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앞으로 불법 현수막 과태료 부과대상에 현수막을 설치한 사람뿐만 아니라 광고주도 포함된다.
 
또 벽보나 전단과 같이 불법 현수막도 수량에 따라 과태료가 산정되고 중복 위반 시 위반 횟수에 따라 가산금이 부과된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이와 같이 불법 현수막 과태료 부과기준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해 행정안전부에 권고했다고 19일 밝혔다.
 
현수막은 가격이 저렴하고 짧은 기간 집중 홍보가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광고주의 선호도가 높아 매년 사용량이 증가해 왔다.
 
그러나 최근 아파트 분양물량이 급증하면서 지자체에 신고를 하지 않고 설치하는 불법 현수막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 전국 현수막 설치 신고건수 : 246,236건(’11년)→592,304건(‘15년)으로 71.2% 증가
* 전국 현수막 정비건수 : 6,178,352건(‘11년)→9,749,894건(’15년)으로 173% 증가
(출처 : 한국옥외광고센터)
지자체는 현행 ‘옥외광고물법(제10조, 제20조)’에 따라 이런 불법 현수막을 표시하거나 설치한 사람 또는 광고주 등에게 제거명령을 하고, 불법 현수막을 표시하거나 설치한 사람에게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법령상 불법 현수막 제거명령 대상자와 과태료 부과 대상자가 다르게 규정되어 일선 지자체는 담당자 재량으로 과태료를 부과했다.
 
또 동일한 현수막을 대량으로 부착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나 ‘장 당’ 과태료가 부과되는 벽보, 전단과 달리 별도의 과태료 금액 산정 단위가 없어 담당자의 재량에 따라 각각 다른 기준을 적용했다.
 
따라서 동일한 수량의 불법 현수막을 설치해도 지자체의 담당자에 따라 과태료 부과금액에 큰 차이가 발생했다.
 
중복 위반할 경우에도 가산금 부과 규정이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고 위반 횟수에 따른 구체적인 부과기준이 없어 지자체 담당자는 가산금을 아예 부과하지 않거나 임의로 판단해 부과했다.
 
※ ‘식품위생법’ 등 다른 법률은 위반 횟수별로 과태료 범위를 정해 부과하고 있으나 ‘옥외광고물법’은 가산금 비율(30%)만 규정
 
국민권익위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 ○○시의 경우 불법 현수막에 대한 과태료 부과비율이 9.4%에 불과할 정도로 실효성 있는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 ‘15.1월~’17.7월 불법현수막 과태료 부과현황 】
구 분정비건수(A)과태료 부과 현수막수(B)부과비율(B/A×100)
경기도 ○○시275,105장25,901장9.4%
 
국민권익위는 이와 같은 불법 현수막 과태료 부과기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옥외광고물법’ 상 불법 현수막 과태료의 부과 대상자에 광고주 등을 포함시켰다.
< 개선 예시 >
 현 행   개선(안)(예시) 
       
▷ 표시하거나 설치한 자
▷ 표시하거나 설치한 자
▷ 광고주 / 관리하는 자 / 옥외광고사업자 등
 
 
이와 함께 불법 현수막 과태료 산정 시 유사한 광고매체인 벽보, 전단과 동일하게 ‘장 당’ 부과하도록 했다.
 
또 중복 위반에 따른 가산금도 다른 법령의 가산금 부과기준과 동일하게 의무적으로 부과하되, 세부 부과금액은 위반 횟수별로 지자체가 정하도록 했다.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그동안 불명확한 규정으로 불법 현수막 설치에 관여한 광고주 등이 과태료 처분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동일한 위반에도 지역에 따라 과태료 부과금액이 현저히 차이나는 경우가 있었다”며, “이번 제도개선으로 이런 불합리한 사례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7-10-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20 숙박시설 내 장애인 객실 수 부족하고 편의시설도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3 24
4819 국민권익위, “무주택자 65.3% 공공임대주택 및 신규택지공급 확대해야” 설문조사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4 10
4818 금일부터 집중호우 피해지역 종합금융지원센터를 통해 보다 신속하게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4 10
4817 경복궁 야간 특별관람 올해 9월부터 12월까지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4 9
4816 백화점 소비자 만족도, '접근 용이성 및 결제 편리성' 높고, '가격 및 부가혜택'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4 15
4815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안) 및 시행규칙(안) 입법예고(8.14~9.24)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4 73
4814 무보험·뺑소니, 중증 후유장애 등 자동차사고 피해조성기금 153억 원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12
4813 교통섬,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14
4812 서울·경기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에 따라 문화 소비할인권 6종 시기를 조정하여 시행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10
4811 수해지역 주민의 국민연금보험료 부담 덜어준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7
4810 호우.폭염 시 올바른 의약품 등 사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23
4809 호우.폭염 시 식품안전관리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26
4808 주민세 균등분 8월 말까지 납부해야…모바일앱 이용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8
4807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 함께 지켜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6
4806 우리동네 혁신 사례 60초 영상에 담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7
Board Pagination Prev 1 ...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