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름철, 에어컨 실외기 화재사고 주의!
- 실외기 연결부 전선 및 통풍 환경 점검 필요-

  에어컨 화재의 약 64%가 에어컨 실외기에서 발생했으며 이러한 실외기 화재는 에어컨 사용이 절정에 달하는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에 따르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접수된 에어컨 화재사고는 총 146건이며 이 가운데 93건(63.7%)이 실외기에서 발생한 화재였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의거해 전국의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의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ㆍ평가하는 시스템

 


 [에어컨 화재사고 접수현황]

(단위 : 건,%)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합계
실외기에서 발생한 화재사고 5 43 45 93(63.7)
본체에서 발생한 화재사고 2 16 16 34(23.3)
미상 2 4 13 19(13.0)
합계 9 64 74 146*(100.0)

*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로부터 수집 127건, 1372 소비자상담센터 수집 17건, 기타 2건
- 2010년부터 한국소비자원은 CISS와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 화재정보시스템을 연계하여 화재정보 수집

 
  실외기 화재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본체와 실외기 연결부 전선의 합선이 원인으로 추정된 경우가 53건(57.0%)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 실외기 내부 전선의 합선이 17건(18.3%), 실외기 과열 23건(24.7%)으로 추정된다.


 [에어컨 실외기 화재 원인별 현황]

(단위 : 건,%)

구분 건수 비율
실외기 연결부 전선의 합선 53 57.0
실외기 내부 전선의 합선 17 18.3
실외기 과열 23 24.7
합계 93 100.0


  에어컨 실외기는 전선이 짧아 다른 전선을 이어서 설치하는 사례가 많은데, 이때 이음부를 비틀림 연결(전선을 꼬아 연결)하면 화재 발생의 위험이 높다. 실외기 전선을 꼬아서 연결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면 전선의 이음부가 풀려 과열될 수 있으므로 실외기의 연결부 전선은 이음부가 없는 단일 전선으로 설치하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에어컨은 전기 사용량이 많으므로 규격에 맞는 연결부 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실외기 내부에 먼지나 습기 등 전기가 잘 흐를 수 있는 이물질이 쌓이는 것도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물질이 쌓이면 내부 전선에 합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 청소업체를 통해 주기적으로 내부를 청소하는 등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실외기의 바닥에 설치된 방진고무*는 부식되거나 파손되면 진동이 실외기 본체에 전달되어 전선 접속부가 풀리고 과열되면서 화재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즉시 교체해야 한다.
* 진동을 막기 위하여 고무로 만든 용수철

  실외기의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면 실외기에서 발생한 열기가 방출되지 않아 모터 과열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기는 벽체와 10c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고 후면에 쌓이는 먼지나 낙엽 등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한다. 또한 실외기에서 과도한 소음이 나는 경우 즉시 전문가의 점검을 받는 것이 좋다.

  한국소비자원은 에어컨 실외기 화재사고의 예방을 위해 에어컨 사용 전에 반드시 실외기 연결부 전선 상태를 확인하고 과열 방지를 위한 통풍 환경을 점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사시스템 2015-08-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31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QPX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2.02.09
2530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nadalan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2.02.09
2529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EleksMaker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2.02.09
2528 안구 손상 위험 있는 Atomstack 레이저 조각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3.02.13
2527 아플라톡신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Baby Bellies 유아용 과자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11.20
2526 아플라톡신B1 오염돼 건강 위험으로 리콜된 CLEARSPRING 쌀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14
2525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가루'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8
2524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한 한식된장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8.02
2523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수입 땅콩기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07.01
2522 아플라톡신 과다 검출된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4
2521 아플라톡신 검출된 SUKRO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5.15
2520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9.02.25
2519 아프리카 코모로에 2단계 여행경보(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9.03.27
2518 아프리카 DR콩고 에볼라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18.08.03
2517 아파트 어린이놀이터 모래 위생관리 강화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18.01.25
2516 아침기온 뚝! 일교차 큰 초겨울, 한랭질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11.12
2515 아이폰15 이용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3.10.13
2514 아이들이 뛰어노는 물놀이 분수, 안전하게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18.05.10
2513 아울렛전자 유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5.03
2512 아연의 분리로 인해 과다 섭취 가능성이 있는 BioCeuticals 아연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4.01.08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