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세계적인 백신수급 불안정 지속, 4∼6세 맞는 추가접종 당초 10월로 미뤘던 것을 ’18년 2월 이후로 추가 연기

생후 2,4,6개월 때 3차례 맞는 기초접종은 우선 접종. 다만 생후 6개월 때 했던 3회차 접종은 접종간격이 벌어질수록 면역보호항체 형성이 더 잘 되므로 생후 12개월로 연기(최대 18개월까지)

안전하고 유효한 접종 유지를 위해 해당 어린이 보호자 개별 문자메시지 안내에 따른 협조 및 의료계 권고안 준수 당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전량 수입하는 폴리오(소아마비)백신*의 세계적인 수요증가-생산부족에 따른 국내 공급부족이 지속됨에 따라 지난 6월부터 안내했던 접종연기 권고기준을 연장한다고 밝혔다.

* 폴리오(소아마비) 백신(Inactivated Poliovirus Vaccine, IPV): 생후 2,4,6개월 3회 기초접종과 4-6세 추가접종 1회/ 총 4회 무료지원

폴리오(소아마비) 단독백신의 전 세계적인 공급부족 상황* 속에 지난 6월 5가 혼합백신**(DTaP-IPV/Hib) 도입, 4-6세 추가접종 10월 이후 연기를 안내하였으나 국내 부족이 지속되어 추가 조치를 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공급 부족) 국외 소수 제조사의 현지 공장상황에 따른 생산량 감소, 글로벌 제약회사의 폴리오(소아마비)백신 포함 혼합백신으로의 생산전환
(수요 증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등 국제적 유행으로 수요 급증

** 5개 백신 포함(Diphtheria 디프테리아, Tetanus 파상풍, acelluar Pertussis 백일해, Inactivated Poliovirus Vaccine 폴리오, Haemophilus Influenza type b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추가 권고는 전문학계 논의 및 예방접종전문위원회(위원장: 김종현 소아감염학회 회장)에서 4월 18일 의결되어 의료계 등과의 간담회를 통해 사전 안내된 사항이다.

(원칙) 유효하고 안전한 예방접종 기준 유지와 의료계와 접종 대상자의 불편 최소화

* 당초 안내한대로 접종대상자의 기존 백신접종력과 혼합백신, 단독백신 수급사정에 따라 의료기관에서 의사와 보호자 권고안을 유연하게 적용

(기한) 국내 단독백신 수급이 원활해지는 내년 1월까지 적용하고 2월 이후 정상 운영

* 프랑스 사노피-파스퇴르(1.5만도즈, 11월 수입), 네덜란드 Bilthoven(63만도즈, 12월 수입)

(조치내용) 수급불안정 대비 기존 마련된 권고안으로 적용

  1. ① (기존 조치 연장) 지난 6월 안내되었던 4세가 도래하는 접종 대상자의 10월 이후 접종 연기 → 내년 2월 이후로 연장
  2. ② (추가 조치) 생후 6개월 접종시기를 수두, 홍역 등과 동시접종이 가능한 생후 12개월로 연기(최대 생후 18개월까지 가능) → 내년 2월 이후부터 정상운영
  3. ③ (혼합백신 초회접종 협조) 생후 2개월 초회 접종백신을 가능하면 현재 충분한 5가 혼합백신을 사용해 접종

[ DTaP-IPV, IPV 백신 부족상황 대비 한시적 예방접종 권고안 ]

1세 미만 영아의 DTaP, IPV 3회(생후 2, 4, 6개월) 접종일정은 우선적으로 완료 (기존유지)

다만, IPV 백신의 2,4,6개월 접종 중 생후 6개월 접종은 추가면역 효과가 접종 간격이 늦어질수록 강한 면역반응을 보이므로 생후 18개월까지로 연기 가능 (추가권고)

만 4∼6세에 추가로 실시하는 1회 접종은 늦게 접종하더라도 예방효과가 지속될 수 있어 공급이 원활해지는 시점인 18년 2월 이후로 연기 (기존유지)

<2017년 제1차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의결(’17년4월18일) 사항>

질병관리본부 공인식 예방접종관리과장은, 국내에서는 1984년 이후 30년 넘게 소아마비 환자 발생이 없었고, 2000년 세계보건기구로부터 획득한 ‘소아마비 박멸국’ 인증지위를 유지 중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폴리오(소아마비) 단독백신의 신속 출하승인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긴밀히 협조 중이고, 관계 기관 및 공급사 협의를 통해 조속히 수급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위 권고안을 예방접종도우미 (http://nip.cdc.go.kr) 게재, 접종 대상자 알림문자 등을 통해 의료인 및 보호자에게 불편함과 혼선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충분히 안내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2017-09-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15 베이컨, 제품 간 나트륨·지방 등 함량 차이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8 59
9214 겨울방학 겨냥한 불법 의료광고 엄정 대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7 59
9213 질병관리본부, 국내 발생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체감염 위험성은 매우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59
9212 위법행위와 관련 없는 인수업체에 부과한 과징금 취소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59
9211 자살보험금 제재관련 향후 처리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59
9210 소비자의 이해도 제고를 위한 보험안내자료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2 59
9209 농심 라면가격 인상 적정성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1 59
9208 작지만 크게 느끼는 불편, 속 시원히 해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9 59
9207 동남아 여행자 17번째 지카감염증 확진...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9 59
9206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를 통한 국민 치료기회 보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7 59
9205 식약처, 김장철 대비 김치류 등 제조업체 전국 일제 교차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1 59
9204 동남아 거주자에서 16번째 지카 감염증 확진,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9 59
9203 보험회사의 불합리한 보험계약 부활 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5 59
9202 ´술잔은 가볍게, 귀가는 빠르게´ 바른 음주문화 확산에 노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5 59
9201 60대 이상 노인환자,『녹내장』방치하면 실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6 59
Board Pagination Prev 1 ...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