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여행수요가 늘면서 항공여객 시장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관련 소비자 불만도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이 제주지역 항공여객운송서비스관련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불만상담 추이를 분석한 결과, 지난 36개월 간(2014.1.~2017.6.) 439건이 접수되었고, 특히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24.6% 증가한 142건이 접수되었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 연도별 소비자 불만상담 접수 현황 ]

                [단위 : , (%)]

구 분

2014

2015

2016

20176

건수 (증감률)

110

114 (3.6)

142 (24.6)

73

439

유형별로는 항공권 구매 취소 시 위약금 과다요구 및 환불거부·지연 등 환불관련이 196(44.6%)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결항, 연착 등 운송 불이행·지연’ 87(19.8%), ‘위탁수하물 분실·파손’ 29(6.6%), ‘계약변경 및 할인적용 불만’ 22(5.0%) 등의 순이었다.


[ 유형별 현황 ]

[단위 : , (%)]

유 형

환불 관련
(위약금 과다요구,

환불거부·지연)

운 송

불이행·지연

위탁수하물

분실·파손

계약변경 및

할인적용 불만

기 타*

건수

(비율)

196 (44.6)

87 (19.8)

29 (6.6)

22 (5.0)

105 (24.0)

439(100.0)

* 서비스 불만, 마일리지 관련, 안전사고 등

항공사명이 확인 가능한 299건을 분석한 결과, 국적별로는 국적항공사가 262(87.6%)으로 외국적항공사 37(12.4%)보다 많았다. 세부적으로는 국적항공사 중 저비용항공사가 209(79.8%)으로 대형항공사 53(20.2%) 보다 많았다.

대형항공사의 경우, 전체 소비자 불만 중 운송 불이행·지연이 차지하는 비율은 26.4%로 저비용항공사(22.0%) 보다 높았다. 반면,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위탁수하물 분실·파손계약변경 및 할인적용 불만이 전체의 각 9.1%, 8.6%로 대형항공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항공사 규모별·유형별 현황 ]

                                                                      [단위 : , (%)]

구분

국적항공사

대형

저비용

소계

환불 관련(위약금 과다요구, 환불거부·지연)

19(35.8)

79(37.8)

98(37.4)

운송 불이행·지연

14(26.4)

46(22.0)

60(22.9)

위탁수하물 분실·파손

2(3.8)

19(9.1)

21(8.0)

계약변경 및 할인적용 불만

-

18(8.6)

18(6.9)

기타*

18(34.0)

47(22.5)

65(24.8)

53(100.0)

209(100.0)

262(100.0)

* 서비스 불만, 마일리지 관련, 안전사고 등

한편, 국적항공사의 환불수수료를 비교한 결과, 국내선은 대형항공사가 1~8천원으로 다소 저렴했고, 저비용항공사는 특가 상품의 환불이 어려운 경우도 있어 항공권 구매 시 가격 및 환불조건을 꼼꼼히 비교할 필요가 있었다.

국제선의 경우,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모두 취소시기에 따라 47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차등부과하고 있었는데, 출발일이 가까울수록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항공권 구매 시 약관과 예약내용을 꼼꼼히 확인할 것 출발일 전 스케줄 변동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고 최소 출발 2~3시간 전 공항에 도착할 것 최종 목적지에서 위탁수하물이 도착하지 않거나 분실?파손된 경우 즉시 공항 내 항공사 직원에게 알릴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9-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91 다목적 세정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7.07
3090 다비드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1 2022.02.07
3089 다운이불, 표시부적합에 따른 환급·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18 2017.01.17
3088 다이어트 보조식품 판매 사이트 `케토 플러스(Keto Plus)' 거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9.11.21
3087 다이어트 패치, 효과 검증 안되고 피부 부작용 발생 우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18.11.23
3086 다이어트약 등 해외 의약품 온라인 구매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10.07
3085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과다 검출된 Intenze 문신잉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2.03.07
3084 다회용기 안심하고 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7.31
3083 단락 발생 위험 있는 Nuby 야간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1.05
3082 단락에 의한 발화 가능성 있는 FB-507 전기면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4.06
3081 단락으로 인한 화재 위험 있는 Zviku 비행기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2.09
3080 단백질바(프로틴바), 허위.과대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7.08
3079 단쇄염화파라핀 과다 함유된 장난감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3.05.26
3078 단쇄염화파라핀(SCCPs) 성분 포함된 iDeal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8.05.17
3077 단추 떨어져 질식 위험 있는 Patagonia 영유아 내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4.24
3076 단추 탈락으로 영유아 삼킴·질식 위험 있는 유아용 겉싸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0.08.24
3075 단추형 전지 노출 우려 있는 Smiggle 유아용 손목시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4.29
3074 단추형 전지 노출되어 삼킬 경우 사망 위험 있는 LED 머리띠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15
3073 단추형 전지 노출되어 질식 위험있는 LED 크리스마스 모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5.02
3072 단추형 전지 노출로 부상 및 질식 위험 있는 Baztoy 원격조종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2.07.19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