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농업용수 가뭄은 대부분 해소되었으며,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은 12월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10월 가뭄 예경보를 통해 밝혔다. □ 농업용수 가뭄 ○ 전국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68%)은 평년(72%)의 94% 수준으로 가뭄 심함단계는 아니며, 현재는 울산경북경남지역 3개 시군이 주의단계로 12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 ○ 전국 다목적댐 평균 저수율(58.0%)은 예년(59.9%)과 비슷한 수준이나,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댐의 저수량은 적은 상황이다. ○ 10월 현재 저수율이 낮은 운문댐 등을 수원(水源)으로 하는 대구충남전남경북지역 17개 시군은 심함단계이며, 주암댐 등을 수원으로 하는 광주전남경북경남지역 13개 시군은 주의단계이다. ○ 11월 강수량은 예년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되어 남부지방의 가뭄 해갈에는 다소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전남경북지역 9개 시군은 가뭄 심함단계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대비가 필요하고, 광주충남전남경남지역 19개 시군은 주의단계이다. ○ 12월 강수량은 예년과 비슷하거나 많겠으나, 대구전남경북경남지역 12개 시군은 심함단계에 도달하거나 유지되고, 광주충남전남 16개 시군은 주의단계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남부지방 중심으로 내년도 용수공급을 위한 용수확보 노력이 필요하다. □ 기상가뭄 * 최근 6개월 누적강수량을 평년강수량과 비교 ○ 최근 6개월(4~9월) 강수량은 평년(1,063.3㎜)의 77%(811.5㎜) 수준으로 전국적인 기상가뭄은 없으나, 지역적인 강수량의 차이*로 남부 일부지방의 기상가뭄이 지속될 전망이다. * 중부지방 85%, 경북 77%, 전북 75%, 전남 69%, 경남 56%, 제주 58% ○ 강수량이 많았던 최근 3개월(7~9월)은 평년의 85% 수준이고, 올해 말의 기상가뭄은 완화되겠으나, 강수량의 지역적 편차로 경북·경남지역 중 5개 시군의 기상가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10월·11월 강수량: 평년(50.2㎜, 46.7㎜)보다 적음,
12월 강수량은 평년(24.5㎜)과 비슷하거나 많음 □ 정부는 물 부족이 우려되는 가뭄 주의단계 이상인 지역을 중심으로 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물수지 분석 결과에 따라 내년 봄 영농기 물 부족에 대비하여 하천수 등 가용 수자원을 활용하여 저수지 물채우기와 관정개발 등의 선제적인 용수확보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에서는경계단계인 보령댐에 도수로가동(3.25.부터)* 및 급수체계조정(6.1.부터)**을 통해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 중에 있다. * 도수로가동 : 총 1,577만 톤 공급(금강→보령댐) ** 급수체계조정 : 총 322만 톤 공급(용담→서천, 대청→당진) - 전남, 경남지역 중 저수율이 낮은 주암댐, 밀양댐과 및 운문댐에 대해서는 하천유지용수 감축과 지자체 수원 대체공급 등을 통해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 환경부에서도 지방상수도 상시 제한 및 운반급수 도서지역인 전남 진도 및 완도지역에 대한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해 인근 지자체 및 한국수자원공사 등과 협력해 비상급수를 추진할 것이다. - 향후, 유수율 제고를 위한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 하수처리수 재이용 확대 및 지방상수도 확충 사업 등을 통해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관은“전남, 경남 등 저수율이 낮은 지역의 경우 내년 영농기 물 부족이 예상됨에 따라 양수저류를 실시하고, 운문댐 등 용수댐에 대해서도 저수량 관리 등 장기 가뭄에 대비하여 철저히 대처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농림축산식품부 2017-10-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91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임상시험 '피험자 동의면제 요건 안내서’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9 30
5590 금융꿀팁 200선 - 저축성보험 가입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0
5589 대진 침대관련 1372 소비자상담분석 보도자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0
5588 긴급신고전화 통합으로 신고는 쉽게, 출동은 빠르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0
5587 사업체 일부를 인수했더라도 합병 이전 산재보험료율 승계돼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7 30
5586 ‘요양기관 자율점검제’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6 30
5585 국립공원 시설 예약부도자, 최대 3개월 이용 제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4 30
5584 정부, 어린이가 안전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3 30
5583 전국 공동주택공시가격 작년 대비 5.02% 상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30 30
5582 일과시간 뒤라도 지휘관 지시 받고 이동하다 부상 입었다면 ‘공상(公傷)’으로 인정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6 30
5581 부모 잃고 입양되었다가 다시 홀로 된 자녀도 유족연금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4 30
5580 「장려금 사전예약」서비스 올해부터 처음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9 30
5579 임금 지급 못하고 사실상 폐업한 업체는 도산업체로 인정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30
5578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운영 현장을 직접 체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30
5577 납 기준 초과 검출 ‘과.채주스’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9 30
Board Pagination Prev 1 ...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