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차량사고·지반침하·시설붕괴 없는 안전 이동 동선 확보
건강 상 이유로 의사로부터 많이 걸어야 한다고 조언을 받은 나보행 씨는 하루 만 보 이상 걷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러나 주거지 주변에 차량·오토바이 통행량이 많아 맘 편히 걷기도 녹록치 않다. 게다가 과거 집 인근에서 지반침하(싱크홀)도 발생했던 터라 걸을 때마다 신경이 쓰인다. 그러나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보행자 전용구역, 지반침하 발생위치 및 안전조치 정보, 터널·육교 안전등급 정보 등을 활용해 안전한 보행 정보를 알려주는 앱을 내려받은 이후로 안심하고 걷기 운동을 즐기게 됐다.

◈ 방치된 쓰레기 없는 깨끗한 주거환경 만들기
직장 사정으로 전근이 많은 도 이사 씨는 새로 이사한 지역의 쓰레기 배출정보를 몰라 배출 일자·장소가 아닌 곳에 쓰레기를 버렸다가 주변의 항의를 듣고 불쾌해 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재활용품 신고필증을 잘못 붙여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된 적도 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으로 전국 지역별 쓰레기 배출일, 장소, 배출 방법 정보 등을 한눈에 알 수 있게 돼 생활이 훨씬 편리해 졌다.

보행자전용도로, 지진대피소, 생활쓰레기 배출, 렌트카업체 등 국민안전과 생활환경에 관련한 공공데이터 14종이 전국 어디에서나 동일한 내용을 담아 국민들에게 제공된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국민에게 밀접한 안전·환경 분야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을 17일 신규로 제정했다. 이로써 ‘14년부터 제정된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은 총 93개로 늘어났다. 이번에 신규로 제정된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은 ▲보행자전용도로 ▲육교 ▲도로터널 ▲지반침하 ▲지진·해일 대피소 ▲생활쓰레기 배출 ▲음식물쓰레기 납부필증 가격 ▲종량제봉투 가격 ▲로컬푸드 인증 ▲야생동물 구조센터 ▲동물보호센터 ▲시티투어 ▲휴게소 ▲렌트카업체 등 총 14개 분야 정보다. 신규로 제정된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은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전국단위로 통합해 차트, 지도 등 시각화 분석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지금까지는 동일한 분야임에도 제공기관에 따라 데이터의 형식과 내용이 다르다보니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과 노력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예컨대 주차장정보는 주차장 위치정보·요금·운영시각 등 정보가 지자체 별로 각기 다른 형식과 항목으로 개방됐다.

이에 해당정보를 활용하려는 기업은 다른 형태의 데이터는 형식을 변경하고 부족한 항목은 조사를 통해 채워야 하는 등 추가적 비용과 노력이 들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14년 주차장 정보를 개방표준으로 제정해 전국단위 주차장 정보를 표준화했고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등 전국적으로 표준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고 있다.

표준화된 데이터가 제공되면, 기업에서 추가가공을 위한 인력·비용 부담이 크게 줄 뿐 아니라 공공·민간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융복합하기도 쉬워져 창업, 비즈니스가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이번에 제정된 개방표준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안전 분야) 지반침하정보는 지반침하가 발생한 위치정보, 사고 피해, 안전조치 등에 대한 정보다. 이전까지는 지반침해 위험지역을 알지 못해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국민 불안감이 컸다. 이번에 제정되는 보행자전용도로·육교정보·터널정보 등과 함께 정보가 제공된다면 길찾기앱·내비게이션 등에 활용돼 국민에게 더욱 안전한 보행 길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생활환경 분야) 그간 지역별 생활쓰레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품 배출일·방법·장소에 대한 정보 제공이 부족해, 잘못된 배출로 인한 쓰레기 악취, 재활용품 미수거·과태료 부과 등 불편함이 따랐다. 표준화된 생활쓰레기 배출정보와 ‘16년 국가 중점데이터로 개방한 환경공단 음식물쓰레기배출량 정보 등을 같이 활용하면 주민생활이 편리해지고 스마트도시 분야에도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 지역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시티투어정보, 렌트카업체 정보 등이 일괄 제공되면 그간 개방되었던 문화축제정보, 민박/펜션정보, 관광안내소, 길관광 정보와 연계하여 관광객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전망이다.

한편, 연말까지는 도로안내표지판, 신호등 정보 등 신산업 분야에 필요한 개방표준을 확대하여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김일재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국민의 시대에 국민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생활하도록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라며, “국민 수요가 높고 신산업분야에 필요한 데이터 표준화를 확대해 민간이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청년 일자리는 늘어나고 국민은 더욱 편리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7-10-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35 잠자는 상호금융조합의 미지급 배당금 및 출자금을 찾아 가세요- 상호금융조합 “미지급금 찾아주기 캠페인”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5 22
6034 교통비도 아끼고, 건강도 챙기는 알뜰교통카드 도입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5 32
6033 식중독균 검출 수입 성장기용조제식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5 20
6032 금년 상반기 온라인 해외구매 소비자불만 전년 대비 65.7%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41
6031 2018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26
6030 건강관리 감염예방 준수사항 위반한 산후조리원 공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44
6029 사회서비스 이용권(바우처) 부정수급 신고에 따른 포상금 상한액을 100만 원→500만 원으로 인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28
6028 일상 속 「보험사기 피해예방 알쓸신잡」 시리즈 [4/4]- [금융꿀팁 200선- 98]방심은 금물! 일상생활 속 스며든 보험사기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41
6027 즉시연금에 가입한 소비자가 「시효 중단」을 원하실 경우 금융감독원에 분쟁조정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31
6026 「대출 연체정보 등록 등에 대한 소비자 안내 가이드라인」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49
6025 모르는 재산 , 빚 없도록,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로 한번에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40
6024 대리점거래 불공정거래행위 유형 및 기준 고시 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37
6023 “취업 시험 코앞인데 동원예비군 소집? 훈련 연기하고 시험 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63
6022 500세대 넘는 공동주택도 동 대표 중임을 제한적으로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19
6021 만트럭버스코리아(주)에서 제작·판매한 모델명 TGS 덤프트럭 리콜조치…4개모델 1,191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31
Board Pagination Prev 1 ...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