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아프리카 우간다 동부 퀜(Kween) 지구에서 마버그열 환자 발생
◇ 여행 시 박쥐·영장류 및 마버그열 증상을 가진 (의심)환자들과의 접촉금지 등 예방수칙 철저 당부
◇ 귀국 후 21일 이내 의심증상(발열 등) 발생 시 1339콜센터 또는 보건소로 신고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10월 19일(목) 이후 아프리카 우간다의 동부 퀜(Kween) 지구에서 마버그열 환자가 총 4명(사망 2) 발생함에 따라,
 ○ 우간다 출국 대상 국민들에게 환자 발생 지역 방문 자제, 의심환자와의 접촉 주의 및 동굴 등 박쥐 서식지역 방문 자제를 권고하였다.

<우간다의 마버그열 발생지역>
□ 10월 24일 현재, 우간다 동부 퀜(Kween)* 지구에서 10월 19일 이후 마버그열 환자 4명(확진 1, 추정 2, 의심 1)이 발생하고 2명(확진 1, 추정 1)이 사망하였다.
  * 수도 캄팔라로부터 약 300km 떨어져 있으며 케냐 국경 인근지역, 인구는 약 10만 명, 인구밀도는 약 121.3명/㎢(서울 16,492명/㎢)
 ○ 우간다 보건부는 역학, 위기소통, 환자관리, 감염관리, 환경, 실험실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신속대응팀(Rapid Response Team)을 파견하여 조사 중이다.
 ○ 아울러, 해당 지역 내 모든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 및 관리조치를 시행하고 개인보호구 및 긴급 물품을 지급하는 등 대응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번 상황에 대해 자체 대응수준을 Grade 2*로 정하고 우간다 보건부와 협조체계를 유지하며 지원 중이다.
  * Grade 2(Grade 3이 최고 수준): 1개 이상의 국가에서 발생한 유행으로 WHO 차원의 대응이 중등도(Moderate)로 요구되는 상황. 지역사무소에 긴급대응 지원팀을 조직하여 국가사무소 대응을 지원

□ 마버그열은 에볼라바이러스병*과 유사한 감염병으로 필로바이러스과 (Filoviridae) 마버그바이러스속(Genus Marburgvirus)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 출혈열로서 2-21일(평균 5-7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오한, 두통 등 비특이적인 증상 외 출혈 등의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 에볼라바이러스병: 필로바이러스과(Filoviridae) 에볼라바이러스속(Genus Ebolavirus)에 속하는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 출혈열
 ○ 마버그열은 감염된 동물(아프리카 과일박쥐 또는 영장류) 접촉, 환자 및 사망자의 체액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가 가능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감염 예방을 위해 여행 전 마버그열 유행지역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 또는 감염병 콜센터 ☏1339에서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현지에서 환자 발생 지역 방문 자제, 의심환자와의 접촉 주의 및 동굴 등 박쥐 서식지역 방문 자제를 권고하였다.
 ○ 또한, 귀국 후 21일 내 발열, 오한, 두통 등 관련 증상이 있을 시 ☏1339 또는 보건소로 먼저 신고하고, 의료기관 방문 시 해외여행력을 알려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7-10-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91 가을 신학기 대비 학교급식 식중독 예방 합동점검 사전예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7.08.08
690 가을 수확철,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26
689 가을 수확기 안전수칙 준수로 농기계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8.10.25
688 가을 산행은 무리하지 말고 안전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19.10.18
687 가을 산행 및 벌초 시 벌 쏘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3.09.07
686 가을 등산, 안전수칙 준수로 안전산행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20.10.14
685 가을 단풍 시작, 등산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0.04
684 가을 나들이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10.23
683 가을 나들이철 위험 신고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17.10.10
682 가을 나들이 철 위험신고는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9 2019.09.30
681 가열조리용 굴…꼭 익혀서 섭취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03.14
680 가열된 물이 새어나와 화상 위험 있는 Dretec 전기포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1.06.24
679 가연성 표준 미준수한 Newcosplay 동물잠옷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3.04.10
678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Kidoozie 유아용 놀이 텐트(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2.09
677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Kidoozie 유아용 놀이 텐트(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2.09
676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Kidoozie 유아용 놀이 텐트(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2.12.09
675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Hatley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3.04.07
674 가연성 요건 미준수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아동용 목욕가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7.14
673 가연성 요건 미준수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Kids Tales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2.08.24
672 가연성 및 끼임 사고 위험 있는 California Beach Co. 유아용 플레이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8.24
Board Pagination Prev 1 ...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