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17년 동계기간(‘17.10.29~’18.3.24) 동안의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스케줄을 인가하였다.

    * 세계 대부분 나라들은 미주 등의 일광절약시간제(daylight saving time)에 따른 운항시각 변동과 계절적 수요에 탄력적 대처를 위해 1년에 2차례(동·하계) 일정을 조정함
     

    이번 동계시즌에는 국제선은 90개 항공사가 총 313개 노선에 왕복 주4,418회 운항할 계획이며, 전년 동계와 대비하여 운항횟수는 주102회(+2.36%)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일본이 전체 운항횟수의 약 24.6%(주1,087회)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중국 23.8%(주1,051회), 미국 10.4%(주459회), 베트남 7.8%(주344회), 홍콩 6.2%(주275회), 필리핀 5.8% (주255회) 등의 순이다.

    ’16년 동계 대비 운항횟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국가는 주140회가 증가한 일본이고, 다음이 베트남(주111회), 필리핀(주33회) 등의 순이다.

    중국의 경우 ’16년 동계 대비 운항횟수가 주203회(주1,254회 → 주1,051회) 감소하였으나,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과의 운항횟수가 증가하면서 전체 운항횟수는 증가하였다.

    또한, 올해도 우리나라 저비용항공사들의 운항횟수가 대폭 증가하였는데(전년 동계 주1,022회 → 올해 동계 주1,309회), 이는 제주항공(주67회 증), 티웨이(주63회 증), 에어서울(주46회 증) 등 저비용항공사의 일본·동남아 운항횟수 증가* 및 신규취항 확대** 결과로 분석 된다

    * 국적 LCC 17년 동계 일본 운항은 전년 동계 대비 주173회 증(주448회→주621회), 동남아 운항은 주85회 증(주286회→주371회)
    ** 국적 LCC 16년 대비 17년 신규 취항도시는 일본 4곳(가고시마, 구마모토, 마스야마, 미야자키), 필리핀 1곳(칼리보)
     

    저비용항공사의 일본, 동남아 운항확대는 일정표(스케줄) 선택의 폭이 확대되고 운임이 인하되는 등 이용객의 편익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선은 총 20개 노선에서 주 1,860회를 운항하여 전년 동계기간 대비 운항횟수는 주 5회(0.3%, 왕복기준) 감소하지만 대형기 대체 운항 등으로 공급석은 11,414석 늘어난다.

    12개 제주노선은 주 1,480회로 전년 동계대비 주 18회 감편되었지만 대형기 대체 운항 등으로 공급석은 5,516석 증가한다.

    제주노선을 제외한 8개 내륙노선은 주 380회로 전년 동계대비 주 13회 증편되고 공급석도 5,898석 증가된다. 이번 동계 스케쥴 조정으로 항공기 정시 운항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항공사별로 살펴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전년 동계대비 주 16회 감소한 주 872회를 운항하지만 공급석은 5,092석 증가하고, 저비용항공사는 내륙노선 위주로 주 11회 증편하여 주 988회를 운항하고 공급석도 6,322석 증가한다.

    국토교통부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여행객과 화주들에게 10.29일부터 변경되는 (동계) 운항스케줄을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 국토교통부 2017-10-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50 암페타민과 유사한 각성제가 함유된 운동보조제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118
4849 압류 방지 통장 개설로 체불임금 수급권 보호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08 18
4848 압박스타킹, 부위별 압박 정도와 내구성에 제품 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5 14
4847 앙골라 여행 시 황열 감염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4 117
4846 앙골라·콩고민주공화국 방문 시 황열 감염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5 108
4845 앞바퀴 이탈 사고 발생한 마라톤 킥스쿠터 MA-01 무상수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30 37
4844 앞으로 공간정보이용이 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7 76
4843 앞으로 국민연금 가입증명서에서 비정규직, 계약직 등 단어 사라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4 107
4842 앞으로 부실한 장기요양기관 개설 어려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2 18
4841 앞으로 석면해체.제거 시 석면함유 잔재물 등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37
4840 앞으로 예방접종 유급휴가는 국가가 지원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31 21
4839 앞으로 코로나19 기초접종은 BA.4/5 2가백신 한 번이면 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30 10
4838 앞으로 호텔에서 일회용 칫솔, 일회용 세면도구 무료로 제공할 수 없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9 35
4837 앞으로는 국세청이 직접 금융회사에 국세증명을 제공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0 11
4836 앞으로는 의료기관 전체 병동에서 간호ㆍ간병 통합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7 11
Board Pagination Prev 1 ...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