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9년 9만 1천 명 ⇒ 2016년 14만 6천 명 … 61.2%(연평균 10.0% 증가)

2016년 총 진료환자 14만 6천 명 … 남성 6만 9천 명, 여성 7만 8천 명

70대 이상(8만 명, 54.4%), 60대(3만 9천 명, 26.5%), 50대(2만 명, 13.0%) 순

황반변성 ☞ 안구 내 시각자극을 시신경으로 전달하는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부위가 망막이며, 이 중에서도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부분이 황반이다. 황반변성은 이러한 황반부에 변성이 생기는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50세 이상 고연령층에서 발생하여 나이 관련 황반변성이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1~2016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황반변성’ 진료를 받은 환자가 꾸준히 늘어 2011년 9만 1천 명에서 2016년 14만 6천 명으로 61.2%(연평균 10.0%) 증가하였다.

남성은 2011년 4만 2천 명에서 2016년 6만 9천 명으로 연평균 10.6%, 여성은 2011년 4만 9천 명에서 2016년 7만 8천 명으로 연평균 9.5% 증가하였다.

<연도별 ‘황반변성’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단위 : 명)

연도별 ‘황반변성’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구 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연평균
증가율(%)
90,87296,57599,268101,834129,225146,44610.0↑
남성41,64844,45045,83048,25561,01368,94110.6↑
여성49,22452,12553,43853,57968,21277,5059.5↑

2016년을 기준으로 70대 이상(79,636명, 54.4%)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60대(38,879명, 26.5%), 50대(19,096명, 13.0%), 40대(6,024명, 4.1%)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진료환자수가 증가하였고,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환자의 9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6년 연령대별 ‘황반변성’ 진료환자 비중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정인지 교수는 50대 이상이 "황반변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망막의 노화가 진행되면 망막하 노폐물의 제거능력이 떨어져 축적되어 초기 황반변성의 한 형태인 드루젠이라는 결정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황반변성의 진행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의 증가가 가장 강력하고, 확실한 위험인자이기 때문이다"고 설명하였다.

2016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 성별로 살펴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남성은 70대 이상 1,991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762명, 50대 241명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에서 1,747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738명, 50대 222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 별로 진료인원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황반변성 예방 및 관리가 달라야할 필요성이 있다.

< 2016년 건강보험 ‘황반변성’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 >

정인지 교수는 ‘황반변성’ 질환은 시각장애 관련성 여부에 대해 <황반부는 중심시력을 담당하는 부분이므로 병의 진행시 대부분 중심시력이 감소하는 시력장애를 일으킨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고습성 황반변성은 선진국에서 이미 60세 이상 인구의 가장 흔한 실명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급속도로 진행하여 심각한 시력저하를 유발하므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황반변성’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1년 431억 원에서 2016년 931억 원으로 연평균 1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진료비는 2011년 14억 원에서 2016년 32억 원으로 연평균17.9% 증가하였고, 외래는 같은 기간 416억 원에서 898억 원으로 16.6% 증가하였다.

<연도별 ‘황반변성’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

(단위: 백만 원, %)

연도별 ‘황반변성’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
구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연평균
증가율(%)
43,04142,14750,88654,39283,99893,06316.7
입원1,4151,6071,7452,0723,5173,21717.9
외래41,62640,54049,14052,32080,48189,84616.6

주) 수진기준(실제 진료 받은 일자기준), 약국 진료비는 외래에 포함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정은지 교수는 ‘황반변성’ 의 예방법, 진단․검사 및 치료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황반변성’ 질환의 원인

    황반변성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망막 세포층의 노화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제거되면 노폐물들이 망막하층에 쌓이며 진행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의 증가가 가장 확실하고 강력한 위험 인자이며, 이 밖에도 흡연 및 유전적 요인 등이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황반변성’의 증상 및 합병증의 종류

    황반부는 시력의 초점이 맺히는 중심부이므로 이 부분에 변성이 생겼을 때는 사물이 구부러져 보이고 사물의 중심부위가 흐려 보이거나 아예 보이지 않는 암점이 생기기도 한다.

    나이관련황반변성은 크게 건성과 습성으로 구분한다. 초기와 중기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지도모양위축이 생기는 후기 황반변성으로 건성 황반변성이라고 하며, 맥락막 신생혈관이 동반되는 경우를 습성 황반변성이라고 한다.

    건성의 경우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치료가 필요한 상태가 아닌 경우가 많이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습성으로 진행되어, 시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정기적으로 망막 전문의의 진료를 받거나 암슬러 격자 등을 이용해서 자가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맥락막 신생혈관이 동반되는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경우 출혈과 황반부종등이 동반되며 치료하지 않았을 때 급격한 시력저하가 진행되므로 망막전문의의 빠른 진료와 치료가 필요하다.

나이관련 황반변성으로 황반부 출혈이 발생한 안저사진

  • ‘황반변성’ 질환의 치료 및 수술방법

    맥락막 신생혈관을 동반한 습성 황반변성 치료는의 경우, 최근 안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항체 (anti-VEGF) 주사 시술로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 ‘황반변성’ 질환의 예방법

    중심시력저하나 변시증 등 증상이 있을 때는 빠른 시일 내에 안과를 내원하여 안저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하며 건성 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을 경우 정기적인 안과 검진 및 자가 검진을 통해 질환의 진행을 경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성기준

  •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비급여, 한의분류 제외), 주상병 기준(부상병 제외)
  • 수진기준(진료인원은 약국진료건 제외), 2016년은 2017년 7월 청구분까지 반영, 미청구분 자료 있을 수 있음.
  • 진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1차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한 내역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 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본 자료는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근거한 자료이므로 실제 유병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 대상 질병코드 : 황반변성(H35.30, H35.31, H35.34, H35.39)

    ※ 질병코드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통계청)에 의함


[ 보건복지부 2017-10-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43 인터넷 몰라도 여권만료일·연금 등 주민센터에서 확인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1 25
4942 선불식 할부거래업자의 등록변경사항 정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25
4941 ‘좋아요 도로 위 일등석’ 프리미엄 고속버스 운행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25
4940 민자고속도로 공공성 높일 「유료도로법」 17일 본격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6 25
4939 중도상환수수료 면제시점 안내 등 대고객 정보제공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4 25
4938 식품 수거증, 문자메시지로 확인할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0 25
4937 국민연금, 기금의 재정안정성 확보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4 25
4936 경찰청, 진술녹음제도 ‘확대 시범운영’ 실시, 투명한 수사로 ‘인권보호’의 새 지평 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3 25
4935 식약처,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2호 대상' 조사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2 25
4934 태극문양, 위변조 방지 홀로그램…마음에 드는 번호판 디자인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9 25
4933 수입식품 통관검사, 안전은 올리고 규제는 낮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6 25
4932 FTA 관세인하에도 고가 수입맥주 소비자가격 변동 미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5 25
4931 여가부, 청소년 ‘몸캠피싱’피해보호지원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5 25
4930 식약처, 이물 검출 의약품 판매중지 및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1 25
4929 모닝벨을 확인하고 증권투자재산 3,183억원 찾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0 25
Board Pagination Prev 1 ...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