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공정거래위원회는 대형 유통업체가 납품업체에게 상품을 납품하도록 주문할 경우 계약서에 수량을 적도록 의무화 하는 등 유통분야 제도 정비를 위한 대규모 유통업법 시행령 개정안을 928일부터 117일까지 입법예고한다.

 

공정위는 입법예고 기간 동안 이해 관계자 등 각계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규제 · 법제심사, 국무회의 등을 거쳐 늦어도 내년 1월까지는 시행령 개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상품 주문 계약서에 납품 수량 기재 의무화

 

대형 유통업체가 납품업체에게 상품을 주문하면서 계약서나 주문서에 수량을 적지 않는 사례가 다수이다. 이는 시행령상 대형 유통업체와 납품업체 간 계약서에 명시해야 할 사항(서면 기재사항)에 수량이 제외되어 있기 때문이다.

 

주문 시점부터 수량을 명시하지 않으면 유통 · 납품업체 간 분쟁이 발생하기 쉽고 과잉 주문에 따른 재고 위험도 납품업체가 부담하게 된다.

 

아울러, 대형 유통업체의 부당 반품 등으로 납품업체가 손해를 입어도 주문 · 납품 수량에 대한 증거가 남지 않아 시정조치 · 피해 구제 곤란하다.

 

개정안에서는 대형 유통업체가 납품업체에게 일정 수량의 상품을 납품하게 하는 경우 계약서(주문서)에 그 수량을 기재하도록 의무화했다.

 

2) 과징금 부과 기준에 대한 법적 근거 강화

 

현재 대규모유통업법 위반 사업자에 대한 과징금 부과 여부 판단 기준과 구체적인 과징금 산정 기준 등은 법령이 아닌 공정위 고시에 규정하고 있다.

 

과징금 부과 여부 판단 기준 등을 수범자가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행령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 하도급법의 경우에도 과징금 부과와 관련된 개괄적인 내용들을 시행령 [별표2]에 규정했다.

 

개정안에서는 과징금 고시 규정 내용 중 과징금 부과 여부 판단 기준 과징금 산정 기준의 개괄적 내용을 시행령으로 격상했다.

 

3) 관련 납품 대금 산정 방식 개선

 

지난해 국감 당시 과징금 상한액 결정에 필요한 관련 납품 대금이 실제 법 위반 행위와 관련성이 떨어지는 개념으로 정의되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위반 행위를 한 기간 동안 구매한 관련 상품의 매입액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법 위반 행위가 일정 기간동안 지속되지 않고 일회성(one-shot)으로 발생한 경우(위반 행위를 한 기간이 없어 관련 납품 대금 산정 불가) 위반 행위를 한 기간 동안 관련 상품 구매가 없었던 경우 위반 행위를 한 기간 동안 관련 상품 구매는 있었으나 그 구매액 (매입액)’이 실제 법 위반 행위와 무관한 경우 등에는 산정 자체가 곤란하거나 법 위반 행위와 괴리가 있었다.

 

이에 관련 납품 대금을 위반 행위를 한 기간 동안 구매한 관련 상품의 매입액위반 행위와 관련된 상품 매입액으로 산정토록 개정했다.

 

개정 시행령이 본격 시행되면 대형 유통업체의 구두 발주 관행이 개선되어 납품업체 피해가 줄어들고 과징금 산정 · 부과도 보다 합리적이고 투명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공정위는 이번 시행령 개정은 물론 지난 8월 발표한 유통분야 불공정 거래 근절 대책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공정거래위원회 2017-09-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34 2018 고령자 통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154
6133 암 입원보험금 분쟁 예방을 위한 암보험 약관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42
6132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을 반영해 실손보험료 인하 유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106
6131 적법하게 생활대책 대상자로 선정됐다면 생활대책용지 공급받아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33
6130 무연고사망자가 남긴 예금, 장례비용으로 사용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44
6129 추석연휴, 가족과 함께하는 국립공원 탐방명소 5곳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18
6128 추석 명절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 운영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21
6127 한국공항공사, 추석 연휴 여객 서비스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24
6126 바실러스 세레우스 기준 초과 '천연향신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44
6125 인문학 프로그램부터 야외공연까지, 가을로 물든 9월 문화가 있는 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36
6124 방통위, 유리한 이용조건의 유사요금제에 대하여 이용자에게 적극적으로 고지하도록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36
6123 소비자종합지원시스템 운영 등에 관한 고시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20
6122 가맹거래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23
6121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34
6120 식약처,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1호 대상' 조사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0 34
Board Pagination Prev 1 ...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