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 주의하세요!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90% 이상이 9월 말∼11월 말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ㆍ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야외활동 및 농작업 후 발열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하여 진료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가을철에 주로 환자발생이 증가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의 예방을 위해, 야외 활동 및 농작업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쯔쯔가무시증은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가을철에 발생하므로,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즉시 샤워나 목욕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고열, 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나 가피*가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은 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주로 가을*에 발생하며,

* 렙토스피라증 (9∼11월, 65%이상 발생), 신증후군출혈열 (10∼12월, 60%이상 발생)

렙토스피라증은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피부 상처 등이 노출되어 감염되고,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설치류에서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배출되어 건조된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설치류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동물의 소변에 오염가능성이 있는 물(특히 고여있는 물 등)과 접촉하지 말고, 작업 시 피부 보호를 위해 작업복(특히 장화)을 반드시 착용하고, 주위 환경에서 쥐의 서식여부를 확인해 배설물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쯔쯔가무시증 :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오한, 근육통, 복통, 인후염, 가피, 발진 등의 증상을 나타냄

* 렙토스피라증 : 병원성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쥐 등의 설치류, 소ㆍ돼지ㆍ개 등의 가축)의 소변 등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근육통, 두통, 설사, 발진, 결막충혈 등의 증상을 나타냄

* 신증후군출혈열 : 한탄/서울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의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배출되어 건조된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출혈소견,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을 나타냄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보건소를 통해 매년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가을철 발열성 질환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발열 등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 작업 및 야외 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 야외활동 및 농작업 시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착용하기

      * 긴팔·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 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으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 활동 후
    • 입었던 옷을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하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 렙토스피라증 예방수칙
    • 고여있는 물 등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수영하지 않고, 고여있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피부 보호를 위한 작업복(특히 장화)을 반드시 착용하기
    • 홍수 이후 벼베기/벼세우기나 들쥐 포획사업 등의 작업 후 발열이 발생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기
  •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수칙
    • 쥐의 서식여부를 확인하여 쥐잡기를 실시하고 쥐의 배설물과 접촉 피하기
    • 야외 활동 후 귀가 시에는 입었던 옷을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 하기
    • 감염위험이 높은 사람은 적기에 예방접종 받기
[ 보건복지부 2017-10-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60 아침기온 뚝! 일교차 큰 초겨울, 한랭질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20.11.12
1859 아파트 어린이놀이터 모래 위생관리 강화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01.25
1858 아프리카 DR콩고 에볼라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18.08.03
1857 아프리카 코모로에 2단계 여행경보(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9.03.27
1856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9.02.25
1855 아플라톡신 검출된 SUKRO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5.15
1854 아플라톡신 과다 검출된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2.07.14
1853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수입 땅콩기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1.07.01
1852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한 한식된장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8.02
1851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가루'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9.08
1850 아플라톡신B1 오염돼 건강 위험으로 리콜된 CLEARSPRING 쌀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14
1849 아플라톡신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Baby Bellies 유아용 과자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11.20
1848 안구 손상 위험 있는 Atomstack 레이저 조각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3.02.13
1847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EleksMaker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02.09
1846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nadalan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2.09
1845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QPX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2.02.09
1844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2.02.09
1843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2.02.09
1842 안마의자, 고령자나 뼈 관련 질환자 등 사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8.04.25
1841 안마의자, 영유아 끼임 사고 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0.09.23
Board Pagination Prev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