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총괄) 고용보험에 가입된 피보험자의 ‘17.9월 취업 활동 동향을 보면, 전체 피보험자수는 1,287만 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9만 1천명(+2.3%) 증가하였으나, 증가 폭은 5개월 연속 하락

(업종별) 제조업(-0.1천명, 0.0%) 피보험자는 소폭 감소한 반면, ‘보건복지(+68천명, +5.0%)’, ‘전문과학기술(+41천명, +6.0%)’, ‘도소매(+37천명, +2.6%)’, ‘숙박음식(+31천명, +5.9%)’ 등 서비스업 중심으로 증가

특히, 피보험자 증가율은 ‘예술,스포츠(+6.3%)’과 연구개발, 법무, 기술, 엔지니어링 등을 포함하는 ‘전문과학기술(+6.0%)’에서 높음

제조업 피보험자 동향

(제조업 전체) ‘17.9월 피보험자(3,571만명)는 소폭 감소하였지만, 구조조정 중인 ‘기타운송장비’ 업종을 제외할 경우 4만 2천명(+1.3%) 증가

(제조업 중분류별) ‘기타운송장비’ 업종과 ‘섬유’, ‘의복’ 등 노동집약적 산업은 감소, ‘일반기계’, ‘의료?정밀기계’, ‘식품’, ‘화학’, ‘의약품’은 증가하여 경쟁력을 갖춘 제조업 중심으로 재편

<식료품> 여성 경제활동 참여 및 1인 가구 확대, 대외 수출증가 등에 따라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증가폭은 소폭 확대

<섬유>, <의복,모피> 대외수출은 개선되었으나, 국내 생산이 부진하여 피보험자 감소폭 확대 지속(섬유 9개월, 의복 12개월 연속 감소)

<화학제품> 화학물질, 화장품 등 생산 및 수출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증가폭은 ‘16년에 비해 소폭 낮아짐

<의약품>, <의료정밀기기> 보건, 의료복지 수요에 맞춰 증가 추세

<고무,플라스틱>  타이어, 각종 플라스틱제품 등 생산 분야에서 증가폭이 지속적으로 둔화되어 9월에는 감소 직면

<기계장비> 건설, 금형기계 등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제조업 중 가장 크게 증가하며 전체 제조업 고용 유지를 견인

<자동차> 완성차 수출 증가에도, 미국.중국 등 부품수출 감소 등으로 피보험자 증가폭은 크게 둔화

<전자통신> 피보험자 규모(522천명)가 가장 크며, 공장 신규증설 등으로 지난 6월 42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된 후 4개월째 소폭 증가세 유지

<1차 금속> 최근 철강 단가 상승 영향 등으로 수출이 증가하였으나, 고용은 소폭의 감소세 지속(‘13.5월 이후 53개월째 감소)

<기타운송장비> 조선업 구조조정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어 중소 사업장의 감소 추세가 확대되고, 대형 사업장은 감소폭이 다소 완화

지역별로는 울산, 경남 및 전남?북에 감소가 집중되고, 전북의 경우 1년간 약 3/4이 감소하여 조선업 일자리가 심각하게 위축

(제조업 규모별) 300인 이상 사업장은 증가로 회복되며 ‘15.1월 이후 처음으로 300인 미만 사업장을 능가하여 대규모 사업장 중심으로 회복

중소 제조업체는 고용 여건이 ‘16년부터 점차 낮아져 글로벌 금융위기인 ‘09.10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3천명)

(성별) 남성 피보험자는 조선업 구조조정 등으로 크게 감소하고, 여성 피보험자는 ‘식료품’, ‘화학제품’ 제조업 중심으로 증가

(연령별) 50대 이상 피보험자는 증가하지만, 핵심 노동계층인 40대 이하는 감소하고 있으며, 청년층은 감소폭이 다소 완화되는 추세

서비스업 피보험자 동향

복지수요 확대에 따른 ‘보건복지’ 산업 피보험자 증가폭이 가장 크고, ‘전문과학기술’, ‘도소매’ 산업 순으로 크게 증가

‘보건복지’는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최근 증가폭이 확대

소규모 사업체가 많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은 증가폭이 둔화

관광산업 지역인 제주도의 외국인 관광객이 감소폭이 완화되었으나, 주력 산업인 ‘도소매’ 및 ‘숙박음식’ 고용은 다소 둔화

피보험자 증가는 둔화(’17.9월, +3.3천명), 경활 취업자(’17.8월, -5.5천명)는 감소

(규모별) ‘17.9월 사업체 규모별 피보험자는 300인 미만에서 19만 6천명(+2.1%), 300인 이상에서 9만 4천명(+2.8%) 증가
  
피보험자 증가폭은 중소사업체에서 크지만, 증가율은 300인 이상 사업체에서 3개월 째 더 높음

반면, ‘제조업’은 300인 미만에서는 3천명(-0.1%) 감소한 반면, 300인 이상은 3천명(+0.3%) 증가하여 추세가 역전됨

(성별) ‘17.9월 남성 피보험자는 10만 6천명(+1.4%) 증가하였고, 여성 피보험자는 18만 5천명(+3.6%) 증가하여 여성 비중이 점차 증가
   
