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 주의하세요!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90% 이상이 9월 말∼11월 말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ㆍ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야외활동 및 농작업 후 발열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하여 진료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가을철에 주로 환자발생이 증가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의 예방을 위해, 야외 활동 및 농작업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쯔쯔가무시증은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가을철에 발생하므로,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즉시 샤워나 목욕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고열, 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나 가피*가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은 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주로 가을*에 발생하며,

* 렙토스피라증 (9∼11월, 65%이상 발생), 신증후군출혈열 (10∼12월, 60%이상 발생)

렙토스피라증은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피부 상처 등이 노출되어 감염되고,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설치류에서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배출되어 건조된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설치류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동물의 소변에 오염가능성이 있는 물(특히 고여있는 물 등)과 접촉하지 말고, 작업 시 피부 보호를 위해 작업복(특히 장화)을 반드시 착용하고, 주위 환경에서 쥐의 서식여부를 확인해 배설물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쯔쯔가무시증 :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오한, 근육통, 복통, 인후염, 가피, 발진 등의 증상을 나타냄

* 렙토스피라증 : 병원성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쥐 등의 설치류, 소ㆍ돼지ㆍ개 등의 가축)의 소변 등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근육통, 두통, 설사, 발진, 결막충혈 등의 증상을 나타냄

* 신증후군출혈열 : 한탄/서울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의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배출되어 건조된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출혈소견,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을 나타냄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보건소를 통해 매년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가을철 발열성 질환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발열 등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 작업 및 야외 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 야외활동 및 농작업 시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착용하기

      * 긴팔·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 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으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 활동 후
    • 입었던 옷을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하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 렙토스피라증 예방수칙
    • 고여있는 물 등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수영하지 않고, 고여있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피부 보호를 위한 작업복(특히 장화)을 반드시 착용하기
    • 홍수 이후 벼베기/벼세우기나 들쥐 포획사업 등의 작업 후 발열이 발생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기
  •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수칙
    • 쥐의 서식여부를 확인하여 쥐잡기를 실시하고 쥐의 배설물과 접촉 피하기
    • 야외 활동 후 귀가 시에는 입었던 옷을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 하기
    • 감염위험이 높은 사람은 적기에 예방접종 받기
[ 보건복지부 2017-10-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53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Red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4.04.01
1852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Force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4.01
1851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Apex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3.27
1850 볼거리와 먹거리가 풍성한 10월,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19.09.27
1849 본체 부분이 과열되어 화상 위험이 있는 전기 핫플레이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2.29
1848 본격적인 휴가철, 물놀이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0.07.24
1847 본격적인 영농기,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4.14
1846 본격적인 봄, 4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03.29
1845 본격적인 벌초 시기, 예초기 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0.09.10
1844 본격적인 무더위 시작, 온열질환 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27
1843 본격적인 겨울, 12월에는 대설·한파·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0.11.26
1842 본격적인 겨울 시작, 한랭 질환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11.29
1841 복어, 안전하게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2.03.29
1840 복어 안전 섭취요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27 2015.05.06
1839 복날 삼계탕 조리할 때…캠필로박터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07.10
1838 보호 미흡으로 부상 가능성이 있는 Retrospec Scout 유아용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4.02.29
1837 보험 가입 시 과거질병 등을 알리지 않으면 보험금 지급 거절될 수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20.10.14
1836 보행 중 밴드가 탈락될 위험이 있는 등산장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4.05.10
1835 보트형 대형 튜브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07.31
1834 보툴리누스균 오염 위험 있는 Primula 치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0.11.23
Board Pagination Prev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