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농업용수 가뭄은 대부분 해소되었으며,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은 12월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10월 가뭄 예경보를 통해 밝혔다. □ 농업용수 가뭄 ○ 전국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68%)은 평년(72%)의 94% 수준으로 가뭄 심함단계는 아니며, 현재는 울산경북경남지역 3개 시군이 주의단계로 12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 ○ 전국 다목적댐 평균 저수율(58.0%)은 예년(59.9%)과 비슷한 수준이나,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댐의 저수량은 적은 상황이다. ○ 10월 현재 저수율이 낮은 운문댐 등을 수원(水源)으로 하는 대구충남전남경북지역 17개 시군은 심함단계이며, 주암댐 등을 수원으로 하는 광주전남경북경남지역 13개 시군은 주의단계이다. ○ 11월 강수량은 예년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되어 남부지방의 가뭄 해갈에는 다소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전남경북지역 9개 시군은 가뭄 심함단계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대비가 필요하고, 광주충남전남경남지역 19개 시군은 주의단계이다. ○ 12월 강수량은 예년과 비슷하거나 많겠으나, 대구전남경북경남지역 12개 시군은 심함단계에 도달하거나 유지되고, 광주충남전남 16개 시군은 주의단계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남부지방 중심으로 내년도 용수공급을 위한 용수확보 노력이 필요하다. □ 기상가뭄 * 최근 6개월 누적강수량을 평년강수량과 비교 ○ 최근 6개월(4~9월) 강수량은 평년(1,063.3㎜)의 77%(811.5㎜) 수준으로 전국적인 기상가뭄은 없으나, 지역적인 강수량의 차이*로 남부 일부지방의 기상가뭄이 지속될 전망이다. * 중부지방 85%, 경북 77%, 전북 75%, 전남 69%, 경남 56%, 제주 58% ○ 강수량이 많았던 최근 3개월(7~9월)은 평년의 85% 수준이고, 올해 말의 기상가뭄은 완화되겠으나, 강수량의 지역적 편차로 경북·경남지역 중 5개 시군의 기상가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10월·11월 강수량: 평년(50.2㎜, 46.7㎜)보다 적음,
12월 강수량은 평년(24.5㎜)과 비슷하거나 많음 □ 정부는 물 부족이 우려되는 가뭄 주의단계 이상인 지역을 중심으로 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물수지 분석 결과에 따라 내년 봄 영농기 물 부족에 대비하여 하천수 등 가용 수자원을 활용하여 저수지 물채우기와 관정개발 등의 선제적인 용수확보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에서는경계단계인 보령댐에 도수로가동(3.25.부터)* 및 급수체계조정(6.1.부터)**을 통해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 중에 있다. * 도수로가동 : 총 1,577만 톤 공급(금강→보령댐) ** 급수체계조정 : 총 322만 톤 공급(용담→서천, 대청→당진) - 전남, 경남지역 중 저수율이 낮은 주암댐, 밀양댐과 및 운문댐에 대해서는 하천유지용수 감축과 지자체 수원 대체공급 등을 통해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 환경부에서도 지방상수도 상시 제한 및 운반급수 도서지역인 전남 진도 및 완도지역에 대한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해 인근 지자체 및 한국수자원공사 등과 협력해 비상급수를 추진할 것이다. - 향후, 유수율 제고를 위한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 하수처리수 재이용 확대 및 지방상수도 확충 사업 등을 통해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관은“전남, 경남 등 저수율이 낮은 지역의 경우 내년 영농기 물 부족이 예상됨에 따라 양수저류를 실시하고, 운문댐 등 용수댐에 대해서도 저수량 관리 등 장기 가뭄에 대비하여 철저히 대처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농림축산식품부 2017-10-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89 [금융꿀팁] (146) 신입사원의 금융상품 현명하게 가입하기(시리즈 제2편 예적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0 24
4888 시각장애인 혼자서도 금융상품 가입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9 24
4887 ‘전세사기 피해자 서울보증(SGI) 대환대출’조기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30 24
4886 호우와 태풍 풍수해보험으로 미리 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2 24
4885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아보카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4
4884 고용.산재보험 보수총액신고 3월 15일까지, 건설업 등 자진신고 사업장 3월 31일까지 보험료 신고.납부해야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24
4883 진로탐색.경력개발부터 취업까지 한 번에 해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24
4882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다회용기보다 최대 4.5배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24
4881 학대 피해장애인 인도기관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24
4880 취업준비생들의 관심이 쏠리는 자격 등급별 TOP5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7 24
4879 보건복지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행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24
4878 2023년도 가구당 슬레이트 지붕 철거비 지원규모 2배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24
4877 공공분양주택 뉴:홈 사전청약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1 24
4876 청년 구직활동 돕는 법령 일괄 정비안, 12.19일부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19 24
4875 미등록 전자지급결제대행 관련 불법행위 엄단 및 소상공인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2 24
Board Pagination Prev 1 ...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