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월은 지역 별로 다양한 축제가 열리는 시기다. 많은 사람들이 한 곳에 몰리다 보니 자칫 인명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높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축제에 참가할 때 안전을 지키기 위한 지침을 발표했다.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510건의 축제*가 개최됐다. 10월에도 179건(24%)이 열린다.

* 국가 또는 지자체가 주최하거나 후원하는 행사로 2일 이상 개최하는 축제

10월에 개최되는 축제 중, 지난해 방문객 수가 10만 명 이상인 축제는 61건이며, 100만 명 이상 참석한 축제도 ‘추억의 충장축제’, ‘부산불꽃축제’, ‘마산 가고파 국화축제’ 등 5건이나 된다.

특히 대부분의 축제는 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축하공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2014년 성남 테크노벨리 야외 공연장에서는 관람객들이 무대가 잘 보이는 곳을 찾아 환풍구 위에서 공연을 관람하다가 환풍구가 붕괴되면서 16명이 사망하였다. 2005년 상주 시민운동장에 마련된 공연장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출입구로 몰리면서 11명이 압사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축제를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기본 질서와 안전수칙을 지키고 진행(안전)요원의 지시에 잘 따라야 한다.

공연이나 체험 등 행사에 참여할 때는 줄을 서서 차례로 이동하고, 관람석 이외의 높은 곳에 올라가거나 안전선 밖으로 다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야간 축제에 참여할 때는 천막을 고정하는 끈 등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하고 폭죽 등의 위험물은 사용하면 안 된다.

화재 등의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당황하지 말고 진행(안전)요원의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한다. 특히, 축제장에서 위험요소를 발견했을 때는 진행(안전)요원에게 즉시 알리는 등 안전실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것도 중요하다.

조덕진 행정안전부 안전기획과장은 “9월부터 관계 기관과 합동 점검반을 편성하여 대규모 지역축제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등 안전한 축제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라며 “많은 사람이 몰려 혼잡한 곳일수록 기본 질서와 안전수칙을 잘 지켜주시고 위험한 행동은 자제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7-10-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09 포장 오류로 다른 제품 들어있는 하쿠바쿠 잡곡(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17
608 이물질 혼입된 에자키글리코 레토르트 식품(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17
607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9.27
606 병뚜껑 튀어 부상 위험 있는 IRN-BRU 탄산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8.25
605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8.23
60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22
603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1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22
602 알레르기 유발성분(달걀) 함유한 Wish-Bone 셀러드 드레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18
60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껌(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14
600 의약품 성분 검출된 속눈썹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13
599 기준치 초과 증발 잔류물이 검출된 Woru 뒤집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5.17
598 품질 택에 소재가 잘못 표기된 티셔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5.13
597 식품 원료로 사용 불가한 성분이 함유된 구매대행 식품(GI Relief)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5.07
596 탈락한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 있는 장난감 기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3.21
595 불법 채권추심 관련 3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1.30
594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Kemei 고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1.04
593 표시사항 및 어린이보호포장 요건을 위반한 NicPro 에폭시 레진 키트 (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12.18
592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11.22
591 구성 불량으로 화재발생 우려 있는 Vevor 플라즈마 절단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7
590 방글라데시 방문 우리 국민 뎅기열로 사망, 동남아 등 뎅기열 유행지역 방문 시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1
Board Pagination Prev 1 ...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