는 벽체와 10c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고 후면에 쌓이는 먼지나 낙엽 등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한다. 또한 실외기에서 과도한 소음이 나는 경우 즉시 전문가의 점검을 받는 것이 좋다.

한국소비자원은 에어컨 실외기 화재사고의 예방을 위해 에어컨 사용 전에 반드시 실외기 연결부 전선 상태를 확인하고 과열 방지를 위한 통풍 환경을 점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5-08-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9 2015년 2/4분기 다단계판매업자의 휴ㆍ폐업 등 주요정보변경사항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1 72
1078 어린이·유아용풀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1 83
1077 어린이가 삼키고 질식할 우려 있는 WESTCOTT 지우개 판매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84
1076 7월 세계 식량가격지수, 하락세 지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68
1075 무더울 땐 이렇게 준비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67
1074 선택진료, 상급병실 비용 부담을 대폭 감소시키고, 환자 안전, 의료 질 향상에 대한 건강보험 지원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133
1073 「각막염」환자, 여성이 남성보다 2배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84
1072 행정자치부, 하나·외환은행 이용자 불편 최소화 돕는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109
1071 '15.7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11.1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43.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130
1070 8.14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85
1069 직류전원장치, 유아용모자 등 중점관리대상 품목 42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122
1068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95
1067 [보도]전자상거래 소비자 피해 급증, 전년 상반기 대비 72% 증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82
1066 메르스 관련 서비스 품목에 관한 소비자 상담 급증, 위생용품 관련 ‘사업자의 계약불이행’, ‘청약철회’ 문의 다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86
1065 국내여행 민원...요금 관련 불만이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168
Board Pagination Prev 1 ... 849 850 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