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017.09.29 11:38

소비자피해구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서울시-서울지방경찰청-한국인터넷광고재단 건전한 전자상거래 환경 구축을 위한 MOU체결
- ‘16.8월~’17.6월 국내전자상거래에서 생활필수품 구매 소비자 피해에 최대 20만원 지원
- 10월 31일(화)까지 접수, 심의위원회 거쳐 장애인, 청소년, 고령자 등 취약계층 우선지원

 

□ 서울시와 서울지방경찰청, 한국인터넷광고재단은 전자상거래 이용 중 대금을 지불하였으나 물품을 받지 못하고 사업자와 연락이 되지 않아 피해를 입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피해 금액에 대해 최대 20만원까지 지원하는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긴급구제사업’을 진행한다고 9월 27일(수) 밝혔다.

 

□ 지난 5년간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사기 피해자는 2,645명, 피해규모는 31억1천2백만 원 수준. 2016년 전자상거래 규모가 64조 9,134억원으로 2015년 대비 20.5% 로 증가하며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한 만큼 사업자의 운영중단과 연락두절로 인한 소비자 피해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 소비자 피해 접수 현황을 살펴보면, 전자상거래 사기 적발 건수는 줄어드는 추세이나 거래 품목이 다양해지고, 사기 수법은 점점 고도화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가격비교 사이트 최저가나 오픈마켓 등이 사기에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활용하여 소비자를 유인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표> 5년간 전자상거래 사기피해 현황(2012-2016년)

%EB%B3%B4%EB%8F%84%EC%9E%90%EB%A3%8C%2Ejpg 

※ 2012년의 경우, 유명 상품권 판매 사이트 사기사건으로 피해 급증

 

 

< 인터넷 사기 피해 주요 사례 >

* ’17. 3~7월, 피의자가 인터넷 맘카페에 장난감, 힙시트, 아기띠, 아동용 책, 유모차 등을 판매한다고 글을 올린 후 물품은 주지 않고 대금만 편취하여, 중고 아기용품을 저렴하게 구매하려던 엄마들 15명이 100만원 상당의 피해 <서대문署>
* ’17. 7~8월, 피의자가 인터넷 공무원 시험 카페에서 인터넷 강의 수강권 판매글을 게시하고 대금만 편취, 수험생 57명이 1,235만원 피해 <동대문署>
* ’17. 6~7월, 피의자가 인터넷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휴대폰 판매를 빙자하여 대금을 편취, 58세 피해자 등 총 10여명이 726,000원 피해 <은평署>


□ 전자상거래 피해에 대한 신청대상은 결제일 기준 2016년 8월 1일부터 2017년 6월 30일 사이 국내 전자상거래에서 생활필수품을 구입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제신청을 받아 심의위원회를 거쳐 지급된다. 신청자 중 기초생활수급자·장애인·청소년·고령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우선 지원한다.

 

□ 신청기간은 9월 28일(목)부터 10월 31일(화)까지 5주간 접수 가능하며,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ecc.seoul.go.kr),한국인터넷광고재단(www.kiaf.kr), 한국소비자연맹(www.cuk.or.kr)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받아 작성한 후 구매이력, 상담 또는 신고이력 등 피해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함께 제출하면 된다.
   ※ 피해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① 구매이력(결제 또는 이체 기록, 영수증 등 구매상품과 구매일자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
    ② 상담 또는 신고 이력   (상담이력: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1372소비자상담센터, 한국인터넷광고재단, 소비자단체 / 신고이력: 경찰 발급 ‘사실확인원’)

 

□ 단, 고가사치품, 인터넷판매 금지품목, 서비스(게임/여행) 상품과 해외사이트거래, 해외 거주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 한편, 서울시와 서울지방경찰청, 한국인터넷광고재단은 소비자 피해 위험요소 모니터링, 피해다발 거래자의 정보공유와 공동 대응으로 전자상거래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 안전한 전자상거래 환경 구축을 위한 협력을 골자로 업무협약을 맺고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모니터링과 공동 피해구제, 중소 전자상거래업자 법률지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2017-09-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15 어린이 조리.판매업소 및 학교 위생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6 33
6214 만성질환자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6 40
6213 국민 아이디어로 만든 안전제품 보러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6 11
6212 화물차 연비왕…평소 운전습관 변화로부터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6 34
6211 스마트폰 기반 교통안전서비스 개발 … 보행자 사고 예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6 22
6210 공공 어린이 재활센터 건립사업 공모, 전주시와 춘천시로 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7 14
6209 '조개젓' 제품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 검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7 14
6208 청소년수련시설내 집라인 등 모험시설 임의설치 금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7 21
6207 2019년 상반기 온라인 해외구매 소비자불만, 전년 대비 16.9%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7 9
6206 샌드위치, 제품에 따라 맛·식감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7 32
6205 선택없이 한번에, 주민등록표등(초)본 초간단 발급서비스 27일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7 35
6204 2019 고령자 통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7 24
6203 2019년 1분기(2월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7 14
6202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위해 철 성분 함유 건강기능식품에 안전용기.포장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7 29
6201 주택도시기금 대출, 종이서류 없이 인터넷·모바일로 간편하게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24
Board Pagination Prev 1 ...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