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아프리카 우간다 동부 퀜(Kween) 지구에서 마버그열 환자 발생
◇ 여행 시 박쥐·영장류 및 마버그열 증상을 가진 (의심)환자들과의 접촉금지 등 예방수칙 철저 당부
◇ 귀국 후 21일 이내 의심증상(발열 등) 발생 시 1339콜센터 또는 보건소로 신고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10월 19일(목) 이후 아프리카 우간다의 동부 퀜(Kween) 지구에서 마버그열 환자가 총 4명(사망 2) 발생함에 따라,
 ○ 우간다 출국 대상 국민들에게 환자 발생 지역 방문 자제, 의심환자와의 접촉 주의 및 동굴 등 박쥐 서식지역 방문 자제를 권고하였다.

<우간다의 마버그열 발생지역>
□ 10월 24일 현재, 우간다 동부 퀜(Kween)* 지구에서 10월 19일 이후 마버그열 환자 4명(확진 1, 추정 2, 의심 1)이 발생하고 2명(확진 1, 추정 1)이 사망하였다.
  * 수도 캄팔라로부터 약 300km 떨어져 있으며 케냐 국경 인근지역, 인구는 약 10만 명, 인구밀도는 약 121.3명/㎢(서울 16,492명/㎢)
 ○ 우간다 보건부는 역학, 위기소통, 환자관리, 감염관리, 환경, 실험실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신속대응팀(Rapid Response Team)을 파견하여 조사 중이다.
 ○ 아울러, 해당 지역 내 모든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 및 관리조치를 시행하고 개인보호구 및 긴급 물품을 지급하는 등 대응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번 상황에 대해 자체 대응수준을 Grade 2*로 정하고 우간다 보건부와 협조체계를 유지하며 지원 중이다.
  * Grade 2(Grade 3이 최고 수준): 1개 이상의 국가에서 발생한 유행으로 WHO 차원의 대응이 중등도(Moderate)로 요구되는 상황. 지역사무소에 긴급대응 지원팀을 조직하여 국가사무소 대응을 지원

□ 마버그열은 에볼라바이러스병*과 유사한 감염병으로 필로바이러스과 (Filoviridae) 마버그바이러스속(Genus Marburgvirus)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 출혈열로서 2-21일(평균 5-7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오한, 두통 등 비특이적인 증상 외 출혈 등의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 에볼라바이러스병: 필로바이러스과(Filoviridae) 에볼라바이러스속(Genus Ebolavirus)에 속하는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 출혈열
 ○ 마버그열은 감염된 동물(아프리카 과일박쥐 또는 영장류) 접촉, 환자 및 사망자의 체액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가 가능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감염 예방을 위해 여행 전 마버그열 유행지역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 또는 감염병 콜센터 ☏1339에서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현지에서 환자 발생 지역 방문 자제, 의심환자와의 접촉 주의 및 동굴 등 박쥐 서식지역 방문 자제를 권고하였다.
 ○ 또한, 귀국 후 21일 내 발열, 오한, 두통 등 관련 증상이 있을 시 ☏1339 또는 보건소로 먼저 신고하고, 의료기관 방문 시 해외여행력을 알려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7-10-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13 발화 위험있는 audio-technica(오디오 테크니카) 무선이어폰(ATH-CK3TW SI)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21.05.12
3212 화상 및 감전 위험 있는 CNC 레이져 조각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21.02.01
3211 건조한 3월, 산불·화재·황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20.03.05
3210 다이어트 보조식품 판매 사이트 `케토 플러스(Keto Plus)' 거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9.11.21
3209 나들이 철 5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9.04.26
3208 Duncan Hines 케이크 믹스,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9.04.11
3207 Little Joe 차량용 방향제(Green Tea), 알레르기 유발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8.07.19
3206 멜라민수지 주방용품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8.05.29
3205 2017년 8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09.18
3204 영유아 질식 위험 있는 The Evolved parent Co 치발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1.12.27
3203 어린이 안전용기 미사용으로 중독사고 위험 있는 Plant Therapy 에센셜오일 판매차단(4)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0.08.24
3202 팽이버섯 생산업체에 대한 위생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0.03.18
3201 설 명절, 감염병 예방수칙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0.01.23
3200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04.08
3199 CT+ 화장품, 피부염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02.07
3198 Tork 거품형 비누, 박테리아 감염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01.31
3197 전동킥보드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은 전 제품 문제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8.10.22
3196 Caro White 미백화장품(Lightening Beauty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8.03.21
3195 한국소비자원, 「해외 항공·호텔 예약 가이드」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8.01.10
3194 Le Toy Van 완구(Petilou Tunnel Puzzle-Momma Bear), 질식 위험으로 교환·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7.12.06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