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외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여행지 감염병 정보 확인

해외여행 중 일상생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안전한 물과 음식섭취, 모기 물리지 않기, 낙타, 조류 등 동물접촉 금지

해외여행 후 입국 시 발열 또는 설사 등의 증상이 있으면 검역관에게 신고하고 귀가 후 증상 발현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9월 28일(목) 오전 11시, 인천국제공항에서 진행된 해외감염병 예방 홍보 캠페인을 통해 추석연휴(‘17.9월30일~10월9일)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캠페인에 참여한 정 본부장은 "해외여행을 가실 분은 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에서 여행지 감염병 발생정보를 확인하고, 여행 중 감염병 예방수칙을 꼭 지켜줄 것"을 강조하였다.

* (해외여행 중 일상생활 감염병 예방수칙) 외출 후나 식사 전에 손을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음식은 완전히 익혀먹고 안전한 물 섭취하기, 모기 물리지 않기, 여행지에서 조류, 낙타 등 동물접촉 하지 않기

해외유입 감염병 사례는 2010년 이후 매년 400명 이상 신고되었고, 2015년 491명에서 2016년 541명으로 10.2% 증가하였다. 올해는 9월 25일 기준378명으로 전년 동기간(440건) 대비 14.1% 감소하였다.

주요 해외유입 감염병은 뎅기열, 말라리아,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등 모기매개 감염병과 콜레라,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등 수인성ㆍ식품매개 감염병이 있으며, 중동지역과 중국에서는 각각 메르스 및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의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2017년 중동지역 메르스 발생(‘17.9.12 기준): 208명 발생, 59명 사망

* 2017년 중국 AI(H7N9)인체감염증 발생(‘16.10월 유행부터 ‘17.9월 기준): 765명 발생, 283명 사망

특히 연휴기간 국민들이 가장 많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동남아시아 지역은 수인성ㆍ식품매개 및 모기매개 감염병 발생이 지속되므로 여행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 2017년 해외유입 수인성ㆍ식품매개 감염병 사례(‘17.9.25 기준) : 세균성 이질(35명), 장티푸스(20명), A형간염(15명),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12명), 파라티푸스(8명), 콜레라(4명)

* 2017년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 발생사례(‘17.9.25. 기준): 뎅기열(160명), 말라리아(56명), 치쿤구니야열(8명), 지카(7명)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여행 전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확인하고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하고, 임신 중 지카 바이러스 감염 시 소두증 신생아 출산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신부나 임신 계획이 있는 사람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였다.

* 최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발생국가 및 관련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www.cdc.go.kr)에 게시 중(www.cdc.go.kr→건강정보→지카)

또한, 해외여행 중 질병관리본부에서 지정한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한 경우, 입국시 건강상태질문서를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하고 감시기간 내 입국 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미제출 할 경우,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은 항공기ㆍ공항 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와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음

※ 검역감염병 : 세계보건기구에서 국제적 감염병 감시가 필요하다고 권고한 감염병 중「검역법」에서 규정하는 9종의 감염병을 말하며 이중 6종*이 국제적으로 유행 중임에 따라 오염지역을 지정

* (6종) 콜레라, 황열,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페스트, 폴리오, 메르스

귀가 후 발열, 설사 또는 호흡기 증상 등 감염병 증상이 발생하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하여 상담을 받거나 의료기관을 방문할 경우에는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보건복지부 2017-09-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39 기능성(흡습·속건) 등산바지, 전 제품이 흡수성 매우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5 2017.09.27
3738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9.26~2016.10.0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15 2017.03.22
3737 칠갑농산㈜ ‘더 커진 쫄면떡볶이’, 양념소스 부패 우려로 교환·환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4 2017.10.23
3736 학교 휴업 기간, 집에서 안전교육 받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20.03.23
3735 Collegiate 말안장, 사용자 낙상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19.06.14
3734 Lao Gan Ma 고추기름, 병뚜껑 가소제 제품 유입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19.04.11
3733 부품 내구성 문제가 발생한 전기 믹서 2개 제품,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17.08.01
3732 Fair&White Miss White 바디로션, 유해물질 함유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2 2020.05.21
» 추석연휴 해외여행객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2 2017.09.28
3730 안전결제사이트 사칭 사기피해 발생…소비자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2 2017.08.16
3729 2016년 6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12 2017.01.04
372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7.3.3~2017.3.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12 2017.03.13
3727 Miele 커피머신, 전원 연결부 결함으로 인한 화재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1 2019.01.31
3726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0 2020.05.21
3725 현대자동차(주) 싼타페 HEV, 투싼HEV, 코나 EV, 아이오닉 EV, 포터 EV 차량 인버터 냉각수 경고등 오점등 관련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9 2022.04.01
3724 연료펌프 커버플레이트 변형 발생하는 현대자동차 투싼(LM) 차량, 기아자동차 스포티지(SL) 차량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8 2022.01.03
3723 미생물 오염으로 감염이나 염증 유발 위험 있는 Ere Perez 화장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8 2021.05.24
3722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7 2020.05.20
3721 AOC 모니터 2종, 감전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6 2017.12.06
3720 과열에 따른 감전 위험성 있는 암염램프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6 2017.02.08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