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외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여행지 감염병 정보 확인

해외여행 중 일상생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안전한 물과 음식섭취, 모기 물리지 않기, 낙타, 조류 등 동물접촉 금지

해외여행 후 입국 시 발열 또는 설사 등의 증상이 있으면 검역관에게 신고하고 귀가 후 증상 발현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9월 28일(목) 오전 11시, 인천국제공항에서 진행된 해외감염병 예방 홍보 캠페인을 통해 추석연휴(‘17.9월30일~10월9일)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캠페인에 참여한 정 본부장은 "해외여행을 가실 분은 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에서 여행지 감염병 발생정보를 확인하고, 여행 중 감염병 예방수칙을 꼭 지켜줄 것"을 강조하였다.

* (해외여행 중 일상생활 감염병 예방수칙) 외출 후나 식사 전에 손을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음식은 완전히 익혀먹고 안전한 물 섭취하기, 모기 물리지 않기, 여행지에서 조류, 낙타 등 동물접촉 하지 않기

해외유입 감염병 사례는 2010년 이후 매년 400명 이상 신고되었고, 2015년 491명에서 2016년 541명으로 10.2% 증가하였다. 올해는 9월 25일 기준378명으로 전년 동기간(440건) 대비 14.1% 감소하였다.

주요 해외유입 감염병은 뎅기열, 말라리아,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등 모기매개 감염병과 콜레라,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등 수인성ㆍ식품매개 감염병이 있으며, 중동지역과 중국에서는 각각 메르스 및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의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2017년 중동지역 메르스 발생(‘17.9.12 기준): 208명 발생, 59명 사망

* 2017년 중국 AI(H7N9)인체감염증 발생(‘16.10월 유행부터 ‘17.9월 기준): 765명 발생, 283명 사망

특히 연휴기간 국민들이 가장 많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동남아시아 지역은 수인성ㆍ식품매개 및 모기매개 감염병 발생이 지속되므로 여행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 2017년 해외유입 수인성ㆍ식품매개 감염병 사례(‘17.9.25 기준) : 세균성 이질(35명), 장티푸스(20명), A형간염(15명),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12명), 파라티푸스(8명), 콜레라(4명)

* 2017년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 발생사례(‘17.9.25. 기준): 뎅기열(160명), 말라리아(56명), 치쿤구니야열(8명), 지카(7명)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여행 전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확인하고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하고, 임신 중 지카 바이러스 감염 시 소두증 신생아 출산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신부나 임신 계획이 있는 사람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였다.

* 최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발생국가 및 관련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www.cdc.go.kr)에 게시 중(www.cdc.go.kr→건강정보→지카)

또한, 해외여행 중 질병관리본부에서 지정한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한 경우, 입국시 건강상태질문서를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하고 감시기간 내 입국 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미제출 할 경우,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은 항공기ㆍ공항 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와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음

※ 검역감염병 : 세계보건기구에서 국제적 감염병 감시가 필요하다고 권고한 감염병 중「검역법」에서 규정하는 9종의 감염병을 말하며 이중 6종*이 국제적으로 유행 중임에 따라 오염지역을 지정

* (6종) 콜레라, 황열,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페스트, 폴리오, 메르스

귀가 후 발열, 설사 또는 호흡기 증상 등 감염병 증상이 발생하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하여 상담을 받거나 의료기관을 방문할 경우에는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보건복지부 2017-09-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93 블랙프라이데이 등 해외직구 성수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11.23
3192 특정금전신탁 가입 시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 특정금전신탁은 무조건 원금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11.23
3191 엘지전자 온라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1.22
3190 베스트프라자 / BESTPLAZA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11.22
3189 추워지는 날씨, 전열기 화재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11.17
3188 하강레포츠시설 안전확보를 위한 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11.17
3187 과부하로 인한 화재 및 화상 위험 있는 Evolution 콘크리트 절단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11.16
3186 하단 분리돼 화상 위험 있는 Smilatte 휴대용 유리 머그컵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2.11.16
3185 고무 조각 혼입된 Calve 땅콩소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11.16
3184 이취 발생한 올슨 치즈스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1.16
3183 슈도모나스균 오염 가능성 있는 베이비워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11.16
3182 유통기한 오표기된 OHMORIYA 조미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3181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Enjoy Life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1.16
3180 손가락 상해 유발할 수 있는 Zack 수건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16
3179 납 및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Leonardo 유아용 코끼리 유리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3178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 과다 함유한 SEA 700 유아용 튜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11.16
3177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Forever 식품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15
3176 이음새 봉합이 미흡하여 질식 위험 있는 Sambro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1.15
3175 측정 오류가 발생하는 Air Steward 라돈 측정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1.15
3174 안전 기술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Zhengniu 전기모기채(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11.15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