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본부,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인식 조사 결과 발표

질병관리본부「주간 건강과 질병」제10권 제43호(2017년10월26일) 조사결과 게재

가장 주요한 건강문제로 청소년기 여성은 월경장애, 가임기는 교통사고, 갱년기는 골다공증, 노년기는 관절염을 지목, 생애주기에 따라 차이가 있음

심각한 건강 위험요인으로는 모든 생애주기 여성이 ‘신체활동 부족’을 꼽았으나 실제 운동 실천율은 저조

여성 생애주기별로 차별화된 건강증진 전략 마련 필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도준)은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인식 및 행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생애주기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 여성의 생애주기 단계별(청소년기, 가임기, 임신ㆍ출산기, 갱년ㆍ폐경기, 노년기) 각 3,000명씩 총 1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이다.

자신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건강문제로 청소년기는 월경장애, 가임기 및 임신ㆍ출산기는 교통사고, 갱년ㆍ폐경기는 골다공증, 노년기는 관절염을 꼽았다.

특히 청소년기의 경우, 월경 장애 외에도 왕따ㆍ집단따돌림, 폭력, 성폭력 등 사회적 문제를 주요 건강문제로 인식하였다.

본인 연령대 건강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은 청소년기의 경우 ‘왕따ㆍ집단 따돌림’이었고, 가임기, 임신ㆍ출산기, 갱년ㆍ폐경기는 ‘암’으로 응답했다.

* 본인 연령대의 건강을 위협하는 건강문제 1순위: 청소년기 왕따ㆍ집단따돌림 27.8.%, 가임기 암 41.2%, 임신ㆍ출산기 암 41.9%, 갱년ㆍ폐경기 암 34.6%, 노년기 관절염 23.0%

여성들은 ‘신체활동 부족’을 가장 심각한 건강 위험요인으로 꼽았으나, 규칙적인 운동 실천율은 낮았다.

특히 가임기 여성의 경우 일주일에 2일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여성은 28.8%에 불과하였으며, 청소년기도 학교 체육시간을 제외하고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 비율이 84.7%에 달하였다.

또한 여성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6.9시간으로 국외 여성 평균 수면시간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편이었으며, 수면의 질이 나쁘다고 응답한 여성은 43.7%였고 노년기에서 46.0%로 가장 높았다.

* 국외 평균 수면시간(여성): 미국 8.9시간, 프랑스 8.6시간, 호주 8.6시간, 일본 7.6시간(OECD)

자신의 체중 및 체형에 대한 인식에서는 정상 체중 여성의 19.3%가 본인의 체형을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 체질량지수(BMI) 기준: 저체중 18.5 kg/m2 미만, 정상 18.5-22.9 kg/m2, 과체중 23.0-24.9 kg/m2, 비만 25.0 kg/m2 이상

* 정상 체중 여성에서 자신의 체형을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인식한 분율: 청소년기 22.3%, 가임기 17.5%, 갱년ㆍ폐경기 18.7%, 노년기 17.7%

반면 과체중 또는 비만 여성의 31.3%는 본인의 체형을 보통 또는 마른 편으로 인식하였는데, 이러한 수치는 노년기로 갈수록 높았다.

* 과체중 또는 비만 여성에서 자신의 체형을 보통 또는 마른 편으로 인식한 분율: 청소년기 18.6%, 가임기 19.6%, 갱년ㆍ폐경기 29.9%, 노년기 37.6%

행복지수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노년기로 갈수록 자아 존중감과 사회적 지지 인식도 낮아졌다.

* 행복지수: 가임기 3.80점, 갱년ㆍ폐경기 3.61점, 노년기 3.34점(5점 척도)

* 자아존중감: 가임기 3.08점, 갱년ㆍ폐경기 3.03점, 노년기 2.89점(4점 척도)

* 사회적 지지도: 가임기 3.83점, 갱년ㆍ폐경기 3.73점, 노년기 3.48점(5점 척도)

질병관리본부는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해 생애주기별로 차별화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생애주기별 건강이슈에 대한 기초자료 산출하는 등 여성건강연구를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7-10-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67 바지락 해감만 잘해도 미세플라스틱 90% 이상 제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3 14
6566 바젤기준에 부합하는 필라2 및 필라3 제도 국내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5 118
6565 바이크 쇼츠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6 25
6564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본격화, 6월 30일부터 데이터 수집 대상 환자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55
6563 바우처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신고포상금 상한 폐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0 9
6562 바실러스 세레우스 기준 초과 '천연향신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44
6561 바빠진 하늘…2016년 항공교통량 73만 넘어 역대 최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31 70
6560 바라밀 씨앗 함유 수입 절임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8
6559 바디로션, 핵심 성능인 보습력은 제품별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20 6
6558 바닷물고기 섭취시 고래회충 예방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114
6557 바닷가 주변 횟집 비브리오균 특별검사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0 103
6556 바닷가 주변 횟집 비브리오균 특별검사 강화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21
6555 바닷가 주변 횟집 비브리오 사전예방 특별관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6 60
6554 바닥충격음 측정방법을 ‘뱅머신’ 방식으로 일원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76
6553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전화 한 통화로 오케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3 43
Board Pagination Prev 1 ...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