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가을 추수철을 맞아 경운기와 트랙터 등 농기계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행정안전부 재난연감 통계를 살펴보면 최근 5년(‘11~’15)간 발생한 농기계사고는 총 7,546건이며, 7,227명의 사상자(사망 552명, 부상 6,675명)가 발생하였다. 특히, 10월은 본격적인 가을 수확기로 농기계 사용이 많아지면서 안전사고도 1,040건(14%) 발생하였다.

특히, 농촌진흥청에서 2015년에 조사한 ‘농업기계 관련 농업인 손상 실태*’ 결과에 따르면, 유형별로는 경운기로 인한 농기계사고가 49.7%로 가장 많았고,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이 41.4%로 가장 높았고, 60대가 28.9% 등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조덕진 행정안전부 안전기획과장은 “농기계를 다룰 때는 사용방법과 안전수칙을 충분히 숙지하고, 작업 전후에는 점검과 정비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라며, “특히, 사고대처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층의 사고 발생이 많은데, 농기계 작동과 운행은 가급적 낮 시간에 하고, 피곤할 때는 잠시 쉬었다 하는 여유가 필요하다.”라고 당부하였다.

<농기계 사용 안전수칙>

- 농기계는 사용방법과 주의사항 등을 충분히 숙지 후 작업하고, 부품은 시기에 맞춰 제 때 교체하도록 한다.

- 작업복은 농기계 벨트 등에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소매나 바지가 길게 늘어지는 옷은 피하고, 신발은 가급적 미끄럼 방지처리가 된 안전화가 좋다.

- 농기계에 동승자를 태우면 운전자의 주의력을 떨어뜨리고, 급정지하거나 급회전 할 때 튕겨나갈 수 있어 위험하니 함께 타지 않는다.

- 또한, 농기계에 짐을 실을 때는 적재함의 규격을 넘지 않도록 주의하고, 이 때 운전석에서 사방이 모두 보여야 한다.

- 농기계를 운행할 때 좁은 농로나 내리막·과 급커브 길에서는 속도를 줄여 천천히 이동하고, 가드레일이 없거나 농로 가장자리 풀이 많은 곳에서는 도로 안쪽을 이용한다.

- 아울러, 농기계로 도로를 다닐 때는 반드시 교통신호를 지키고, 야간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농기계 뒷면에 야간 반사판 같은 등화장치를 붙이고, 흙 등 이물질로 가려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 특히, 음주 후 농기계 조작은 매우 위험하니 금주하도록 한다.



[ 행정안전부 2017-10-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60 올해 일본뇌염 첫 환자 발생! 모기물림 주의 및 예방접종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9.07
3759 일교차 큰 가을철,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07
3758 건강식품 관련 소비자피해 전년 동기대비 48.7%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09.07
3757 두부 손상 가능성이 있는 Xinerter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6
3756 감전 위험 있는 Vevor 머그프레스 기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9.06
3755 감전 위험이 있어 리콜된 LDNIO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9.06
3754 충격흡수 성능이 미흡하여 상해 위험이 있는 Vihir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06
3753 석면이 포함되어 폐암 위험 있는 BRS 스토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9.06
3752 방글라데시 방문 우리 국민 뎅기열로 사망, 동남아 등 뎅기열 유행지역 방문 시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1
3751 추석 명절 벌초 시 예초기 안전사고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3.08.31
3750 임플란트, 레진 등 일상화된 치과치료 관련 보험사기에 연루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소비자경보 「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31
3749 전화금융사기, 요즘은 이렇게까지도 속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8.31
3748 해외 유명 주얼리 브랜드 사칭해 판매하는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8.30
3747 미역·다시마 등 해조류는 방사능 체내 배출 효과와 관련 없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3.08.30
3746 화장품이 지방을 분해?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8.29
3745 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8.29
3744 의류쇼핑몰 XXXSOCFF(스코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8.28
3743 전동킥보드 화재! 예방이 최선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3.08.24
3742 엔픽스(유) 보행기 완구 부품, 곰팡이 발생 가능성 있어 교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8.23
3741 기저귀 교환대, 영유아 낙상사고 많아 사용 시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8.23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