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여행수요가 늘면서 항공여객 시장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관련 소비자 불만도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이 제주지역 항공여객운송서비스관련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불만상담 추이를 분석한 결과, 지난 36개월 간(2014.1.~2017.6.) 439건이 접수되었고, 특히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24.6% 증가한 142건이 접수되었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 연도별 소비자 불만상담 접수 현황 ]

                [단위 : , (%)]

구 분

2014

2015

2016

20176

건수 (증감률)

110

114 (3.6)

142 (24.6)

73

439

유형별로는 항공권 구매 취소 시 위약금 과다요구 및 환불거부·지연 등 환불관련이 196(44.6%)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결항, 연착 등 운송 불이행·지연’ 87(19.8%), ‘위탁수하물 분실·파손’ 29(6.6%), ‘계약변경 및 할인적용 불만’ 22(5.0%) 등의 순이었다.


[ 유형별 현황 ]

[단위 : , (%)]

유 형

환불 관련
(위약금 과다요구,

환불거부·지연)

운 송

불이행·지연

위탁수하물

분실·파손

계약변경 및

할인적용 불만

기 타*

건수

(비율)

196 (44.6)

87 (19.8)

29 (6.6)

22 (5.0)

105 (24.0)

439(100.0)

* 서비스 불만, 마일리지 관련, 안전사고 등

항공사명이 확인 가능한 299건을 분석한 결과, 국적별로는 국적항공사가 262(87.6%)으로 외국적항공사 37(12.4%)보다 많았다. 세부적으로는 국적항공사 중 저비용항공사가 209(79.8%)으로 대형항공사 53(20.2%) 보다 많았다.

대형항공사의 경우, 전체 소비자 불만 중 운송 불이행·지연이 차지하는 비율은 26.4%로 저비용항공사(22.0%) 보다 높았다. 반면,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위탁수하물 분실·파손계약변경 및 할인적용 불만이 전체의 각 9.1%, 8.6%로 대형항공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항공사 규모별·유형별 현황 ]

                                                                      [단위 : , (%)]

구분

국적항공사

대형

저비용

소계

환불 관련(위약금 과다요구, 환불거부·지연)

19(35.8)

79(37.8)

98(37.4)

운송 불이행·지연

14(26.4)

46(22.0)

60(22.9)

위탁수하물 분실·파손

2(3.8)

19(9.1)

21(8.0)

계약변경 및 할인적용 불만

-

18(8.6)

18(6.9)

기타*

18(34.0)

47(22.5)

65(24.8)

53(100.0)

209(100.0)

262(100.0)

* 서비스 불만, 마일리지 관련, 안전사고 등

한편, 국적항공사의 환불수수료를 비교한 결과, 국내선은 대형항공사가 1~8천원으로 다소 저렴했고, 저비용항공사는 특가 상품의 환불이 어려운 경우도 있어 항공권 구매 시 가격 및 환불조건을 꼼꼼히 비교할 필요가 있었다.

국제선의 경우,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모두 취소시기에 따라 47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차등부과하고 있었는데, 출발일이 가까울수록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항공권 구매 시 약관과 예약내용을 꼼꼼히 확인할 것 출발일 전 스케줄 변동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고 최소 출발 2~3시간 전 공항에 도착할 것 최종 목적지에서 위탁수하물이 도착하지 않거나 분실?파손된 경우 즉시 공항 내 항공사 직원에게 알릴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9-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3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5.17
3152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4.05.17
3151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5.17
3150 내장된 전지를 삼킬 경우 질식 위험 있는 장난감 풍선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32 2015.10.28
3149 내장제 박테리아 오염이 확인된 Lamaze 치아발육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1.12
3148 냉기 안 나오는 ‘미니 에어컨’ 해외직구 주의하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08.18
3147 냉동만두 관련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2.07
3146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 장기사용제품 화재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10.20
3145 냉장보관 필요 표시사항을 누락한 델리 카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1.09.13
3144 네오디뮴 구슬자석 영유아 삼킴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3.08.14
3143 네일서비스, 계약해지 거부 및 위약금 과다 청구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6.29
3142 노닐페놀이 과다하여 장기 손상 위험이 있는 Haglofs 스포츠 장갑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2.15
3141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18.11.07
3140 노로바이러스 예방수칙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2.13
3139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시장·병원 주변에서 많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10.18
3138 노인요양시설 내 대형가전 전기화재 위험 상존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19.03.07
3137 노후아파트, 전기안전 취약하고 화재 위험 높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7.11.02
3136 녹농균 감염 위험 있는 Method 핸드워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1.01.27
3135 녹농균 검출된 목욕용 물티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1
3134 녹농균 검출된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7.13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