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아프리카 우간다 동부 퀜(Kween) 지구에서 마버그열 환자 발생
◇ 여행 시 박쥐·영장류 및 마버그열 증상을 가진 (의심)환자들과의 접촉금지 등 예방수칙 철저 당부
◇ 귀국 후 21일 이내 의심증상(발열 등) 발생 시 1339콜센터 또는 보건소로 신고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10월 19일(목) 이후 아프리카 우간다의 동부 퀜(Kween) 지구에서 마버그열 환자가 총 4명(사망 2) 발생함에 따라,
 ○ 우간다 출국 대상 국민들에게 환자 발생 지역 방문 자제, 의심환자와의 접촉 주의 및 동굴 등 박쥐 서식지역 방문 자제를 권고하였다.

<우간다의 마버그열 발생지역>
□ 10월 24일 현재, 우간다 동부 퀜(Kween)* 지구에서 10월 19일 이후 마버그열 환자 4명(확진 1, 추정 2, 의심 1)이 발생하고 2명(확진 1, 추정 1)이 사망하였다.
  * 수도 캄팔라로부터 약 300km 떨어져 있으며 케냐 국경 인근지역, 인구는 약 10만 명, 인구밀도는 약 121.3명/㎢(서울 16,492명/㎢)
 ○ 우간다 보건부는 역학, 위기소통, 환자관리, 감염관리, 환경, 실험실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신속대응팀(Rapid Response Team)을 파견하여 조사 중이다.
 ○ 아울러, 해당 지역 내 모든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 및 관리조치를 시행하고 개인보호구 및 긴급 물품을 지급하는 등 대응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번 상황에 대해 자체 대응수준을 Grade 2*로 정하고 우간다 보건부와 협조체계를 유지하며 지원 중이다.
  * Grade 2(Grade 3이 최고 수준): 1개 이상의 국가에서 발생한 유행으로 WHO 차원의 대응이 중등도(Moderate)로 요구되는 상황. 지역사무소에 긴급대응 지원팀을 조직하여 국가사무소 대응을 지원

□ 마버그열은 에볼라바이러스병*과 유사한 감염병으로 필로바이러스과 (Filoviridae) 마버그바이러스속(Genus Marburgvirus)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 출혈열로서 2-21일(평균 5-7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오한, 두통 등 비특이적인 증상 외 출혈 등의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 에볼라바이러스병: 필로바이러스과(Filoviridae) 에볼라바이러스속(Genus Ebolavirus)에 속하는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 출혈열
 ○ 마버그열은 감염된 동물(아프리카 과일박쥐 또는 영장류) 접촉, 환자 및 사망자의 체액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가 가능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감염 예방을 위해 여행 전 마버그열 유행지역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 또는 감염병 콜센터 ☏1339에서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현지에서 환자 발생 지역 방문 자제, 의심환자와의 접촉 주의 및 동굴 등 박쥐 서식지역 방문 자제를 권고하였다.
 ○ 또한, 귀국 후 21일 내 발열, 오한, 두통 등 관련 증상이 있을 시 ☏1339 또는 보건소로 먼저 신고하고, 의료기관 방문 시 해외여행력을 알려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7-10-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29 라벨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Smart sips 초콜릿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3.03.10
1428 라벨 미표기된 성분[수은, 납] 함유한 Goree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2.04.04
1427 라벨 미표기된 성분(우유, 헤이즐넛) 함유한 Organic Tradition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2.09.30
1426 라벨 미표기된 성분(우유, 밀, 콩) 함유한 Lay’s 감자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09.30
1425 라벨 미표기된 성분(우유)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Koska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8.25
1424 라벨 미표기된 성분(달걀) 함유한 Barilla 라자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2.09.30
1423 라벨 미표기된 성분(겨자)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하우스 와사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8.24
1422 라벨 미표기된 성분(겨자)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야마추 와사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8.24
1421 라벨 미표기된 성분(겨자)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S&B 와사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8.24
1420 라벨 미표기(아몬드) 성분 함유한 Montezuma's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4 2022.06.14
1419 라벨 미표기 참깨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Eva Bold 프로틴 바(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12.15
1418 라벨 미표기 참깨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Eva Bold 프로틴 바(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12.15
1417 라벨 미표기 우유 성분을 함유한 Havasu Nutrition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11.22
1416 라벨 미표기 우유 및 밀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있어 리콜된 Alsultan Sweets 디저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10
1415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밀) 함유 가능성이 있는 아위가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4.02.29
1414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함유된 Biona Organic 캐슈넛 버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3.27
1413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대두) 함유된 Doritos 과자(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4.04.12
1412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대두) 함유된 Doritos 과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4.12
1411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 함유된 Great Value 캐슈넛 가공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4.05.07
1410 라벨 미표기 성분(우유) 함유해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Tohato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2.14
Board Pagination Prev 1 ...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