여성 피보험자 증가율이 남성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흐름이 지속

여성 피보험자 증가는 여성 비중이 큰 ‘보건복지’에서 크고, ‘도소매’, ‘숙박음식’, ‘전문과학기술’ 및 ‘사업서비스’ 등 서비스업에서 두드러짐
  
남성은 ‘제조업’과 ‘금융보험’에서 감소하였고, ‘전문과학기술’, ‘도소매’, ‘출판,영상,통신’ 중심으로 피보험자가 증가

(연령별) ‘17.9월 전체 산업의 연령별 피보험자는 50세 이상에서 높은 증가율(7.0%)을 보였으며, 청년층 증가폭은 소폭 확대
  
40대 이하에서는 생산가능 인구 감소에도 피보험자는 증가하였고, 29세 이하 청년층은 증가폭이 소폭 확대

피보험 자격 취득.상실 현황

노동이동의 정도를 보여주는 피보험 자격 취득자는 ‘17.9월 60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만 3천명(+15.9%) 증가하였고, 상실자는 57만명으로 10만 3천명(+22.2%) 증가
 
경력 취득자는 52만명으로 전체 취득자(60만 2천명)의 86.4%이고, 신규 취득자(8만 2천명)의 6.3배로 경력직 취득이 확대되는 양상

신규취득자(82천명) 중에는 청년층이 55.8천명으로 68.0%를 차지하고, 산업별로는 ‘제조업(17.4천명)’, ‘숙박음식(12.9천명)’ 및 ‘도소매(11.6천명)’ 등을 중심으로 신규취득자수가 많음

구직급여 신청 및 지급 현황

취업에서 비자발적 실업 상태로의 이동 추이를 보여주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는 ‘17.9월 6만 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천명(15.9%) 증가
  
‘17.9월 전체 구직급여 지급자는 37만 1천명으로 13천명(+3.7%) 증가하였으며, 지급액은 4,600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600억원(+15.0%) 증가하였음

구인.구직 현황

 ‘17.9월 고용노동부 Work-net의 신규 구인인원은 24만 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천명(+3.3%) 증가하였고, 신규 구직건수는 40만 6천명으로 6만 3천명(+18.3%) 증가하여 구직 활동이 상대적으로 활발
  
구직의 어려운 정도를 보여주는 구인배수는 0.59로 전년동월(0.68) 보다 낮아졌으며, 구직 어려움이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남

 ‘17.9월 신규 구직자를 보면 남성(171천명)보다 여성(236천명)이 더 많았고, 연령별로는 29세 이하(118천명)가 가장 많음

 신규 구직자 증감률은 40대(+17.5%), 50대(+20.3%) 및 60세 이상(+34.0%)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청년층(+16.5%) 구직자도 크게 증가



[ 고용노동부 2017-10-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15 의약품 부작용인가요? 피해구제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3 42
6814 퇴원 어르신에게 의료와 돌봄 통합지원 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3 38
6813 2018년 금감원 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 운영실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3 34
6812 '내상조 그대로' 통합 및 상조소비자 보호 강화 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3 54
6811 경찰의 피의자 조사 때 영상녹화 희망 여부 반드시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3 20
6810 도로표지판 알기 쉽게 바뀐다,“글자 키우고 영어는 통일해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3 14
6809 안전을 위협하는 불법 주정차 즉시 과태료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2 23
6808 2018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2 29
6807 뇌전증 치료제(CBD) 등 공급으로 난치질환 치료기회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2 36
6806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2 15
6805 아동정책영향평가 시행 자립수당 지급 근거 명확히 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2 27
6804 부당특약 고시 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2 20
6803 출산전후 휴가급여는 임금에 해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2 21
6802 국립공원 내 해빙기 낙석, 과학적으로 관리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1 10
6801 ‘현장에 답이 있다’...국세청, 현장 중심의「세무지원 소통주간」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1 17
Board Pagination Prev 1 ...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