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시계 구매 시 품질보증기간 및 A/S기준 꼼꼼히 확인해야 -

최근 시계의 기능성 수요 뿐 아니라 패션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국내 시계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관련 소비자 피해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시계 관련 피해구제 사건 접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지난 3년간(2014년~2016년) 총 550건이 접수되었고, 특히 지난해에는 전년도에 비해 51.3% 증가한 236건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 피해구제 접수 현황 ]

구분2014년2015년2016년
건수(건)158 156 236 550
증감(비율)14.5 △1.3 51.3

? 200만원 이상 고급시계, 사건 수는 약 15%, 구입금액 규모로는 약 70% 차지

제품 구입금액이 200만원 이상(개별소비세법상 고급시계로 분류)인 사건은 81건으로 전체의 14.7%에 불과하나 구입금액*을 비교하면 5억3천1백만원 중 3억7천4백만원으로 전체 구입금액의 70.4%를 차지하였다.

* (구입금액) 피해구제 신청 시 소비자가 기재한 금액 기준

[ 구입 금액별 피해구제 건수 ]

구분50만원 미만5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200만원 이상
건수(비율)339(61.6) 130(23.6)81(14.7) 550(100.0)
구입금액(비율)1억5천7백만원(29.6)3억7천4백만원(70.4) 5억3천1백만원(100.0)
3건 중 2건은 품질 및 A/S 불만

피해유형별로는 시간·방수·내구성과 관련된 ‘품질’ 및 ‘A/S 불만’ 관련이 365건(66.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청약철회, 계약불이행 등 ‘계약 관련’ 160건(29.1%), ‘표시광고’ 10건(1.8%) 등이었다.

피해구제 접수 상위 브랜드 스와치, 아르마니, 세이코 순으로 나타나

피해구제 접수 건 중 브랜드 확인이 가능한 389건을 분석한 결과, 스와치(Swatch)가 32건(8.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아르마니(Armani) 26건(6.7%), ▲세이코(Seiko) 22건(5.7%), ▲구찌(Gucci) 18건(4.6%), ▲버버리(Burberry)와 티쏘(Tissot) 11건(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최근 3년간 브랜드별 피해구제 접수 현황 ]

[단위 : 건, %]
순번브랜드접수건수비율
1스와치(Swatch) 32 157 (접수건수가 많은 상위 10개 브랜드)8.2 40.3
2아르마니(Armani) 26 6.7
3세이코(Seiko) 22 5.7
4구찌(Gucci) 18 4.6
5버버리(Burberry) 11 2.8
티쏘(Tissot) 11 2.8
7까르띠에(Cartier) 10 2.6
8몽블랑(Montblanc) 9 2.3
파슬(Fossil) 9 2.3
해밀턴(Hamilton) 9 2.3
그 외 232 59.7
389 100.0

한국소비자원은 유관기관과 시계 제조업체에게 판매 전 소비자 주의사항을 반드시 안내하고, 소비자 피해 발생 시 적극 대응해 줄 것을 권고하였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시계 구매 시 품질보증기간 및 A/S 기준을 꼼꼼히 확인할 것, ▲구매 후 취급 주의사항을 숙지할 것, ▲기계식 시계의 경우 충격에 민감하고 자력 또는 중력으로 인한 시간 오차가 발생 가능한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할 것을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10-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96 조영제 부작용 예방책 마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7.12.27
3595 조명기기, 텐트 등 15개 제품에 대해 수거·교환 등 명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35 2016.11.18
3594 조각투자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4.20
3593 젤란검 함유로 어린이 질식 위험 있는 Furuta 젤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2.01
3592 제품포장 불량으로 부패할 위험이 있는 주스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44 2016.06.09
3591 제품의 색이 변하는 하자가 발생한 Now Foods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12.19
3590 제품의 베인 자국으로 인해 파손될 우려가 있는 미끄럼 방지 패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3.03.16
3589 제품에서 이취 발생한 ㈜팜스토리/홈앤쇼핑(주)‘브라질 넛’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5 2017.07.28
3588 제품에서 이물 발생한 에이제이(주) '핸드워시' 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7 2017.07.28
3587 제품에 핀홀이 발생하여 부패 및 변질 우려가 있는 아지미소 된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11.21
3586 제품명을 잘못 표시한 K&K 홍합 통조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1.07.12
3585 제품명을 잘못 표시하여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enerBio 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5.26
3584 제품 품질이 불량하고 주의문구가 누락된 전기 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4.04.03
3583 제품 품질이 불량하고 안전 정보가 누락된 전기 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4.04.03
3582 제품 포장지에서 프탈레이트계가소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Musfunny 악기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10.08
3581 제품 파손 위험 있는 자전거 핸들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2.13
3580 제품 파손 가능성이 있는 SIDAS Walk Traction 자전거 패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3.04.05
3579 제품 캔 내부 페인트 섭취 가능성 있는 ADRIA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7.28
3578 제품 자체에서 발연될 수 있는 Latuna 전기포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3.03.13
3577 제품 일부가 떨어져 상해의 위험이 있는 Nordic Track 덤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4.03.21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