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외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여행지 감염병 정보 확인

해외여행 중 일상생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안전한 물과 음식섭취, 모기 물리지 않기, 낙타, 조류 등 동물접촉 금지

해외여행 후 입국 시 발열 또는 설사 등의 증상이 있으면 검역관에게 신고하고 귀가 후 증상 발현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9월 28일(목) 오전 11시, 인천국제공항에서 진행된 해외감염병 예방 홍보 캠페인을 통해 추석연휴(‘17.9월30일~10월9일)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캠페인에 참여한 정 본부장은 "해외여행을 가실 분은 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에서 여행지 감염병 발생정보를 확인하고, 여행 중 감염병 예방수칙을 꼭 지켜줄 것"을 강조하였다.

* (해외여행 중 일상생활 감염병 예방수칙) 외출 후나 식사 전에 손을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음식은 완전히 익혀먹고 안전한 물 섭취하기, 모기 물리지 않기, 여행지에서 조류, 낙타 등 동물접촉 하지 않기

해외유입 감염병 사례는 2010년 이후 매년 400명 이상 신고되었고, 2015년 491명에서 2016년 541명으로 10.2% 증가하였다. 올해는 9월 25일 기준378명으로 전년 동기간(440건) 대비 14.1% 감소하였다.

주요 해외유입 감염병은 뎅기열, 말라리아,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등 모기매개 감염병과 콜레라,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등 수인성ㆍ식품매개 감염병이 있으며, 중동지역과 중국에서는 각각 메르스 및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의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2017년 중동지역 메르스 발생(‘17.9.12 기준): 208명 발생, 59명 사망

* 2017년 중국 AI(H7N9)인체감염증 발생(‘16.10월 유행부터 ‘17.9월 기준): 765명 발생, 283명 사망

특히 연휴기간 국민들이 가장 많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동남아시아 지역은 수인성ㆍ식품매개 및 모기매개 감염병 발생이 지속되므로 여행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 2017년 해외유입 수인성ㆍ식품매개 감염병 사례(‘17.9.25 기준) : 세균성 이질(35명), 장티푸스(20명), A형간염(15명),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12명), 파라티푸스(8명), 콜레라(4명)

* 2017년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 발생사례(‘17.9.25. 기준): 뎅기열(160명), 말라리아(56명), 치쿤구니야열(8명), 지카(7명)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여행 전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확인하고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하고, 임신 중 지카 바이러스 감염 시 소두증 신생아 출산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신부나 임신 계획이 있는 사람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였다.

* 최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발생국가 및 관련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www.cdc.go.kr)에 게시 중(www.cdc.go.kr→건강정보→지카)

또한, 해외여행 중 질병관리본부에서 지정한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한 경우, 입국시 건강상태질문서를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하고 감시기간 내 입국 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미제출 할 경우,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은 항공기ㆍ공항 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와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음

※ 검역감염병 : 세계보건기구에서 국제적 감염병 감시가 필요하다고 권고한 감염병 중「검역법」에서 규정하는 9종의 감염병을 말하며 이중 6종*이 국제적으로 유행 중임에 따라 오염지역을 지정

* (6종) 콜레라, 황열,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페스트, 폴리오, 메르스

귀가 후 발열, 설사 또는 호흡기 증상 등 감염병 증상이 발생하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하여 상담을 받거나 의료기관을 방문할 경우에는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보건복지부 2017-09-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79 ‘노스페이스’ 사칭 해외 온라인 쇼핑몰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2.03.04
3778 ‘대마초 관련주’ 투자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8.01.03
3777 ‘로타바이러스 백신’안전하게 접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1.19
3776 ‘무늬만 가상통화 관련주’ 투자 유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2.22
3775 ‘무늬만’ 신규사업, 불공정거래 집중조사 및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1.18
3774 ‘벤스가구’ A/S·배송 지연으로 인한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12.02
3773 ‘보물선 관련주’투자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8.07.18
3772 ‘빈대’ 민원, 전주 대비 2.8배 이상 급증…민원예보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11.15
3771 ‘손 씻기, 음식 익혀 먹기’로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 나기 준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7.05
3770 ‘쇼핑카트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2 2017.11.28
3769 ‘어린이 키성장’ 등 불법·부당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3.16
3768 ‘온라인에서 성행하는 유령 유사수신 업체’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25
3767 ‘유명 연예인‘을 내세우면서, ‘플랫폼, NFT 투자‘ 등을 통해 ‘고수익이 가능하다‘고 유혹하는 불법 자금모집 업체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3.02.09
3766 ‘전화·문자금융사기’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10.25
3765 ‘주식 리딩방’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6.23
3764 ‘킨더(Kinder)’ 초콜릿 해외직구 구매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22.04.11
3763 ’23년 상반기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0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1.13
3762 “ 죽음에 이르는 질식사고,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3.15
3761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8.04.03
3760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3.26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