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10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 / 행정안전부)상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행정안전부는 중점 관리 유형을 관계 부처, 지자체와 공유하여 예방적 안전관리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유형별 행동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사회재난) 가을 나들이철인 10월은 국민들의 야외활동 증가로 교통사고, 등산사고, 지역축제 안전사고, 농기계사고에 주의하여야 한다.

- (교통사고) 올해 추석은 유례없이 긴 연휴로 귀성·귀경 및 주요 관광지로의 차량이동이 증가하여 교통사고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추석연휴 기간 교통안전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국민들은 장시간 이동을 하기 전 차량점검을 실시하고,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안전벨트 착용 등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한다.

- (등산사고) 10월은 단풍이 절정에 이르러 등산객 또한 연중 가장 많은 시기이다. 이와 관련된 등산사고와 사고 사망자수 또한 가장 많이 발생한다. 등산사고 원인은 실족·추락(32.9%)이 가장 높고 조난(16.2%), 안전수칙 불이행(7.8%) 순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산림청, 자치단체는 탐방객이 몰리는 시기인 만큼 적극적인 사고 예방수칙 홍보가 필요하다.

- (지역축제사고) 10월에는 전국 각지에서 많은 축제가 개최될 예정으로 축제 중 한꺼번에 많은 관람객이 몰리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지방자치단체는 순간관람인원 1천명 이상의 지역축제에 대해서는 안전관리계획을 심의하고, 주최 측에서도 축제기간에 현장종합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 (농기계 사고) 농작물 수확으로 인하여 10월은 1년 중 농기계 사고가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달이다. 경찰청 및 지방자치단체는 사고 예방활동을 강화하며, 특히 고령자 맞춤형 예방수칙 홍보가 필요하다.

(자연재해) 10월의 경우 대부분 유형의 자연재난 발생빈도가 월평균보다 낮게 나타난다. 그러나 태풍에 의한 피해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 (태풍) 최근 10년간 10월에 총 2건의 태풍으로 6명이 사망하고, 총 2,162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작년 10월에는 태풍 ‘차바’로 인하여 경남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재해저감시설의 정상 기능 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안전점검을 해야 하며, 태풍 호우 발생 시 모니터링 및 상황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류희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10월에 빈발하는 재난안전사고에 대해 각 부처와 지자체가 중점관리해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며, “국민들께서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들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행정안전부 2017-10-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19 나사 불량으로 오작동 및 낙상 위험이 있는 Scarpa 스키부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23.04.18
3318 명품구매대행 쇼핑몰 ‘SD컬렉션’ 피해주의…배송지연?연락두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23.04.18
3317 Britax BOB 유모차(Jogging Strollers), 사용 중 앞바퀴 분리될 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9.11.04
3316 편리한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9.03.21
3315 해외 사기사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11.26
3314 보이스피싱 범죄의 재구성, '바로 이 목소리'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05.23
3313 손잡이 분리돼 화상 위험이 있는 KitchenAid 전기포트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05.17
3312 아파트 어린이놀이터 모래 위생관리 강화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01.25
3311 Selecta Spielzeug AG 영유아용 모빌(Limbo Mini Mobile),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7.12.06
3310 이유식.간식 등 우리아이 먹거리 위생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7.09.06
3309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Revellino 장난감 자동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3.04.07
3308 오일 압력 경고등 오점등 되는 그랜저, G70 차량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3.03.09
3307 일반 세균수 초과 검출된 샴푸(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2.06.08
3306 해빙기, 얼음판 출입에 각별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2.02.24
3305 필립스코리아 '개인용 인공호흡기', '양압지속유지기' 위해 정보 알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1.06.14
3304 해외 쇼핑몰 ‘웹트리스(Webttress)’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1.04.09
3303 코로나19 관련 헬스장 이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3.19
3302 생활 속 안전위험요인 신고는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1.30
3301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Hajj) 전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시 메르스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9.07.30
3300 Officeworks 교구세트, 건전지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9.06.14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