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흡습·속건 기능은 기체 및 액체 상태의 땀을 빨리 흡수해서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아웃도어 셔츠나 바지에 많이 사용된다. 등산바지에 흡습·속건성, 신축성, 발수성 등 다양한 기능이 있다고 표시·광고하고 있지만, 소비자가 제품 구입 시에는 기능성을 직접 확인할 수 없어 업체가 제공하는 기능성 관련 표시나 홈페이지의 정보 등에만 의존하여 선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상품선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12개 아웃도어 브랜드의 등산바지 총 12개 제품을 대상으로 기능성, 안전성, 색상변화 및 사용성, 내구성 등의 성능을 시험·평가하였다.

시험결과, 흡습·속건 기능을 표시하거나 광고한 등산바지 전제품의 흡수성능이 매우 낮아 흡습 및 속건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물질은 전 제품 관련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일부제품에서 과불화화합물 (PFOA, 과불화옥탄산)이 유럽의 섬유제품 민간 친환경 인증(OEKO-TEX) 기준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시험대상 전 제품, 흡수성 매우 낮아 (세부내용, 붙임자료 8 페이지)
(흡수성) 땀을 빠르게 흡수하는 정도를 평가한 흡수성 시험 결과, 전 제품이 1~2급(1~5급까지 평가하며, 5급으로 갈수록 우수함)으로 흡수성이 매우 낮았다. 시험 대상 전 제품이 흡습 또는 속건성을 표시·광고*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흡수성이 매우 낮아 운동 시 발생하는 땀방울이 옷으로 흡수되지 못하고 피부 표면을 따라 흘러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11개 제품은 흡습·속건 기능(또는 흡습·속건 기능성 소재를 사용)이 있음을 표시 또는 광고하고 있으며, 웨스트우드(WH1MTPL523) 제품은 ‘속건성’ 만 표시 또는 광고하고 있음.

(발수성) 발수성은 의류 표면에 물이 닿았을 때 빠르게 스며들지 않도록 물방울을 튕겨내는 성능이다. 시험결과, 세탁 전에는 전 제품이 4급(0~5급까지 평가하며, 5급으로 갈수록 우수함) 이상으로 양호했지만, 반복 세탁 후*에는 머렐(5217PT118), 콜핑(KOP0930MBLK) 2개 제품의 발수성이 1급으로 떨어져, 상대적으로 기능성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5회 손세탁, 아웃도어 전용세제 사용

안전성은 전 제품 관련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일부 제품은 과불화화합물이 유럽의 섬유제품 민간 친환경 인증기준(OEKO-TEX) 이상으로 검출
(세부내용, 붙임자료 11 페이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pH, 폼알데하이드, 아릴아민 등 유해물질 시험결과, 전 제품이 안전기준에 적합했다.
시험대상은 모두 발수 가공된 제품으로, 발수가공제로 인한 과불화화합물(PFOS:과불화옥탄술폰산, PFOA:과불화옥탄산) 함유 여부를 시험하였다. 시험결과, 5개 제품*에서 PFOA가 유럽의 섬유제품 민간 친환경 인증(OEKO-TEX) 기준(1.0μg/m2) 이상으로 검출됐다.

* 노스페이스(NFP6NI12), 디스커버리익스페디션(DMPT11711U-1), 레드페이스(REWMPAS17110), 빈폴아웃도어(BO7221B01R), 케이투(KMP173331Z12)

과불화화합물은 자연적으로 잘 분해되지 않아 인체 및 환경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는 잔류성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생식기나 신장, 면역체계 등에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과불화화합물 관련 기준은 미비한 상태이나 국가기술표준원 및 환경부가 국내·외 관련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금번 한국소비자원의 조사 결과 역시 과불화화합물의 안전기준 마련 검토 자료에 활용할 예정임을 밝혀왔다.
내구성은 전 제품 양호했지만, 일부 제품의 일광견뢰도, 마찰변색도가 미흡

(세부내용, 붙임자료 12 페이지)

(색상변화 및 사용성) 햇빛에 의해 색상이 변하지 않는 정도인 일광견뢰도에서 1개* 제품이, 마찰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정도인 마찰변색도에서 9개** 제품이 한국소비자원 섬유제품 권장품질기준(이하 권장품질기준)에 미흡해 품질개선이 필요했다.

* 밀레(MXMSP?003M6)

** 노스페이스(NFP6NI12), 디스커버리익스페디션(DMPT11711U-1), 머렐(5217PT118), 밀레(MXMSP?003M6), 블랙야크(B4XS2팬츠S#1), 빈폴아웃도어(BO7221B01R), 케이투(KMP173331Z12), 코오롱스포츠(JWPSN17501), 콜핑(KOP0930MBLK)

(내구성)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끊어지지 않는 정도인 인장강도, 찢어지지 않는 정도인 인열강도, 표면에 보푸라기(공모양의 뭉침현상)가 나타나는 필링 등 내구성을 확인한 결과, 전 제품이 권장품질기준 이상으로 양호했다.
웨스트우드(WH1MTPL523) 제품은 혼용률 표시가 관련 기준에 부적합

(세부내용, 붙임자료 13 페이지)

웨스트우드(WH1MTPL523)제품은 사용된 섬유의 종류와 비율을 나타내는 혼용률 표시가 실제와 차이가 있어,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부적합했다.

                                   

                                          [ 혼용률 표시 부적합 제품 ]

브랜드제품번호표시 혼용률시험 결과
웨스트우드  WH1MTPL523  나일론 81% 폴리우레탄 19%  나일론 89.2% 폴리우레탄 10.8%


한국소비자원으로부터 흡습?속건 표시 및 광고 개선(12개 업체), 혼용률 표시 부적합 개선(1개 업체) 권고를 받은 업체는 이를 수용하여 개선 계획을 회신하였고,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된 5개 업체에서는 자발적인 관리강화 및 사용절감을 위해 노력할 것을 회신하여 왔다. 또한 12개 전 업체는 해당 제품에 대한 교환 또는 환불을 실시할 예정이다(노스페이스는 교환만 실시).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기능성 의류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 비교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7-09-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3 허용치 초과 에틸렌옥사이드 함유해 리콜된 Now Foods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2.06
3152 라벨 미표기 땅콩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Holland & Barrett 대두 레시틴(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2.15
3151 작동하지 않는 OKEAH 연기 및 일산화탄소 감지ㆍ경보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5.26
3150 GS SHOP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7.31
3149 여름철 복통과 설사 등을 일으키는 장관감염증 증가, 예방수칙 알고 계신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8.08
314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0.11.23
3147 유해물질 검출된 Sportmix 개사료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1.02.26
314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1.05.03
3145 식품 모방 화장품 섭취.삼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1.06.04
3144 과전류로 인해 연기가 발생할 수 있는 Calm 휴대용 공기청정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1.10.28
3143 질식, 상해, 목 조임 위험 있는 전화기 모형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1.11.29
3142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9.16
3141 벤젠 검출된 Bed Head 드라이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2.06
3140 발화 위험이 있는 PACATTO 충전식 연필깎이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2.08
3139 라벨 미표기 땅콩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Pams Finest 쿠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3.01.16
3138 이물질(유리조각)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Jean Herve 아몬드 스프레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3.09.19
3137 TBHQ 성분 함유된 Natural Life 프로폴리스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3136 제품 일부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Disney 토이스토리 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3135 기준을 초과한 프탈레이트를 함유한 봉제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11.04
3134 여름철 놀이터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2.07.05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