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기간 추석 연휴, 진드기ㆍ설치류 매개 및 수인성ㆍ식품 매개 감염병 발생 대비해 예방수칙 준수 강조

월 29일(금)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과 추무진 대한의사협회장,
국민에게 손 씻기 중요성을 환기해주는 「올바른 손씻기 해우소(解憂所」 행사 개최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장기간의 추석연휴(9월30일(토)~10월9일(월) 총10일) 동안, 성묘 및 나들이 등 야외활동 증가와 명절 음식 준비 및 섭취 등에 따라 진드기ㆍ설치류 매개 감염병과 수인성ㆍ식품 매개 감염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키고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국민에게 당부하였다.

진드기ㆍ설치류 매개 질환(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 렙토스피라증, 유행성출혈열)은 추석 전후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므로, 추수ㆍ벌초ㆍ성묘 같은 야외활동이나 농작업 시 진드기 및 설치류의 배설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야외활동 후 고열ㆍ두통ㆍ근육통ㆍ기침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진드기ㆍ설치류 매개 질환 예방 수칙은 다음과 같다.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 긴팔ㆍ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를 착용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작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몸 씻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수칙

  • 유행 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할 것(특히 10~11월)
  • 들쥐의 배설물 접촉을 피할 것
  • 감염위험이 높은 사람은 적기에 예방접종을 받을 것

렙토스피라증 예방수칙

  •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수영이나 그 외의 작업을 피하고 오염 가능성이 있는 환경에서 작업을 할 때는 피부 보호를 위한 작업복을 반드시 착용
  • 홍수 이후 벼베기/벼세우기나 들쥐 포획사업 등의 작업을 하고 수일 후부터 발열이 발생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을 것

수인성ㆍ식품 매개 감염병은 가족과 친인척 등이 명절기간 동안 상온에 장시간 노출되어 부패된 음식을 함께 섭취할 경우 집단 발생이 나타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수인성ㆍ식품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의 예방수칙을 준수한다.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 음식 익혀 먹기
  • 물은 끓여 마시기
  • 채소ㆍ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 먹기
  • 위생적으로 조리과정 준수하기

    (칼, 도마 조리 후 소독 및 생선, 고기, 채소 등 도마 분리사용 등)

  •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조리하지 않기

또한, 음식섭취 후 수시간 또는 수일 이내 2인 이상이 집단 설사 및 구토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보건소 및 1339 질병관리본부 콜센터로 신고하도록 한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8~10월에 환자가 집중 발생하며, 특히 ‘17년에 전년에 비해 사망이 증가하고 있어, 고위험군인 만성간질환자(만성간염, 간암, 간경화 등), 면역저하자, 알콜중독자 등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

* 발생(사망) 현황(1∼8월) : ’16년 28명(6명)→ ’17년 19명(10명)

* 비브리오패혈증균은 해수에 상존, 해수 온도가 18℃ 이상 시 균 증식이 증가하여 어패류 섭취, 상처 부위를 통해 감염 발생

비브리오패혈증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의 예방수칙을 준수한다.

  •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기
  •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기
  • 어패류 관리 및 조리 시 준수사항
    • 5도 이하로 저온 보관하기
    • 85도 이상에서 끓이는 음식은 9분 이상, 찌는 요리는 5분 이상 가열하기
    • 어패류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기
    •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하기
    • 어패류를 다룰 때는 장갑을 착용하기

한편, 감염병을 줄일 수 있는 올바른 손 씻기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기 위해 질병관리본부는 대한의사협회와 함께「올바른 손씻기 해우소(解憂所)」행사를 개최한다.

* 일시 및 장소 : 9월 29일(금) 11:00∼15:00, 동아광장(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

‘올바른 손씻기로 근심, 걱정 씻어버리세요’라는 슬로건으로 세균 스탬프를 활용한 손씻기 체험, 다짐메시지 작성 및 인증사진 촬영 등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지난해에 이어 올바른 손씻기 실험 카메라 2탄 「커플들의 깨.수.다(깨끗한 수다)」를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고 대국민 걱정 사연과 감염병 정보를 전달하는 「KCDC 해우소 뉴스룸」카드뉴스 시리즈를 게재할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 2017-09-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1 스마트 도어록 선택 요령 및 사용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7.07
3150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9.16
3149 라벨 미표기된 성분(달걀) 함유한 Barilla 라자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9.30
3148 트리스(2-메톡시에톡시)비닐실란 과다 함유한 MANNOL 실리콘 밀폐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0.17
3147 벤젠 검출된 Bed Head 드라이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2.06
3146 허용치 초과 에틸렌옥사이드 함유해 리콜된 Now Foods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2.06
3145 유해 물질 검출된 YCOO 로봇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3.04.24
3144 이물질(유리조각)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Jean Herve 아몬드 스프레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3.09.19
3143 TBHQ 성분 함유된 Natural Life 프로폴리스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3142 제품 일부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Disney 토이스토리 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3141 유해물질 검출된 Sportmix 개사료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2.26
3140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5.03
3139 식품 모방 화장품 섭취.삼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6.04
3138 기준을 초과한 프탈레이트를 함유한 봉제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11.04
3137 발화 위험이 있는 PACATTO 충전식 연필깎이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2.12.08
3136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Dove 드라이 샴푸(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2.12.15
3135 작동하지 않는 Petrico 연기 및 일산화탄소 감지ㆍ경보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3.05.26
3134 메르스 확진자 발생에 따라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09.10
3133 올 겨울에는 내 주변 눈치우기 꼭 실천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11.29
3132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Pukka 강황 건강보충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1.11.04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